과학사 논자시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시대사

과학사란 무엇인가?

  1. How to write the history of science depends very much on what you think science is. You have to ask in what sense the Greek science was “science” before you go on writing its history, just as you should in writing the history of Chinese or Korean science. If you define “science” in ahistorical, acultural terms, something like “a systematic knowledge of nature”, you could apply it to all cultures in all historical periods. If you define it more based on the contemporary image, laboratory-based, institutionalized, research-oriented, etc., however, to write the history of Greek―or Chinese―Science would become ludicrous. How would you define “science” and following your definition when did the science originate, in Greece, in the Scientific Revolution, in the eighteenth century, or in the nineteenth century? State and defend your reasons. (1997)

고대 과학

  1. 서양과학의 역사에 있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간단히 논해보라. 동양에서도 이와 비슷해 보이는 일종의 존재론적인 논쟁이 있었다고 보기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 (2005-2, 2004-2)
  2. 서양의 고대 그리스 과학과 동양(중국)의 자연철학을 비교할 수 있겠는가? 이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여러 과학사학자들의 견해를 적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주장을 개진해 볼 것. (2005-1)
  3. 고대 그리스과학의 쇠퇴 원인을 묻는 질문과 중국에서 근대과학이 형성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이 지닌 문제점을 서로 비교해 가면서 이야기해 보라. 아울러 이 같은 질문들이 어떤 면에서 고대과학과 중국과학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라. (1996)

고대 및 중세 초기, 이슬람과학

  1. 다음과 같은 주장에 동의하는가? 왜 동의하는지 또는 왜 동의하지 않는지 논의할 수 있겠는가? 또는 흔히 부딪치게 되는 어딘지 거칠어 보이는 이러한 서술을 좀 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논의로 확장해볼 수 있겠는가? (2003-1)
    • 현대의 자연과학은 기원전 5-6세기경 그리스에서 태어나서 중세기 동안 일종의 잠복상태였다가 아랍문명권에서 동면상태로 남아있던, 혹은 냉장상태로 보존되어 있던 그 생명이 르네상스기에 라틴어 문명권에서 다시 깨어나면서 유럽에서 과학혁명의 형태로 크게 성장하였다. 현대의 자연과학이란 따라서 17세기의 과학혁명과 19세기의 계몽기를 거치면서 유럽 내에서도 그 폭과 깊이를 더해 갔을 뿐만 아니라 유럽 밖의 세계로도 전달된 것이며, 따라서 ‘제 3세계의 전통과학’ 또는 ‘중국, 한국의 전통과학’이라는 개념은 일종의 anachronism이다.
  2. Timaios가 후대의 과학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다음의 진술을 평가해 보라. (2000-2)
    • The influence of Timaios upon later times was enormous and essentially evil. A large portion of Timaios had been translated into Latin by Chalcidius(IV-I), and that translation remained for over eight centuries the only Platonic text known to the Latin West. Yet the fame of Plato had reached them, and thus the Latin Timaios became a kind of Platonic evangel which many scholars were ready to interpret literally. The scientific perversities of Timaios were mistaken for scientific truth.
  3. 고대 그리스의 여러 지식과 사상 중 서유럽으로 전달된 주요한 과학과 철학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언제, 누구에 의해, 그리고 어떠한 환경 하에서 들어왔는지 논하되, 구체적인 저자와 전달자를 들고 시기를 기술하시오. (1997)
  4. 우리는 고대과학과 중세과학이라는 표현들로 각각 1000년 정도의 기간의 서양의 과학들을 가리킨다. 이 긴 기간 동안에 과학의 성격이 크게 바뀌었고 그러한 과학을 지닌 사회, 문화의 성격도 변했다. 이 같은 변화에 대해 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과학’이나 ‘중세과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 보라. 그리고 이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고대과학과 중세과학의 구분과 차이에 대해 생각해 보라. (1995, 1994, 1992)

중세의 과학

Physical Science in the Middle Ages was written with the conviction that … the middle ages had not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Scientific Revolution of the seventeenth century … A few years ago, it occurred to me that perhaps we――historians of medieval science and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had interpreted the medieval contribution too narrowly. … some years ago, I asked myself whether a Scientific Revolution could have occurr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if the level of science in Western Europe has remained what it was in the first half of the twelfth century. (Grant, The Foundations of Modern Science in the Middle Ages, pp. xii-xiii)

  1. 위 인용문의 배경과 내용을 설명, 분석, 평가해보라. (2006-2)
  2. God and Reason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2001)을 통하여 그랜트가 더욱 확장하게 되는 이 진술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겠는가? (2004-2)
  3. 어떠한 맥락에서 이러한 진술이 나왔는가? 이러한 진술은 과학혁명을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상황에서 기술하는 최근 경향들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라 보는가? 아니면? (2000-2)
  4. 그랜트의 동료인 린드버그의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있으리라 생각되는 이 진술의 내용은 무엇인가? (2001-1)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는 여러 가지 면에서 이전의 Lloyd, Grant의 책들과는 다른 시각으로 고대, 중세 과학사를 서술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또 가장 논란의 여지가 많은 부분이 바로 11세기 이후 중세과학의 위치와 역할에 관한 장들이다. 왜냐하면 Lindberg를 비롯한 일단의 신세대 과학사학자들의 주장대로라면 ‘과학혁명’의 의미에 관한 재해석 또는 재평가가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과학혁명기를 염두에 두고, 역학, 천문학, 의학 중 한 분야를 택하여 중세과학에 대한 Lindberg의 해석과 이전의 해석들과의 차이를 비교, 서술하라. (1994, 1993)
  5. 중세과학의 의의와 역할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중세과학의 역할을 고대 그리스 과학의 소화과정, 또는 근대과학으로 가는 이행과정 정도로 낮게 평가하는가 하면, 다른 학자들은 중세 과학의 독창성과 그 자체의 발전을 강조하기도 한다. 천문학, 역학, 광학 또는 그 외의 분야에서 한 분야를 선택하여 위의 주장 중 한쪽을 뒷받침하라. (1996, 1992, 1991)
  6. 유럽의 대학은 과학활동의 초점이 아니었고, 자연과학은 대학과 별도로 그 자체의 활동 중심들을 형성시켜야 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대학들은 근대과학이 건설한 새로운 자연관에 대한 반대의 주된 중심들이었다.”(Westfall, 󰡔근대과학의 구조󰡕, 160쪽) 1970년대 초에 씌어진 이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 사실들을 들어보고, 1995년의 시점에서 이를 재평가해보라. (1995)

르네상스 시기의 과학과 과학혁명 개관

  1. 과학혁명을 기계적 관점과 수학적 관점의 갈등을 통해 해석하는 웨스트폴의 견해를 설명하고 비판해 보라. (1996)
  2. 1980년대 이후 서구의 과학사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과학혁명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상세히 논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해 보라. (2006-1, 2005-2, 2004-2)
  3. ‘과학혁명(the Scientific Revolution)’에 대한 1990년대 이후의 논의에서 두드러진 점은 무엇인가? 지적 배경, 기구(instruments), 과학의 권위, 실험과학의 성격, 과학과 기술의 관계, 과학과 종교와의 관계 등을 예로 들어 위의 질문에 답해 보라. (2005-1)
    • [유제] Describe and analyze recent trends in the interpretation on the Scientific Revolution, centering around the role of experiment, institution, patronage, and other relevant aspects in science and its historiography. (2004-1, 2001-1)
  4. 르네상스 네오플라톤주의와 같은 신비주의 철학이 근대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의 혁명의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토마스 쿤의 주장을 서술하고, 이에 대해서 자신의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논의를 전개해 보라. (2003-1)
  5. 다음 주장을 구체적으로 보완하고 이러한 변화가 생기게 된 원인을 써보라. (2003-2, 1997, 1993)
    • Plato and Aristotle had differing views on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on its relation to the physical world. But behind their disagreement lay the shared view that mathematics could not adequately describe nature nor provide knowledge of it. By contrast, Galileo, Descartes, and Newton agreed that mathematics revealed and expressed the very essence of physical reality, though they disagreed on what kind of mathematics that was and how it was to be applied.
    • [유제] Compare and contrast the nature and role of quantification in the scientific works of the following authors: Nicole Oresme, Kepler, Galileo, Descartes, and Newton. (1992)
  6. “근대의 대중적 신화는 고대와 중세의 과학자들을 도그마에 빠진 이론가들로만 그리고 있는 데 비해 17세기의 근대 과학은 이러한 도그마에서 벗어나 감각과 경험을 중시하게 된 것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역사적 탐구는 이와 달리 진정한 추상적 (물리) 과학은 과학혁명기의 산물임을 보여준다”라는 주장을 과학혁명기의 관찰, 실험, 수학, 이론 등의 역할을 염두에 두고 토론하라. (1997, 1994, 1993, 1992, 1991)
    • [유제] 과학혁명기의 천문학, 역학, 의학, 자연사의 변화에 영향을 준 관찰, 실험, 이론의 상대적 중요성을 논하라.
  7. ‘과학혁명’을 17세기 유럽 사회의 ‘일반적 위기’라는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의 장단점을 논하라. (1991)
  8. “[The] current view that the Scientific Revolution may have lasted a century, or even for three centuries … [would not only] mak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longest-lasting revolution in recorded history, but it would [also] imply a wholly different concept of revolution from the models of the Glorious Revolution or the American and French revolutions.”는 I. B. Cohen, Revolution in Science의 언급을 염두에 두고,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과학혁명’이라는 말을 더 이상 사용하지 말아야 할 것인지, 그리고 만약 계속 사용한다면 그 같은 계속적 사용을 어떻게 합리화할 수 있는지 논하라. (1996, 1995, 1994, 1993)
  9. 17세기에 창립된 과학단체들이 과학혁명에서 어떤 역할을 했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쓰라. (1996, 1992).
  10. 다음 인용문의 출처를 명기하고 그 내용의 역사적인 의의를 설명, 분석, 평가해 보라. (2007-1)
    • And even when they seek to educe some science or theory from their experiments, they nevertheless almost always turn aside with overhasty and unseasonable eagerness to practice; not only for the sake of the uses and fruits of the practice, but from impatience to obtain in the shape of some new work an assurance for themselves that it is worth their while to go on; and also to show themselves off to the world, and so raise the credit of the business in which they are engaged. Thus, like Atalanta, they go aside to pick up the golden apple, but meanwhile they interrupt their course, and let the victory escape them. But in the true course of experience, and in carrying it on to the effecting of new works, the divine wisdom and order must be our pattern. Now God on the first day of creation created light only, giving to that work an entire day, in which no material substance was created. So must we likewise from experience of every kind first endeavor to discover true causes and axioms; and seek for experiments of Light, not for experiments of Fruit. (Francis Bacon, The New Organon 중에서)

천문학 혁명

갈릴레오

  1. 갈릴레오에 대한 Mario Biagioli의 해석을 상세히 기술하고 이를 비판해 볼 것. (2004-1)
  2. “갈릴레오는 정말로 피사의 사탑에서 돌을 떨어뜨리는 실험을 하였는가?”라는 학생들의 질문에 대해 어떻게 답하겠는가? 실제로 돌을 떨어뜨렸건 아니건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듯한 갈릴레오 자신의 또는 역사가들의 입장을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돌을 떨어뜨려보는 것보다 더욱 분명히 그의 ‘운동관’을 보여주는 갈릴레오의 ‘실험’을 생각해볼 수 있는가? (1997-2000년 사이에 Isis의 관련 논문이나 note가 있었음을 기억하는가? 구두시험에서 답할 것.) (2005-2, 2005-1, 2004-2, 2003-2, 2000-2, 1996, 1995)
    • [유제] “역학혁명에서의 실험적 방법의 예로 많이 드는 갈릴레오의 실험들은 많은 경우에 실제로 행해지지 않고 논리의 전개를 위해 머릿속으로 행해졌던 사고실험들이었거나 실제로 행하는 것이 불가능했거나 혹은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당시의 형편으로는 행해지기 어려운 실험들이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는 실험에 대해 마치 그것을 실제 행한 것 같이 자세히 언급하고서는 끝에 가서는 자신의 수학적 또는 이론적 논리 전개가 워낙 확실하기 때문에 실험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는 주장을 비판하고 갈릴레오의 과학 연구에 있어 실험의 역할에 관해 논하라.

뉴턴

  1. A great deal of discussion has occurred about Newton’s motives for saying that he stood on the shoulders of giants, but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Newton was correct in acknowledge his debt. Who were the giants? Discuss as specially as you can. (2004-1, 2001-1, 1997)
    1. The ideas that Newton clearly obtained from his contemporaries and predecessors
    2. The originators of those ideas and the channels through which they flowed to Newton, directly or through others. Give names and where appropriate, the publication involved.
  2. Principia (1687)와 Optics (1704)에서 뉴턴이 제시한 새로운 과학적 이론, 과학방법론, 세계관에 대해서 상술하고, 이것이 18세기 과학, 철학, 종교에 미친 영향을 영국의 경우와 프랑스의 경우로 나누어 논하라. (2003-2)

과학과 계몽사조

  1. 아래의 진술을 분석하고 비판해 보라. (2006-1, 2005-2, 2005-1)
    18세기 과학은 17세기의 과학혁명 그리고 19세기의 제2차 과학혁명의 사이에 끼인 매력 없는 분야로 이야기되기도 한다. Rupert Hall은 이를 이렇게 표현했다. “when Newton died the great phase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was already finished.” 하지만 Hall 그 자신이 이야기하듯이, 뉴튼 과학의 전파는 이제 시작되고 있었으며, 과학을 통한 계몽의 열정은 18세기를 인간과학 그리고 사회과학의 길로 이끌며 “이성의 세기”를 향한 문을 열어주었다. 그밖에도 화학혁명, 메스머리즘, 자연사 등 여러 분야가 18세기의 독특한 과학문화 속에서 탄생했다. 진정한 의미의 현대(Modern era)가 시작된 것이다.
    • [유제] Discuss the role of science in the Enlightenment culture. You could include topics such as the Newtonian philosophy, the culture of experimental physics, Mesmerism, the Chemical Revolutions or else. (2001-1, 2000-2, 1997, 1996)

전기와 자기

화학과 화학혁명

  1. 라부아지에의 화학혁명에 대한 Conant, Guerlac, Kuhn과 같은 전통적인 해석과 Perlin, Holmes와 같은 학자들의 비교적 최근의 해석을 비교해가면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화학혁명의 historiography를 설명해 보라. (2006-1, 1996, 1994, 1993, 1992)

From Natural Philosophy to the Sciences in the 19th-century

  1. David Cahan 같은 과학사학자는 19세기 과학사를 ‘자연철학(natural philosophy)’에서 ‘과학(science)’으로 전이가 일어난 시기로 서술한다. 물리학, 생물학, 화학, 천문학과 같은 과학 전문분야 중 하나를 선택해서 그 내용적인 변화와 전문직업화와 같은 과학의 사회적 측면을 함께 논의함으로써 왜 19세기가 자연철학이 과학으로 변화된 시기라고 할 수 있는가를 논증하라. (2007-1, 2006-2, 1990)
  2. 19세기에 과학은 ‘전문직업화’ 되었는가? 이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유럽과 미국의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논하라. (2006-1, 2005-2, 2004-2)
    • [유제] 대혁명기의 프랑스와 19세기의 독일 대학에서는 과학의 전문직업화와 관련하여 중요한 발전들이 있었다. 두 시기를 서로 비교해 가며 설명하라. (1994)
  3. 19세기 과학사에 대해서 “제2의 과학혁명”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적절한가? 19세기 과학의 역사가 19세기나 20세기 과학의 역사에 비해서 가지는 독특한 특성이 있는가? 있다고 생각하면 그 특징을 상세히 서술하고, 없다고 생각하면 그 이유를 설명해 보라. (2005-1)
  4. Discuss the role of universities in the German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reasons for their success with a concrete example. (1997, 1996) 1993)
  5. 19세기말 독일에서 과학 연구가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는 모습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라. (1995)
  6. 19세기 독일 자연철학과 과학 (1993)
    • [유제] “The development of both physics and physiology in th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ies was guided by the extension of mechanical principles to new areas of investigation. This program of mechanical reduction led to a number of brilliant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uccess which shaped the permanent foundation of both disciplines.” 이 주장의 역사적 타당성을 밝히고 두 분야 양쪽 모두로부터 구체적 예를 들어 그것을 뒷받침해 보라. (1992)

실험실의 출현

  1. 최근 과학사학자들은 실험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실험실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실험실이 실험과학의 공중적(public) 성격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던 과학혁명기부터 대학교의 화학과와 물리학과에 자리를 잡은 19세기를 거쳐, 생물학이나 공학, 산업으로 확산된 19세기말-20세기초까지의 시기 동안에 실험실이 왜 중요했으며, 어떻게 변화했고, 어떤 기능을 했는지 논의해 보라. (2006-2)

다윈과 다윈주의

  1. 다윈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최근의 연구가 새롭게 보여주고 있는 점은 무엇인가? Frank Sulloway와 Desmond and Moore의 연구를 예로 들어 이를 서술해보라. (2006-1)
  2. It is commonly said that Charles Darwin’s Origin of Species is a distinctively Victorian book, that the book could hardly have been produced by anyone other than a nineteenth-century English gentlemen. What specific features of Darwin’s work indicate its close historical identification with the British culture to which its author belonged. (1997) ‘“None but a Victorian Englishman could have written the Origin of Species.” 이 주장에 대한 평가. 과학 내적ㆍ외적 요인을 모두 고려할 것. (1994, 1992)
  3. 19세기 지질학의 발전 원인 (1994, 1993)
  4. 19세기 생물학의 발전 (1993, 1992)

20세기의 과학

  1.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의 원자탄 개발 과정에 대해서 서술하고, 원자탄이 유독 미국에서 성공하게 되었던 다양한 역사적 조건에 대해서 논하라. 이 조건이 미국의 과학사에 있어 일반적인 성격을 논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겠는가? (2004-2, 2000-2, 1995)
  2. 1930-40년대 물리과학과 생물과학의 경향 (1994)
  3.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과학과 기술의 관계 변화 (1994)

과학과 ‘무엇’: 종합적ㆍ거시적인 안목

과학과 기술

  1. 과학혁명 이후 20세기 중엽까지 과학과 기술의 관계를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서술해 보라. 과학과 기술이 관계에 대한 이러한 역사적인 이해가 지금의 과학과 기술을 더 잘 이해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도 기술해 보라. (2004-2, 1992, 1991)
  2. 과학과 기술의 관계는 중요하지만 설명하기 어려운 역사서술론적 이슈이다. 증기기관의 발명 등의 가장 구체적인 수준의 사례에서부터 ‘거울 이미지’나 ‘결혼’ 등 둘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가장 추상적인 수준의 상까지, 다양한 논의를 관통하는 것은 과학과 기술을 정의함에 있어 내재된 모호함이라 할 것이다. 이 이슈에 대해서 구체적인 역사적 사례에 근거해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라. (2005-2, 2005-1, 2004-1, 2003-2, 2001-1, 2000-2, 1997, 1996, 1994)

과학과 사회, 또는 과학사와 사회학

  1. 과학사와 과학사회학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잘 보여준다고 볼 수 있는 연구와 이 두 분야 사이의 차이를 잘 보여준다고 생각되는 연구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라. (2004-1)
  2. 과학사회학의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와 행위자 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을 설명한 뒤에, 이러한 과학사회학의 이론들이 과학사 연구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서술해 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라. ex. 에딘버러 학파의 스트롱 프로그램이 적용된 과학의 실례를 찾아보시오. (2006-1)
  3. 사회구성론(social constructivism)이 과학사 연구에서 취하고 있는 입장을 설명하고 이러한 논리를 지지하는 학자들의 기여 및 영향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비판적으로 검토하라. (2005-2, 2005-1, 2003-2, 2001-1, 2000-2, 1993, 1992)
  4. 과학사에서 사회구성주의를 둘러싼 논쟁이 이전의 “내적 접근법” 대 “외적 접근법”의 논쟁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이 차이점을 설명하고 이를 사회구성주의 과학사학자들의 역사적 작업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뒷받침해보라. (2004-2)
  5. 과학사학자들과 과학사회학자들이 동시에 관심을 가지는 주제 중 하나가 과학에서의 ‘동시발견’이다. 과학의 역사를 통해 동시발견의 구체적 사례를 적어도 두 가지 이상 자세히 논의한 뒤에, 동시 발견이 나타나는 이유를 사회적(과학외적), 인식적(과학내적)인 요소로 구분해서 논하라. (2003-2)


과학과 종교

  1. 과학사에서 Merton 명제처럼 많이 논의되고 남용된 명제도 흔하지 않다.
    1. Merton이 1938년 논문에서 실제로 주장한 내용을 서술하고
    2. Merton 명제에 대한 그간의 논쟁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그것이 과학사 분야의 발전에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논하라. (2007-1, 1992)
  2. 머튼 명제, 17-18세기 실험과학의 성장과 종교 (1994, 1993, 1992)

과학과 제도

  1. “One can speak of the Museum at Alexandria, the medieval University, and the Academie des Sciences all as scientific institutions, but the differences among them are far more important than any similarities they might have, and one loses rather than gains historical insight by making the comparisons,” 이 주장에 대해 토론하라. 유익하다고 생각되면 동양의 예를 첨가해도 좋음. (1997, 1994, 1992)
  2. 대학, 기업, 정부가 과학연구와 연구소를 지원한 과정을 19세기 초엽부터 20세기 말엽까지 서술하라. 최근의 기업과 비교해서 대학이 수행하는 과학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위의 서술에 비추어 평가해 보라. (2003-2)

과학과 전쟁

  1. 전쟁과 과학의 발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무수한 추측과 논의가 가능하다. 나폴레옹 전쟁,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의 경우들을 비교해가며, 또는 하나를 골라 좀 더 집중적으로 논하라. 특히 이 관계가 당시 과학의 성격, 유용성 등과 어떻게 관련되었고 이 관계에 변화를 가져다 준 과학의 변화는 어떠한 것들을 들 수 있겠는가? (2004-1, 2001-1, 1996, 1991)


과학의 national contexts, 과학의 이동

  1. 15-16세기 이래 지금까지 서구에서 과학을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킨 나라가 이탈리아(16-17세기 초엽) → 영국(17세기) → 프랑스 (18-19세기 초엽) → 독일 (19세기) → 미국 (20세기)의 순서대로 바뀌어 왔다고 할 수 있겠는가?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쓰고 그 근거를 상술하라. (2006-1, 2000-1)
  2. 19세기말~20세기초에 새로이 성립된 과학 분야들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해 써라. (1997, 1995)
  3. 과학혁명기 이후 미국의 과학을 다루어야 할 시점은? (1994)
  4. 한 문화권으로부터 다른 문화권으로 과학기술이 전파되는 현상은 과학사에 있어 가장 흥미로운 주제들 중의 하나일 것이다. 기술이 문명의 중심부(metropolis)로부터 주변부(peripheries)로 전파되어 나가는 모습을 그린 바살라(George Basalla)의 기술전파 모델은 파인슨(Liewes Peynson)이나 헤드릭(Daniel Headrick) 같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하여 전파를 그려 보이는 훌륭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 논의는 맥클라우드(Roy Macleod)나 마이클 워보이즈(Micahel Worboys) 같은 학자들의 도전을 통해서 점차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이들의 논의를 간단히 설명하고 서양과학기술 (또는 다윈주의와 같은 과학사상)이 동양으로 전래된 예를 하나만 들어 비교해 보라. (2006-1, 2005-2, 2005-1)
    • [유제] 한 문화로부터 다른 문화로 과학이 전래되는 현상은 과학사에 있어 가장 흥미로운 주제들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슬람 문화에서 중세 기독교 문화로 과학이 전래되는 현상은 서양과학의 역사에서 볼 수 있는, 아직도 엄청난 역사적 과제들을 제공하고 있는 좋은 예이며, 뉴튼 과학의 프랑스로의 전래, 프랑스 수리물리학의 독일이나 영국으로의 전래도 작은 규모이기는 하지만 같은 종류의 현상들로 볼 수 있다. 이 예들을 간단히 설명하고 서양과학이 동양으로 전래된 예를 들어 비교해 보라. (2004-1, 2001-1, 2000-2, 1995, 1994, 1992)
  5. The national style of science is an often-cited theme in the historiography of the 19th century. Do you think that the “style” is an appropriate concept for characterizing the differences that did exist between British, French and German sciences? Yes, or No, discuss and defend your position, giving different emphases to the cognitive content, research objectives, institutional support, cultural dispositions, financial situation, etc., or whatever criteria that you deem are relevant to the issue. (2003-2, 2001-1, 2000-2, 1997, 1995, 1994, 1991)


최근 연구경향

  1. 최근 들어 몇 가지 개념 또는 분석틀들이 역사학의 여러 분야에서 유용한 서술도구로 쓰이고 있다. ‘성찰’, ‘전유’, ‘경계영역’, ‘주변부’, ‘식민지’의 능동적인 역할 등을 생각할 수 있겠는데, 분야에 따라서 아마도 더 많은 개념이나 분석틀들이 존재할 것이다. 당신의 관심분야에서 이런 비교적 새로운 개념분석틀 또는 기타의 역사분석이나 서술을 돕는 도구로 쓰일 수 있는 개념이 있다면, 무리가 된다 생각하더라도 이를 생각해서 서술해 보라. (2004-2)
    • [유제] 최근 들어 ‘성찰’의 문제가 근대성의 해석과 맞물려 사회과학의 많은 분야에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당신의 관심분야에서 이 문제들이 어떠한 역사인식상의, 또는 역사기술상의 조망들을 제공하는지 생각나는 대로 기술하라. (2000-2)
  2. 그의 Image and Logic을 통해 피터 갤리슨은 도구의 역할을 중심으로 다른 종류의 ‘물질문화’들이 얽히고 작용하며 새로운 지식분야가 형성되어 가는 모습을 그려서 여러 분야의 역사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를 간단히 설명해 보고 다른 분야, 다른 시기에 대해서 이러한 구도가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는 분야가 있으면 이에 대해서 논해 보라. 구두시험을 위해서는 홍성욱과 Gieryn의 글도 간단히 들춰볼 것. (2004-1, 2001-1)
  3. 과학사 연구에 있어서 과학자들의 회고담이나 자서전은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을 이용하는 데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데, 많은 경우 과학자 자신의 편견, 자기합리화, 기억의 오류들이 이렇나 회고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자신이 읽은 회고담이나 자서전을 예로 들어가며 이들 자료들을 활용함에 있어서의 장단점을 논하라. 예: Watson, Double Helix; Darwin, Autobiography; Copernicus, De Revolutionibus 서문. (2003-2, 1993-1, 1991)

서평

  1. 다음 책 중 한 권을 골라서 그 내용과 핵심주장을 요약하고 평가해 보라. (2006-2)
    • Steven Shapin, The Scientific Revolution
    • Thomas S. Kuhn, The Copernican Revolution
    • Mario Biagioli, Galileo, Courtier
    • Steven Shapin and Simon Schaffer, Leviathan and the Air-Pump
  2. 다음 논문 중 하나를 골라서 그 내용과 핵심 주장을 요약하고 평가해 보라. (2007-1)
    • Andrew Cunningham and Perry Williams, “De-centering the "Big Picture":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and the Modern Origins of Science,” BJHS 26 (1993), 407-32.
    • Richard S. Westfall, “Science and Patronage: Galileo and the Telescope,” Isis 76 (1985), 11-30.
    • Steven Shapin, "Of Gods and Kings: Natural Philosophy and Politics in the Leibniz-Clarke Disputes," Isis 72 (1981), 187-215.

강의안

  1. 다음 주제 중 두 주제를 잡아서 1시간 동안 학부 강의를 한다고 가정하고 강의개요(outline)와 강의노트의 내용을 서술하라(상세한 개조식도 무방). 학부 학생들에게 꼭 전달해주어야 할 historical facts와 해석은 무엇인가를 생각해서 강의노트의 내용을 작성하고, 자신이 선택한 주제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들과 새로운 해석들을 학부학생들에게 이해될 수 있도록 균형 있게 배열해야 한다는 점도 반드시 고려할 것.
    • 과학혁명기의 과학과 사회 (2007-1)
    • 뉴턴과 계몽사조 (2007-1)
    • 화학혁명 (2007-1, 2006-2, 2005-1)
    • 19세기 물리학사 (2007-1)
    • 20세기 생물학사 (2007-1)
    • 프랜시스 베이컨과 실험과학의 등장 (2006-2)
    • 과학과 종교 (2006-1), 갈릴레오 재판과 과학과 종교와의 관계 (2006-2)
    • 다윈과 진화론 (2006-2, 2004-2)
    •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과학과 기술의 관계 (2006-2)
    • 과학기술과 사회 (2005-2)
    • 과학과 사회의 관계 (1997)
  2. In teaching a course, or writing a text, having to do with science since 1700, what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supplementary readings, and fundamental themes would you incorporate if you were asked to deal with science and its social context?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