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Referring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스트로슨은 러셀의 기술구 이론을 반직관적이라며 비판하면서 다음을 주장한다. 표현 자체는 지시체를 갖지 않는다. 문장 자체는 참/거짓의 진리치를 갖지 않는다. 표현의 사용만이 지시체를 갖으며, 문장의 사용만이 참/거짓을 갖는다. 문장/표현 자체는 지시와 진리 주장과 같은 그것의 사용에 일반적 지침을 줄 뿐이다.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라는 문장의 발화는 프랑스의 왕의 존재나 그 유일성을 주장하지 않는다. 프랑스 왕의 존재는 그 문장의 발화가 참/거짓의 진리치를 갖기 위한 전제조건일 뿐이다. 그 전제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그 문장은 거짓이 아니라 무의미한 것이다.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가 유의미한 이유는 그것이 참/거짓을 가지기 때문이 아니라, 그 문장이 참/거짓 명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맥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문장의 발화의 참/거짓은 맥락에 의존하며, 'the man with the hat'와 같은 표현을 발화했을 때 그 발화의 지시체 또한 맥락에 의존한다.

러셀 이론의 반직관성

내가 프랑스의 왕이 대머리라고 말한다면, 당신의 대답은 '거짓말', '틀린 소리'가 아니라, '무슨 소리 하는거야? 프랑스는 군주제가 아니잖아', '바보같은 소리! 존재하지도 않는데 어떻게 대머리일 수가 있어?'일 것이다.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와 같은 문장이 거짓이라는 진리치를 가진다는 러셀의 이론은 틀렸다. 즉 반직관적이다. 직관에 따르면, 프랑스의 현재 왕이 없다면, 그런 표현을 포함하는 발화는 어딘가 흠이 있긴 하지만, 거짓인 것은 아니다. 그같은 발화는 프랑스 현재 왕의 존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전제(presuppose)하는 것이다. 전제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발화는 확정된 진리치를 가지지 못한다.

러셀의 기술구 이론의 의도

러셀의 기술구 이론은 다음의 논변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 약어 도입: "The King of France is wise"(S), "the King of France"(K)
  • 논변 1
    1. K는 문장 S의 주어이다. 따라서
    2. 만약 S가 유의미한 문장이라면, 그것은 프랑스의 왕에 관한 문장이다. 그러나
    3. 만약 프랑스의 왕이 없다면, S는 어떤 것에 대한 문장이 아니며, 즉 프랑스의 왕에 관한 문장이 아니다. 따라서
    4. S는 유의미하기 때문에, 프랑스의 왕은 어떤 의미에서든 (어떤 세계에서) 존재(exist or subsist)해야 한다.
  • 논변 2
    1. 만약 S가 유의미하다면, 그것은 참이거나 거짓 둘 중에 하나이다.
    2. 만약 K가 현명하다면 S는 참이고, K가 현명하지 않다면 S는 거짓이다.
    3. 그러나 K가 현명하다는 문장과 K가 그렇지 않다는 문장은 프랑스 왕인 어떤 것이 있을 경우에만 참일 수 있다.
    4. 따라서 프랑스의 왕이 어떤 의미에서든 존재해야 한다.

논변의 결론이 프랑스 왕의 존재를 요청하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러셀은 이 논변을 거부하고 "프랑스의 왕"과 같은 한정기술구를 지시체를 가진 진정한 이름으로 보기보다 문장 속에서 명제함수로 분해할 것을 제안하고, 그것이 포함된 문장을 존재 문장의 일종으로 분석할 것으로 제안한다.

러셀의 논변이 깔고 있는 의심스런 가정

러셀은 어떤 문장의 주어는 지시체를 가진 진정한 이름이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그래야 그 문장이 유의미한 문장, 즉 참/거짓의 진리치를 가진 문장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스트로슨은 이런 견해에 반대하기 위해, 문장(S)과 표현(K)을 위해 삼중의 구분을 제시한다.

  1. 문장/표현
  2. 문장/표현의 사용
  3. 문장/표현의 발화

러셀의 잘못은 이 세 가지를 혼동한 것! 사용에 대해 참인 것을 마치 문장 자체가 참인 듯 취급했다는 것이다. 스트로슨이 보기에, 지칭(denoting)은 표현과 그것이 지시하는 대상 사이의 관계가 아니다. 지시(referring)는 특정한 시공간에서 어떤 사람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즉 지시는 표현이 아니라 사람에 의해 이루어진다.

  • 문장 자체가 진리치를 갖는 것이 아니라, 문장은 참/거짓 명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며,
  • 한정기술구(나 이름) 자체가 대상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다.
  • 의미는 문장/표현의 기능이고,
  • 언급, 지시, 참/거짓은 문장/표현의 사용의 기능이다.
  • 한 표현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특정한 대상을 지시/언급하거나 하는 사용에 일반적 지침을 주는 것이며,
    • 예: 'the man with the hat'은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매우 다른 사람들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즉 그러한 지시를 하기 위한 일반적 지침을 제공할 뿐임.
  • 한 문장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참 또는 거짓 주장을 하거나 하는 사용에 일반적 지침을 주는 것이다.

비판 1: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는 참도 거짓도 아니다

러셀의 근본적 실수는 그의 언어관에 있다. 즉 문장은 명제를 표현하고, 표현은 대상을 지시한다는 생각 자체가 잘못이다. 스트로슨이 보기에, 문장은 어떤 목적을 위해, 즉 화자가 특정한 명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일 뿐, 그 자체로는 명제를 표현하지도 않으며 진리치도 갖지 않는다. 즉 러셀은 문장과 문장의 사용을 구별하지 못했다.

비판 2: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와 같은 문장을 발화할 때, 발화자는 프랑스 왕의 존재와 그 유일성을 주장하고 있지 않는다

이 문장이 참이기 위해 만족해야 할 세 가지 진리 조건

  1. 프랑스의 왕인 x가 존재한다
  2. 프랑스의 왕인 x는 오직 하나 존재한다
  3. 만일 x가 프랑스의 왕이면, x는 대머리이다(혹은 프랑스 왕이면서 대머리가 아닌 것은 없다)

그러나 이 문장의 발화는 프랑스 왕의 존재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 프랑스 왕의 존재는 주장된 것이 아니라 (그 문장이 참이기 위해) 함축되어 있는 것, 혹은 전제되어 있는 것이다.
  • 그 존재는 그 문장의 특정한 사용에 진리치가 부여될 수 있기 위해 충족되어야 할 조건이고,
  • 그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그러한 사용은 무의미, 불합리, 가짜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즉 러셀은 어떤 문장이든 참/거짓의 진리치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가정 하에서,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에서 프랑스 왕의 존재를 끌어냈지만, 어떤 문장이든 참/거짓의 진리치를 가진다는 가정 자체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러셀의 추론은 잘못되었다. 문장 자체는 참/거짓을 가지지 않으며, 문장의 발화도 항상 참/거짓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참/거짓을 가지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그 문장의 발화는 무의미한 것일 뿐 거짓이 아니다.

비판 3: 많은 통상적 기술은 맥락 의존적이다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가 유의미한 까닭은 그것이 프랑스 왕의 존재를 주장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 문장이 참 또는 거짓 명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맥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말은 부적절한 맥락도 존재한다는 뜻이 된다. 문장 자체가 유의미한 것(따라서 참 또는 거짓)으로 생각한 것이 러셀의 실수이다.

한편, 정관사가 포함된 한정기술구라고 해서 꼭 유일성을 함축하는 것은 아니다.

  • 예: 'The table is covered with books'를 러셀 식으로 분석하면,
    1. 'There is one and only one thing which is table, and if anything is a table, it is covered with books'
  • 즉 우주에 오직 하나의 탁자가 있다는 것을 함축하는 문장으로 분석된다.
  • 그러나 세상에는 복수의 탁자가 존재하고, 책으로 덮이지 않은 탁자들도 존재한다.
  • 따라서 러셀에 따르면 'The table is covered with books'은 거짓이 된다.
  • 'the table'의 지시체는 사용의 맥락에 달려있는데, 러셀은 이를 간과한 것이다.
  • 러셀의 가능한 대응
    • 우주에 오직 하나의 탁자만 있다는 것을 함축하는 것이 아니라, 유관한 지시체의 영역 내에 오직 하나의 탁자가 있다는 것만을 함축한다.
      그러나 유관 영역은 무엇? 어떻게 결정?
    • 'the table'은 축약된 표현. 예: 내 앞에 있는 그 탁자, 이 방의 유일한 탁자
      그러나, 주어진 한정기술구가 축약된 표현이라는 것은 어떻게 아는가?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