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 석사 논자시

PhiLoSci Wiki
imported>Yoehan.o님의 2016년 9월 14일 (수) 10:03 판 (새 문서: 분류:STS 분류:시험 분류:논자시 == 개요 == 석사 2번째 학기를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중에 실시된다. 종래에는 과학기술과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요

석사 2번째 학기를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중에 실시된다. 종래에는 과학기술과사회연구 과목에서 B+ 이상 성적을 맞았을 경우 텀 페이퍼를 제출하는 방식이었다. 2015년 후기 입학생에게 신규 적용되었으며, 2015년 전기 입학생까지 소급하여 적용되었다.

기출 문제

주제별

시민참여

  1. STS 에서 위험(risk)과 시민참여를 논하는 여러 학자들이 위험분석과 사전주의 원칙에 대해서 어떻게 다른 입장을 보이는지를 서술해 보라. (2016 여름)
    • 현재환, 홍성욱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 『과학기술학연구』 12권 2호 (2012), 33-79.
    • 현재환, 홍성욱 “STS 관점에서 본 위험 거버넌스 모델: 위험분석과 사전주의 원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15권 1호 (2015).
  2. "과학기술의 발전과 그 이용에 대한 결정은 이를 잘 아는 전문가들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하면서 이런 결정에 시민참여를 주장할 수 있는 근거에 대해서 논해보라. (2016 여름)
  3. Latour - de Vries 의 논쟁을 예로 들면서 과학기술학에서 '정치(politics)'의 층위와 역할에 대해서 논해보라. (2016 여름)
    • Gerard de Vries, "What is Political in Sub-Politics?: How Aristotle Might Help STS," Social Studies of Science 37 (2007), 781-809.
    • B. Latour, "Turning around Politics: A Note on Gerard de Vries’ Paper," Social Studies of Science 37 (2007), 811-820.


기출연도별

2016년 여름

시험에는 세 문제가 출제되어, 그 중 두 문제를 택하여 풀도록 하였다.

  • 당해년도 대상 학생들은 STS 통론이 아니라 '시민참여'를 테마로 한 STS 논문연구 수업을 수강했었기 때문에, STS 전반에 걸친 통론 범위 대신 수업에서 다룬 시민참여에 관련된 scope 에 해당하는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1. STS 에서 위험(risk)과 시민참여를 논하는 여러 학자들이 위험분석과 사전주의 원칙에 대해서 어떻게 다른 입장을 보이는지를 서술해 보라.
  2. "과학기술의 발전과 그 이용에 대한 결정은 이를 잘 아는 전문가들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하면서 이런 결정에 시민참여를 주장할 수 있는 근거에 대해서 논해보라.
  3. Latour - de Vries 의 논쟁을 예로 들면서 과학기술학에서 '정치(politics)'의 층위와 역할에 대해서 논해보라

링크

과학사통론1 석사 논자시‎‎: 석사 논자시의 과학사통론1 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