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784
번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
||
79번째 줄: | 79번째 줄: | ||
두 번째 문제는 실천의 정체성과도 관련이 있다. 실천은 개별 수행이 올바르거나 잘못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규범적이다. 그들의 규범성은 실천을 문화의 기호적 개념에 내재된 규범과 가치의 매력적인 대체물로 만든다. 그러나 규범성은 또한 규범과 실제 수행 집합 사이의 논리적 간극을 만든다. 단일 수행 집합을 고려할 때, 그들이 예시하는 실천을 표현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이 있다. 따라서 수행은 실천을 과소 결정한다 (Kripke 1982, Brandom 1994, Rouse 2007). 이 실천에 대한 게리맨더링 반대는 기호적 문화 모형을 감염시킨 문화적 경계 문제와 유사하지만, 더 나아간다. 서로 다른 수행을 적절하거나 부적절하다고 취급하는 것은 고유한 실천 규범을 지정할 것이다; 그러나 실천은 어떤 실천이 적절한지를 결정한다. 이 문제는 순환적인 것처럼 보인다. 게리맨더링 문제는 더 나아가서, 우리가 어느 실천 집합이 올바른지 규정하더라도, 하나 이상의 (동등하지 않은) 규칙이 예시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천은 인식론적으로 불가해한 것처럼 보인다. | 두 번째 문제는 실천의 정체성과도 관련이 있다. 실천은 개별 수행이 올바르거나 잘못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규범적이다. 그들의 규범성은 실천을 문화의 기호적 개념에 내재된 규범과 가치의 매력적인 대체물로 만든다. 그러나 규범성은 또한 규범과 실제 수행 집합 사이의 논리적 간극을 만든다. 단일 수행 집합을 고려할 때, 그들이 예시하는 실천을 표현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이 있다. 따라서 수행은 실천을 과소 결정한다 (Kripke 1982, Brandom 1994, Rouse 2007). 이 실천에 대한 게리맨더링 반대는 기호적 문화 모형을 감염시킨 문화적 경계 문제와 유사하지만, 더 나아간다. 서로 다른 수행을 적절하거나 부적절하다고 취급하는 것은 고유한 실천 규범을 지정할 것이다; 그러나 실천은 어떤 실천이 적절한지를 결정한다. 이 문제는 순환적인 것처럼 보인다. 게리맨더링 문제는 더 나아가서, 우리가 어느 실천 집합이 올바른지 규정하더라도, 하나 이상의 (동등하지 않은) 규칙이 예시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천은 인식론적으로 불가해한 것처럼 보인다. | ||
터너의 전달에 대한 주장과 게리맨더링 문제는 실천이 규칙성이나 행동 패턴으로 개념화될 때 발생한다. 조셉 루즈(Joseph Rouse) (2002, 2007)는 실천을 개념화하는 대안적인 방법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로버트 브랜덤(Robert Brandom)의 *Making It Explicit* (1994)와 도널드 데이비슨(Donald Davidson)의 후기 작업에서 나타나며, 하이데거(Heidegger)와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의 적절한 독해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인류학에서는 루즈의 실천 개념과 매우 유사한 것이 *The Dialogic Emergence of Culture* (Tedlock and Mannheim 1995)에서 작동하고 있다. 루즈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터너의 전달에 대한 주장과 게리맨더링 문제는 실천이 규칙성이나 행동 패턴으로 개념화될 때 발생한다. 조셉 루즈(Joseph Rouse) (2002, 2007)는 실천을 개념화하는 대안적인 방법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로버트 브랜덤(Robert Brandom)의 *Making It Explicit* (1994)와 도널드 데이비슨(Donald Davidson)의 후기 작업에서 나타나며, 하이데거(Heidegger)와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의 적절한 독해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인류학에서는 루즈의 실천 개념과 매우 유사한 것이 *The Dialogic Emergence of Culture* (Tedlock and Mannheim 1995)에서 작동하고 있다. 루즈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
{{인용|실천은 그 구성 요소 수행의 규칙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들 간의 상호작용 패턴으로서, 그들의 상호 규범적 책임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실천의 '규범적' 개념에서, 수행은 그것을 올바른 또는 잘못된 실천 수행으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 실천에 속한다. 그러한 책임을 지는 것은 실천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올바르게 또는 잘못되게 수행될 수 있다. 잘못된 경우, 이는 잘못된 책임을 지는 것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다시 책임을 지게 된다.(Rouse 2007, 269-270).}} | |||
첫 번째 요점은 수행이 서로에게 반응한다는 것이며, 이것이 그들을 실천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수행은 반복이 아니라 수정, 확장, 추론 또는 허가이다. 각 수행은 이전 수행에 대한 올바른 또는 잘못된 반응인 한에서 이미 규범적이다. 또한, 각 후속 수행은 대화에서 차례를 잡는 것처럼 이전 움직임의 재해석이다. 게리맨더링 문제를 초래하는 패턴의 전체성을 포착하려는 시도는 없다. 현재의 수행은 미래의 수행에 책임이 있으며, 이는 그들에 의해 비판(또는 칭찬)될 수 있지만, 과거의 어떤 것도 미래의 수행을 결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견해에서 실천은 중요한 의미에서 개방적이고 불확정적이다. | |||
루즈의 실천 개념은 이전 개념들이 직면한 일부 어려움을 극복한다고 주장될 수 있지만, 도전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실천은 너무 개방적이고 불확정적이어서 그들의 안정성이 놀라운 사실이 된다. 왜 실천이 지속되는가? 여기서 실천 이론가는 역학 이론가들이 호소하는 일부 인지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천 이론과 인류학적 역학 사이의 이러한 화해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 루즈의 실천 개념은 이전 개념들이 직면한 일부 어려움을 극복한다고 주장될 수 있지만, 도전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실천은 너무 개방적이고 불확정적이어서 그들의 안정성이 놀라운 사실이 된다. 왜 실천이 지속되는가? 여기서 실천 이론가는 역학 이론가들이 호소하는 일부 인지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천 이론과 인류학적 역학 사이의 이러한 화해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