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9년 1학기
- 웹사이트 : http://zolaist.org/wiki/index.php/Philsci_2019-1
- 시간장소 : 화목 11:00~12:15 / 43-1동 402호
- 강사 : 정동욱 (zolaist@gmail.com / 010-9075-1283)
- 조교 : 정원호 (ideaspace@snu.ac.kr / 25동 417호)
목차
- 1 수업 목표
- 2 수업 교재와 평가 방법
- 3 수업 일정
- 3.1 1주. 과학이란 무엇인가 : 포퍼의 반증주의
- 3.2 2주. 과학혁명의 구조 : 쿤의 패러다임
- 3.3 3주. 과학적 방법이란 존재하는가 : 라카토슈 대 파이어아벤트
- 3.4 4주. 과학과 사이비과학 : 창조과학 논쟁
- 3.5 5주. 코페르니쿠스 혁명
- 3.6 6주. 화학 혁명
- 3.7 7주. 사회적 가치와 객관성
- 3.8 8주. 중간고사 기간
- 3.9 9주. 과학적 진리
- 3.10 10주. 인식과정의 반복
- 3.11 11주. 물리학의 철학과 생물학의 철학
- 3.12 12주. 과학적 증거
- 3.13 13주. 베이즈주의 인식론
- 3.14 14주. 인공지능의 철학
- 3.15 15주. 기말고사
- 4 관련 항목
수업 목표
이 수업은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을 다룬다. 과학 지식은 다른 지식과 어떻게 구분되는가? 과학적 방법이란 과연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과학적 설명이란 무엇인가? 과학은 진보하는가? 과학적 지식은 어떻게 시험되고 평가될 수 있는가? 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방법이 있을까? 과학에서도 아름다움과 같은 미적 가치나 사회적 이해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만약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그것은 바람직한가? 과연 과학적 지식이 진리를 향해 다가간다고 말할 수 있는가? 진리란 도대체 무엇인가? 한편 이 수업에서는 공간이란 무엇이며, 생물 종이란 무엇인가, 인공지능은 가능한가와 같이 개별 과학 분야에서 탐구되는 특수한 철학적 질문들도 다룬다.
이러한 질문들은 철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흥미로운 논변들을 기초로 구체적인 역사적 사례와 함께 비판적으로 검토될 것이며, 학생들은 교과서 속의 과학을 넘어서는 즐거움과 함께 철학적으로 질문하고 답을 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수업 교재와 평가 방법
별도의 강의 교재는 없지만, 학생들은 매주 수업 일정에 맞추어 강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읽을거리를 읽고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 학생들은 주어진 읽을거리 중 하나를 골라 A4 2페이지 분량(공백 포함 2000~3000자)의 비평문을 2회(1차 10%, 2차 20%) 제출해야 하며, 수업에서 다룬 주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A4 4~5페이지 분량(공백 포함 6000~9000자)의 기말보고서(30%)를 제출해야 한다. 기말고사(40%)에서는 주로 강의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한다. 출석을 실제로 확인한 횟수 중 1/3을 초과하여 결석하면 성적은 "F"가 되지만, 그 기준만 만족하면 출석은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단, 출석 체크 이후에 들어오는 것은 결석으로 간주함).
- 평가비율 : 기말고사(40%) | 1차 비평문(10%) | 2차 비평문(20%) | 기말보고서(30%)
비평문
1차 비평문 : 아래의 읽을거리 중 하나를 골라 A4 2페이지 분량(공백 포함 2000~3000자)의 비평문을 작성하라. (마감 : 3월 29일 밤 12시)
- 칼 포퍼, 과학 : 추측과 논박 (상반되어 보이는 현상들을 모두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 정말 이론의 단점이 될 수 있는가? 규약주의적 왜곡를 금지하는 포퍼의 권고는 수용 가능한가?)
- 토머스 쿤, 발견의 논리인가 탐구의 심리학인가 (쿤에게 점성술은 왜 과학이 아닌가? 그의 논변은 설득력이 있는가?)
- 임레 라카토슈, 반증과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방법론
- 폴 파이어아벤트, 전문가를 위한 위안
- 마이클 루즈, 창조과학은 과학이 아니다
- 래리 라우든, 코멘터리 : 법정의 과학─걱정의 이유
2차 비평문 : 아래의 읽을거리 중 하나를 골라 A4 2페이지 분량(공백 포함 2000~3000자)의 비평문을 작성하라. (마감 : 5월 3일)
- 토머스 쿤, 객관성, 가치 판단, 그리고 이론 선택
- 장하석, 산소와 플로지스톤
- 장하석, 물은 H2O인가
- 케이틀린 오크룰릭, 젠더와 생명과학들
- 반 프라센,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논증들
- 이언 해킹, 표상하기와 개입하기
기말보고서
수업에서 다룬 주제 중 하나를 자유롭게 골라 A4 4-5페이지(공백 포함 6000-9000자 분량)의 보고서를 작성하라. (마감 : 6월 14일)
수업 일정
1주. 과학이란 무엇인가 : 포퍼의 반증주의
- 3월 5일. 강의 소개
- 3월 7일. 칼 포퍼의 반증주의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1_칼 포퍼의 반증주의.pdf
- 읽을거리 : 포퍼, 과학 : 추측과 논박 (『추측과 논박』 중에서)
- 참고자료 : 포퍼, 귀납의 문제 | 쿤, 발견의 논리인가 탐구의 심리학인가 | 뒤엠-콰인 논제 | 퍼트넘, 이론의 승인
2주. 과학혁명의 구조 : 쿤의 패러다임
- 3월 12일. 패러다임과 정상과학
- 3월 14일. 과학혁명과 공약불가능성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2_과학혁명의 구조.pdf
- 읽을거리 : 쿤, 정상과학 (『과학혁명의 구조』, 2-5장 발췌) | 장하석, 과학혁명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4장)
3주. 과학적 방법이란 존재하는가 : 라카토슈 대 파이어아벤트
- 3월 19일. 라카토슈의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방법론
- 3월 21일. 파이어아벤트의 무정부주의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3_과학적 방법이란 존재하는가.pdf
- 읽을거리 : 라카토슈, 반증과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방법론 | 파이어아벤트, 방법에의 도전
- 참고자료 : 라카토슈, 과학과 사이비과학 | 파이어아벤트, 전문가를 위한 위안
4주. 과학과 사이비과학 : 창조과학 논쟁
- 3월 26일. 창조과학은 과학인가? 루즈 대 라우든
- 3월 28일. 토론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4_과학과 사이비과학 - 창조과학 논쟁.pdf
- 읽을거리 : 마이클 루즈, 창조과학은 과학이 아니다 | 래리 라우든, 코멘터리 : 법정의 과학─걱정의 이유
- 참고자료 : 구획 문제 | 김우재, 창조과학이 진화를 증명하다
- 1차 비평문 마감 (3월 29일 밤 12시)
5주. 코페르니쿠스 혁명
- 4월 2일. 이론의 미적 가치와 인식적 가치
- 4월 4일. 공유된 가치에 의한 이론 선택
- 읽을거리 : 쿤, 코페르니쿠스 체계의 조화 (『코페르니쿠스 혁명』 중에서) | 쿤, 객관성, 가치 판단, 그리고 이론 선택
- 참고자료 : 쿤, 행성들의 문제 (『코페르니쿠스 혁명』 중에서) | 쿤, 혁명의 완결+가치 (『과학혁명의 구조』, 12장+후기 중에서)
6주. 화학 혁명
7주. 사회적 가치와 객관성
- 4월 16일. 사회구성주의
- 4월 18일. 다양성과 객관성
- 읽을거리 : 케이틀린 오크룰릭, “젠더와 생명과학들”
- 참고자료 : 전중환, 남녀 갈등과 진화심리학
- 참고자료 : 버지니아 모렐, "트리메이트", "젠더의 렌즈를 통해 자연을 보다"
8주. 중간고사 기간
- 4월 23일.
- 4월 25일.
9주. 과학적 진리
- 4월 30일. 과학적 실재론과 관찰가능성
- 5월 2일. 조작가능성과 존재자 실재론
- 읽을거리 : 오카샤, 실재론과 반실재론 | 이언 해킹, 표상하기와 개입하기
- 참고자료 : 반 프라센,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논증들
10주. 인식과정의 반복
- 5월 7일. 온도계의 고정점은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까?
- 5월 9일. 인식 과정의 반복과 정합주의적 진보
- 읽을거리 1 : 장하석, 고정점의 의미와 성취; 규준적 측정의 문제와 혼합법; 르뇨의 비교동등성 시험 (『온도계의 철학』 중에서)
- 읽을거리 2 : 장하석, 다른 기초 물리량의 측정: 길이, 질량, 시간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3장 중에서)
11주. 물리학의 철학과 생물학의 철학
- 5월 14일. 절대 공간은 존재하는가
- 5월 16일. 생물 종이란 무엇인가
- 읽을거리 : 김재영, 절대공간은 존재할까? | 생물 종 개념
12주. 과학적 증거
- 5월 21일. 예측 대 포섭 논쟁
- 5월 23일. 통계적 가설의 시험
- 읽을거리 : 피터 립턴, 가설의 시험 : 예측과 편견 | 통계학의 철학
- 참고자료 : 정동욱, 이중 나선과 DNA 회절 사진 : 가설 구성에 사용된 자료는 증거가 될 수 있는가 | Philosophy of Statist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3주. 베이즈주의 인식론
- 5월 28일. 베이즈 정리와 두 가지 확률 개념
- 5월 30일. 베이즈주의 입증 이론의 가능성
14주. 인공지능의 철학
- 6월 4일. 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가?
- 읽을거리 : The Computational Theory of Mind
15주. 기말고사
- 6월 11일. 기말고사
관련 항목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9년 2학기 (001 강좌)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9년 2학기 (002 강좌)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9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8년 2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8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7년 2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7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6년 2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6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5년 1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