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784
번
100번째 줄: | 100번째 줄: | ||
신보아스주의자들처럼, 스퍼버는 문화를 특성의 분포로 취급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돌아가자고 제안했다. 스퍼버는 19세기와 20세기 초의 특성 이론에 두 가지 명백한 진전을 이룬다. 첫째, 그는 "특성"의 개념을 "표상"의 개념으로 대체한다. 스퍼버는 표상에 대해 철저히 유물론적 입장을 취한다. 위 인용문이 시사하듯, 표상은 개인의 정신적 표상이거나 공공 표상이 될 수 있다. 정신적 표상은 우리의 뇌에 있는 특징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역할을 한다(Sperber, 1996, 61). 공공 표상은 또한 텍스트, 깃털 막대기, 음파 패턴과 같은 시공간적 객체이다. 많은 해석자에게 열려 있다는 의미에서 공공적이지만, 그들은 개인의 정신적 표상에서 그 내용을 얻는다. 두 번째 진전은 첫 번째를 통해 가능해진다. 표상의 분포 패턴으로 문화적 차이를 개념화함으로써, 그는 일부 표상이 널리 분포되고 지속되는 이유(따라서 문화적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심리학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 신보아스주의자들처럼, 스퍼버는 문화를 특성의 분포로 취급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돌아가자고 제안했다. 스퍼버는 19세기와 20세기 초의 특성 이론에 두 가지 명백한 진전을 이룬다. 첫째, 그는 "특성"의 개념을 "표상"의 개념으로 대체한다. 스퍼버는 표상에 대해 철저히 유물론적 입장을 취한다. 위 인용문이 시사하듯, 표상은 개인의 정신적 표상이거나 공공 표상이 될 수 있다. 정신적 표상은 우리의 뇌에 있는 특징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역할을 한다(Sperber, 1996, 61). 공공 표상은 또한 텍스트, 깃털 막대기, 음파 패턴과 같은 시공간적 객체이다. 많은 해석자에게 열려 있다는 의미에서 공공적이지만, 그들은 개인의 정신적 표상에서 그 내용을 얻는다. 두 번째 진전은 첫 번째를 통해 가능해진다. 표상의 분포 패턴으로 문화적 차이를 개념화함으로써, 그는 일부 표상이 널리 분포되고 지속되는 이유(따라서 문화적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심리학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 ||
전염병 접근 방식을 통해, 인류학은 질병의 분포와 전파를 설명하는 조건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것처럼, 표상의 분포와 전파에 관한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둘 다 중간 범위 이론의 다양한 수집을 통해 문제를 접근하며, 거대한 통합 이론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전염병 접근 방식은 " | 전염병 접근 방식을 통해, 인류학은 질병의 분포와 전파를 설명하는 조건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것처럼, 표상의 분포와 전파에 관한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둘 다 중간 범위 이론의 다양한 수집을 통해 문제를 접근하며, 거대한 통합 이론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전염병 접근 방식은 "인과적 힘을 가진 모든 것은 오직 그 물리적 특성 덕분에 이러한 힘을 가진다"는 의미에서 유물론적이다(Sperber, 1996, 10). 규범, 규칙, 가치, 믿음 또는 기타 비물질적 실체에 대한 존재론적 의무는 없다. | ||
스퍼버의 전염벙 접근의 중요한 결과는 인류학적 이론화의 질문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영향을 받은 인류학적 작업은 믿음 체계, 사회 구조, 권력 관계 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패턴과 같은 개별적 실체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염병 접근 방식은 모든 문화 현상을 개별 표상의 산물로 취급한다. 새로운 도전 과제는 왜 일부 표상이 지속되고 널리 분포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왜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이 인간 집단에서 그렇게 흔한가? 이러한 질문은 인지 심리학 연구와 자연스러운 관계가 있으며, 전염병 접근 방식은 심리학의 자원을 사용하여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사람들에게 채택되었다. 지난 20년 동안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유익했다. Scott Atran (2002), Pascal Boyer (1994, 2001), Peter Richerson와 Robert Boyd (2005), Robert McCauley와 Thomas Lawson (2002), Harvey Whitehouse (1995) 등은 이 도전을 받아들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연구를 생산했다. 예를 들어, McCauley와 Lawson, Whitehouse는 기억에 대한 최근 작업을 사용하여 의례 수행의 특정 특징을 설명했다. Boyer와 Atran은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거의 보편적인 믿음을 설명하기 위해 인지적 성향을 호소했다. 인지 과학과 인류학의 연합이 전염병 문화 모형에 의해 촉진된 경험적 풍요로움은 그에 대한 가장 강력한 논증 중 하나이다. | 스퍼버의 전염벙 접근의 중요한 결과는 인류학적 이론화의 질문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영향을 받은 인류학적 작업은 믿음 체계, 사회 구조, 권력 관계 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패턴과 같은 개별적 실체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염병 접근 방식은 모든 문화 현상을 개별 표상의 산물로 취급한다. 새로운 도전 과제는 왜 일부 표상이 지속되고 널리 분포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왜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이 인간 집단에서 그렇게 흔한가? 이러한 질문은 인지 심리학 연구와 자연스러운 관계가 있으며, 전염병 접근 방식은 심리학의 자원을 사용하여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사람들에게 채택되었다. 지난 20년 동안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유익했다. Scott Atran (2002), Pascal Boyer (1994, 2001), Peter Richerson와 Robert Boyd (2005), Robert McCauley와 Thomas Lawson (2002), Harvey Whitehouse (1995) 등은 이 도전을 받아들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연구를 생산했다. 예를 들어, McCauley와 Lawson, Whitehouse는 기억에 대한 최근 작업을 사용하여 의례 수행의 특정 특징을 설명했다. Boyer와 Atran은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거의 보편적인 믿음을 설명하기 위해 인지적 성향을 호소했다. 인지 과학과 인류학의 연합이 전염병 문화 모형에 의해 촉진된 경험적 풍요로움은 그에 대한 가장 강력한 논증 중 하나이다. | ||
125번째 줄: | 125번째 줄: | ||
첫 번째 요점은 수행이 서로에게 반응한다는 것이며, 이것이 그들을 실천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수행은 반복이 아니라 수정, 확장, 추론 또는 허가이다. 각 수행은 이전 수행에 대한 올바른 또는 잘못된 반응인 한에서 이미 규범적이다. 또한, 각 후속 수행은 대화에서 차례를 잡는 것처럼 이전 움직임의 재해석이다. 게리맨더링 문제를 초래하는 패턴의 전체성을 포착하려는 시도는 없다. 현재의 수행은 미래의 수행에 책임이 있으며, 이는 그들에 의해 비판(또는 칭찬)될 수 있지만, 과거의 어떤 것도 미래의 수행을 결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견해에서 실천은 중요한 의미에서 개방적이고 불확정적이다. | 첫 번째 요점은 수행이 서로에게 반응한다는 것이며, 이것이 그들을 실천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수행은 반복이 아니라 수정, 확장, 추론 또는 허가이다. 각 수행은 이전 수행에 대한 올바른 또는 잘못된 반응인 한에서 이미 규범적이다. 또한, 각 후속 수행은 대화에서 차례를 잡는 것처럼 이전 움직임의 재해석이다. 게리맨더링 문제를 초래하는 패턴의 전체성을 포착하려는 시도는 없다. 현재의 수행은 미래의 수행에 책임이 있으며, 이는 그들에 의해 비판(또는 칭찬)될 수 있지만, 과거의 어떤 것도 미래의 수행을 결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견해에서 실천은 중요한 의미에서 개방적이고 불확정적이다. | ||
루즈의 실천 개념은 이전 개념들이 직면한 일부 어려움을 극복한다고 주장될 수 있지만, 도전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실천은 너무 개방적이고 불확정적이어서 그들의 안정성이 놀라운 사실이 된다. 왜 실천이 지속되는가? 여기서 실천 이론가는 | 루즈의 실천 개념은 이전 개념들이 직면한 일부 어려움을 극복한다고 주장될 수 있지만, 도전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실천은 너무 개방적이고 불확정적이어서 그들의 안정성이 놀라운 사실이 된다. 왜 실천이 지속되는가? 여기서 실천 이론가는 전염병 이론가들이 호소하는 일부 인지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천 이론과 인류학적 전염병 모형 사이의 이러한 화해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 ||
=== 7. 결론: 철학적 문제들의 변형 === | === 7. 결론: 철학적 문제들의 변형 === | ||
이 장 전반에서 두 가지 철학적 문제의 다양한 표현을 보았다: 방법론적 개인주의 문제와 구조와 행위의 문제이다. 이들 전통적인 형태에서, 두 철학적 논쟁 모두 자족적인 행위자의 개념을 전제한다. 해당 행위자들은 믿음, 의도, 욕망, 그리고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의도적 행동은 이러한 것들로부터 나온다. 이들의 명제적 태도의 내용은 지역 문화에 의존할 수 있지만, 그러한 행위자들의 존재와 그 속성은 문화와 독립적이다. 행위에 대한 이러한 강력한 개념이 있어야만, 문화가 행위자들의 행동이나 의도 상태로 환원되는지 여부에 대한 형이상학적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회 구조나 행위자가 설명 우선권을 갖는지에 대한 질문은 특정 구조의 존재와 독립적으로 의도적 행동이 존재할 수 있다고 전제할 때만 발생한다. | 이 장 전반에서 두 가지 철학적 문제의 다양한 표현을 보았다: 방법론적 개인주의 문제와 구조와 행위의 문제이다. 이들 전통적인 형태에서, 두 철학적 논쟁 모두 자족적인 행위자의 개념을 전제한다. 해당 행위자들은 믿음, 의도, 욕망, 그리고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의도적 행동은 이러한 것들로부터 나온다. 이들의 명제적 태도의 내용은 지역 문화에 의존할 수 있지만, 그러한 행위자들의 존재와 그 속성은 문화와 독립적이다. 행위에 대한 이러한 강력한 개념이 있어야만, 문화가 행위자들의 행동이나 의도 상태로 환원되는지 여부에 대한 형이상학적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회 구조나 행위자가 설명 우선권을 갖는지에 대한 질문은 특정 구조의 존재와 독립적으로 의도적 행동이 존재할 수 있다고 전제할 때만 발생한다. 전염병 모형과 실천 이론의 두드러진 특징은 전통적인 의미의 행위자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현대 문화 모형의 맥락에서 이러한 전통적인 철학적 문제는 어떻게 되는가? | ||
방법론적 개인주의 문제와 관련하여, | 방법론적 개인주의 문제와 관련하여, 전염병이나 실천 이론은 존재론적 환원을 제안하지 않는다. 스퍼버의 표현 인구에 대한 논의를 환원주의적으로 읽는 것은 유혹적이지만, 이는 실수일 것이다. 표현은 관계적이며, 이는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나타내는 객체이다. 모든 표현이 정신적이지는 않다; 공공 표현은 스퍼버의 전염병 모형이 다루는 인과적 연쇄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실천 이론은 실천을 규칙성 또는 수행의 규범적 상호작용으로 개념화하든 유사한 위치에 있다. 두 모형 모두 일종의 관계를 설명의 기본적이고 환원 불가능한 특징으로 취한다. 동시에, 어느 쪽도 수행(실천 이론의 경우) 또는 표현을 구성하는 물질적 객체(전염병의 경우) 이상으로 존재론적 범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두 견해 모두 유물론적 존재론에 만족하는 것 같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두 문화의 견해 모두 사회적 수준의 현상(표현, 실천)을 행위 수준 이하의 무언가와 관련짓는 것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는 전염병의 경우 가장 분명하다: 근본적인 설명 대상은 인지 메커니즘과 공공 표현이다. 일부 이전의 실천 이론은 전통적으로 개념화된 행위자와 사회 구조를 대조하지만, 새로운 버전은 행위자가 구조에 의해 창조된다고 본다. 루즈가 실천 이론의 기초로 사용하는 Brandomian의 내용에 대한 설명을 채택하면 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다시 말해, 행위는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과 그 실천 자체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한다. | ||
구조와 행위 문제와 관련하여, | 구조와 행위 문제와 관련하여, 전염병 모형과 실천 이론 모두 규칙 체계로서의 문화/사회 개념을 없애더라도 구조에 상응하는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 전염병 관점에서 구조에 상응하는 것은 특성의 분포이지만, 이러한 분포는 거의 또는 전혀 설명적 가치를 가지지 않는다. 반대로, 그것들은 설명이 필요하다. 동시에, 전염병 모형은 설명에서 행위에 강조를 두지 않는다. Boyd와 Richerson의 경우, 선택의 개념이 분석에 작용하지만, 이는 최소한의 역할을 하는 다소 얇은 개념이다. Sperber나 Atran의 경우, 행위자 선택은 역할을 하지 않는다: 설명 대상은 개인 수준 이하의 인지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전염병 모형의 경우, 구조나 행위가 설명 우선권을 가지는 것 같지 않다. 실천 이론의 경우, 실천에 상당한 설명적 가치를 부여하며, 이는 전통 이론의 구조를 대신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의 독특한 진보는 실천과 수행을 상호 구성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모든 상황에서 어느 쪽도 다른 쪽에 대해 설명 우선권을 가지지 않으며, 설명 관계의 방향은 상황과 설명해야 할 것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다. Rouse가 권장하는 상호작용적 실천 개념으로 이동함에 따라, 의도적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 수준 이하의 능력과 그들에게 내용을 제공하는 실천에 의해 구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우리는 문제의 행위 측면을 파악하는 능력을 잃기 시작한다. | ||
현대의 문화 모형은 사회 과학의 인식론적 및 형이상학적 문제를 재구성하는 데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 그것들은 모두 강력하고 전통적인 개인 행위 개념을 희석시키기 때문에,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구조와 행위의 문제는 고전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유사한 문제는 발생한다: 두 견해 모두 마음 철학에서 비환원적 유물론에 상응하는 존재론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실천 이론은 실천과 수행 사이의 설명 관계를 풀어야 하는 추가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것이며, 우리가 익숙한 철학적 난제는 아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계속되는 철학적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 현대의 문화 모형은 사회 과학의 인식론적 및 형이상학적 문제를 재구성하는 데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 그것들은 모두 강력하고 전통적인 개인 행위 개념을 희석시키기 때문에,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구조와 행위의 문제는 고전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유사한 문제는 발생한다: 두 견해 모두 마음 철학에서 비환원적 유물론에 상응하는 존재론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실천 이론은 실천과 수행 사이의 설명 관계를 풀어야 하는 추가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것이며, 우리가 익숙한 철학적 난제는 아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계속되는 철학적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