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모형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3,754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3일 (월)
73번째 줄: 73번째 줄:
기어츠가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에 비트겐슈타인식 규칙 분석을 끌어오면서, 기호학적 문화 개념은 문화적 경계에 관한 보다 심화된 문제를 마주하게 됐다. 기어츠에게 두꺼운 기술(thick description)은 말과 행동의 광범위한 패턴을 종합한 것이었다. 따라서 두껍게 기술된 개념의 내용은 패턴의 경계가 설정되는 방식에 달려 있었다. 이는 비트겐슈타인의 규칙 분석이 어떤 사례가 올바른 적용 또는 잘못된 적용의 적절한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지에 의존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기호학적 문화 개념은 문화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다는 전제를 필요로 했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의해 전제된 문화 경계는 기능주의자들에게 문제가 되었던 것과 많은 면에서 유사한 문제가 있었다. 위에서 보았듯이, 로위와 같은 인류학자들은 이미 민속지학자들이 설정한 경계가 투과성을 띠고 비교적 자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이러한 비판이 인류학과 식민주의의 관계에 대한 정치적 우려로 더 심각해졌다. 20세기 민속지학적 현장연구는 대체로 식민지 확장의 길을 뒤따랐다. 외딴 지역과 사람들에 대한 접근은 식민 통치에 의해 용이해졌다. 이러한 관계는 인류학이 토착민들에 대한 식민 지배를 지원했을 것이라는 의심을 불러일으켰다(Asad 1973; Hymes 1969). 단일하고 통일된 문화를 제시하기 위해, 일인극적 민속지학은 지배적인 사람들의 얘기를 선택하고, 그와 반대되는, 주변적인, 또는 주변부의 목소리를 억압해야 했다. 또한 이러한 민속지학은 역사적으로 다른 공동체의 아이디어와 사람들이 상호 침투하고, 섞이고, 변화하는 방식을 흐릿하게 만들었다. 이는 민속지학적 표상이 '''오'''표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체 내에는 지배적인 규범, 규칙, 가치와 충돌하는 대안적 규범, 규칙, 가치가 있을 수 있으며, 과거의 실천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지역적인 논쟁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오표상은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 이러한 비판에 따르면, 일부 관점을 '''진정한''' 문화(''the'' culture)로 격상시키고 집단을 동질적인 것으로 제시하는 것은, 그들[문화 내 지배적인 사람들]을 간접 통치의 더 나은 주체로 만들어준다.
기어츠가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에 비트겐슈타인식 규칙 분석을 끌어오면서, 기호학적 문화 개념은 문화적 경계에 관한 보다 심화된 문제를 마주하게 됐다. 기어츠에게 두꺼운 기술(thick description)은 말과 행동의 광범위한 패턴을 종합한 것이었다. 따라서 두껍게 기술된 개념의 내용은 패턴의 경계가 설정되는 방식에 달려 있었다. 이는 비트겐슈타인의 규칙 분석이 어떤 사례가 올바른 적용 또는 잘못된 적용의 적절한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지에 의존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기호학적 문화 개념은 문화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다는 전제를 필요로 했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의해 전제된 문화 경계는 기능주의자들에게 문제가 되었던 것과 많은 면에서 유사한 문제가 있었다. 위에서 보았듯이, 로위와 같은 인류학자들은 이미 민속지학자들이 설정한 경계가 투과성을 띠고 비교적 자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이러한 비판이 인류학과 식민주의의 관계에 대한 정치적 우려로 더 심각해졌다. 20세기 민속지학적 현장연구는 대체로 식민지 확장의 길을 뒤따랐다. 외딴 지역과 사람들에 대한 접근은 식민 통치에 의해 용이해졌다. 이러한 관계는 인류학이 토착민들에 대한 식민 지배를 지원했을 것이라는 의심을 불러일으켰다(Asad 1973; Hymes 1969). 단일하고 통일된 문화를 제시하기 위해, 일인극적 민속지학은 지배적인 사람들의 얘기를 선택하고, 그와 반대되는, 주변적인, 또는 주변부의 목소리를 억압해야 했다. 또한 이러한 민속지학은 역사적으로 다른 공동체의 아이디어와 사람들이 상호 침투하고, 섞이고, 변화하는 방식을 흐릿하게 만들었다. 이는 민속지학적 표상이 '''오'''표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체 내에는 지배적인 규범, 규칙, 가치와 충돌하는 대안적 규범, 규칙, 가치가 있을 수 있으며, 과거의 실천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지역적인 논쟁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오표상은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 이러한 비판에 따르면, 일부 관점을 '''진정한''' 문화(''the'' culture)로 격상시키고 집단을 동질적인 것으로 제시하는 것은, 그들[문화 내 지배적인 사람들]을 간접 통치의 더 나은 주체로 만들어준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대한 두 번째 비판은 구조와 행위성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는 행위, 주관적 경험, 사회적 위치 등에서 넓은 개인차가 있다는 충분한 이유를 가지고 있다. 일인극적 민속지학은 이러한 차이를 덮어두고 전체 집단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패턴을 묘사하려고 했다. 이는 개인과 더 큰 집단 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문화의 규범적 차원에 대한 강조는 이러한 어려움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레나토 로살도(Renato Rosaldo)는 『문화와 진리』(Rosaldo 1989)에서 고전적 민속지학적 분석이 패턴을 식별하고 그것들을 의무적인 것으로 취급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로살도는 래드클리프-브라운의 안다만 제도 주민들에 대한 민속지학을 인용했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대한 두 번째 비판은 구조와 행위성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는 행위, 주관적 경험, 사회적 위치 등에서 넓은 개인차가 있다는 충분한 이유를 가지고 있다. 일인극적 민속지학은 이러한 차이를 덮어두고 전체 집단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패턴을 묘사하려고 했다. 이는 개인과 더 큰 집단 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문화의 규범적 차원에 대한 강조는 이러한 어려움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레나토 로살도(Renato Rosaldo)는 『문화와 진리』(Rosaldo 1989)에서 고전적 민속지학적 분석이 패턴들을 식별하고는 그것들을 의무적인 것으로 취급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로살도는 래드클리프-브라운의 안다만 제도 주민들에 대한 민속지학을 인용했다:


{{인용|두 친구나 친척이 떨어져 있다가 다시 만났을 때, 중단되었던 사회적 관계가 재개될 것이다. 이 사회적 관계는 그들 사이에 특정한 연대의 유대가 존재함을 전제로 한다. 울음 의식(및 그 후의 선물 교환)은 이 유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의식은 의무적이며, 두 참가자에게 특정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행동하도록 강요하며, 어느 정도 그들 안에서 이러한 감정을 만들어낸다.(Radcliffe-Brown [1922] 1933, Rosaldo 1989, 52에서 인용)}}
{{인용|두 친구나 친척이 떨어져 있다가 다시 만났을 때, 중단되었던 사회적 관계가 재개될 것이다. 이 사회적 관계는 그들 사이에 특정한 연대의 유대가 존재함을 전제로 한다. 울음 의식(및 그 후의 선물 교환)은 이 유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의식은 의무적이며, 두 참가자에게 특정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행동하도록 강요하며, 어느 정도 그들 안에서 이러한 감정을 만들어낸다.(Radcliffe-Brown [1922] 1933, Rosaldo 1989, 52에서 인용)}}


로살도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의무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사회적 경험을 왜곡하고 사회적 현실을 잘못 표현한다고 주장했다. 위험한 여정에서 돌아온 아이를 보는 기쁨과 안도감이 울음이라는 의무적 행동의 부산물로 축소된다. 민속지학이 원주민의 관점을 포착하려고 했다면, 이러한 경험을 일종의 공허한 연극으로 취급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실패를 나타낸다.
로살도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의무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사회적 경험을 왜곡하고 사회적 실재를 잘못 표상한다고 주장했다. 즉, 위험한 여정에서 돌아온 아이를 보는 기쁨과 안도감이 울음이라는 의무적 행위의 부산물로 축소된다. 민속지학이 현지인의 관점을 포착하려고 하는 한, 이러한 경험을 일종의 공허한 연극으로 취급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실패를 암시한다.
 
사회적 경험이 잘못 표상될 뿐만 아니라, 문화를 공유된 생각, 의무적 규범, 또는 관습적 행동의 집합으로 취급하는 것은 민속지학자가 개인들이 어떻게 규범과 관습에 저항하거나, 이를 활용하거나, 적응하거나, 재생산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는 것을 방해한다.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카빌(Kabyle)의 남성과 여성이 친족 관계를 다르게 나타내는 방식을 논의한 것은 이 점을 잘 보여준다. 표준 민속지학적 설명에 따르면, 카빌 사람들은 평행 사촌 결혼을 실천했으며, 관계는 남성 계통을 통해 계산되었다. 이는 여성이 선호하는 남편이 그녀의 아버지의 형제의 아들이거나, 더 확장된 관계가 필요할 경우, 그녀의 친할아버지의 손자들이라는 것을 의미했다. 부르디외는 실제 많은 경우에 친족 관계가 어머니 쪽을 통해서도 계산된다고 주장했다. 남성 계통을 통한 관계 계산은 공식 전략이었으며, 가족의 명예와 재산을 보호하거나 증진시켜야 할 때 사용되었다. 여성 계통을 통한 관계 계산은 덜 명예로웠지만, 결혼을 주선하고 실질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적절한 가족 관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었다(Bourdieu 1977, 53). 이러한 두 가지 계보 관계 계산 시스템을 고려할 때, 평행 사촌 결혼의 실천은 모호성을 초래할 수 있다. 부르디외는 평행 사촌 결혼의 결과로 인해 한 여성이 어머니의 형제의 아들(모계 1차 사촌)과 친할아버지의 형제의 손자(부계 2차 사촌, 할아버지의 형제의 손자)와 결혼한 예를 들었다(Bourdieu 1977, 42). 부르디외는 민속지학자들과 그들의 (남성) 정보원들이 공식 전략을 우선시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개인들이 이러한 관계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숨기게 된다. 결국, 모계 1차 사촌 관계는 부계 2차 사촌 관계보다 훨씬 가깝고, 이 사실은 누군가의 이익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공식 규칙이나 규범을 지지함으로써, 민속지학자들은 실제 패턴을 잘못 표상할 뿐만 아니라, (아마도 의도치 않게) 집단 내 기존 권력 관계를 강화한다. 그들은 개인들이 사회 구조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그리고 개인들이 공식 규칙을 어떻게 도구적으로나 전략적으로 사용하는지 볼 수 없게 만든다. 사람들은 특정 루틴을 따르도록 문화에 의해 프로그램된 것이 아니라, 그들의 환경의 요소로서 문화의 요소(명시적 규칙, 암묵적 규범, 모든 종류의 상징과 의미)를 취급한다. 규칙과 상징은 망치와 칼처럼 조작된다. 규칙은 따르는 만큼 자주 저항, 약화, 또는 위반된다. 따를 때는 즉각적이거나 전략적 맥락에서 가장 큰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구조 내에서 행위자들이 사회적으로 결정되지 않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하는 방식을 강조함으로써, 로살도(Rosaldo)와 부르디외(Bourdieu)와 같은 이론가들은 방법론적 개인주의로 돌아가지 않았다. 그들은 사회 구조가 단지 개인의 선택만으로는 재생산되지 않는 실천들에 의해 유지되며, 문화가 행위자의 믿음과 태도에 깊고 중요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구조와 행위성 사이에 동적이고 비환원적인 관계가 있음을 주장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20세기 중반 인류학을 지배했던 기호학적 문화 개념을 성공적으로 넘어섰다.


=== 6. 현대의 문화 모형들 ===
=== 6. 현대의 문화 모형들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