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인용/연습장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셀라스, 스마트(J. J. C. Smart) 그리고 하만(Gilbert Harman)이 다양한 방식으로 개진해온 견해는 합리적인 추론의 규준(canon)이 과학적 실재론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이 문제를 다루면서 과학 자체를 수행할 때와 동일한 추론의 패턴을 따라야 한다면, 그러면서도 우리가 받아들인 과학 이론의 참됨을 주장하지 않는다면 우리 스스로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셀라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내 생각에, 한 이론을 받아들일 좋은 이유를 갖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 그 이론에서 가정된 존재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받아들일 좋은 이유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다음을 뜻한다.
1957년에 출판된 『코페르니쿠스 혁명』은 토머스 쿤이 집필한 첫 번째 책이다. 이 책은 5년 뒤 출판한 『과학혁명의 구조』와 함께 과학에 대한 통념을 허물고 새로운 과학관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과학적 변화의 일반적인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거대한 사례 연구로 기획되었으며, 그 내용은 쿤이 강의했던 하버드대학의 교양 과학 수업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47년 가을 물리학 박사 과정에 있던 쿤은 하버드대학 총장 제임스 코넌트가 개설한 교양 과학 수업의 조교로 참여하면서 개인적인 ‘혁명’을 경험했다. 17세기 역학의 기원에 대한 강의를 준비해야 했던 그는 뉴턴 역학과의 비교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글을 읽다가 당혹감에 빠졌다. 뉴턴의 역학 체계로 교체되기 전까지 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서양 과학을 지배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가 너무나 엉터리로 보였기 때문이다. 쿤은 그런 엉터리 같은 내용이 사람들을 사로잡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글과 끈질기게 씨름했고, “어느 기록적인(매우 뜨거웠던) 여름 어느 날, 그러한 당황스러움은 한꺼번에 사라졌다”. 그날 그에게는 모종의 “개념적 재조정”이 일어났고, 이를 통해 그는 글 전체를 합리적으로 만들어 주는 이해 방식을 발견했다. 더 중요하게, 개인이 과거의 글을 이해하는 데 그러한 개념적 재조정이 필수적이라면, 그것은 역사적으로도 일어났어야 했다. 이는 쿤이 과학도로서 습득했던 과학 지식의 발전 방식인 축적에 의한 발전과 충돌했다. 1977년 저서 『본질적 긴장』의 서문에서 스스로 회고한 바에 따르면, 그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읽음으로써 들춰낸 것은 인류가 자연을 보거나 그것에 언어를 적용하는 데서 이루어진 전체적인 종류의 변화로, 이는 지식의 추가나 단지 단편적인 오류의 수정으로는 적절히 묘사할 수 없는 것”이었다. 만약 이러한 종류의 개념적 전환이 과학의 특징이라면, 과학 지식이 어떻게 발전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그림이 필요했다. 그가 보기에 이 그림을 추구하는 최선의 방법은 “과학사학자가 과거를 되찾는 데, 또는 반대로 과거에서 현재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근본적인 개념적 재조정”을 조사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