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맬서스와 진화론자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5월 21일 (화)
81번째 줄: 81번째 줄:
{{인용|그러나 아마도 내가 읽은 가장 중요한 책은 맬서스의 『인구론』일 것이며 나는 사실들의 탁월한 요약과 결론으로의 논리적인 추론 때문에 이 책에 매우 탄복했다. 그것은 그 당시까지 읽은 것 중 철학적인 생물학의 어떤 문제를 취급하는 첫 번째 책이었으며, 그 주요 원리들은 영원히 내 것으로 남게 되었고 20년 후 생물 종의 진화의 유효한 작인에 대해 오래도록 찾던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인용|그러나 아마도 내가 읽은 가장 중요한 책은 맬서스의 『인구론』일 것이며 나는 사실들의 탁월한 요약과 결론으로의 논리적인 추론 때문에 이 책에 매우 탄복했다. 그것은 그 당시까지 읽은 것 중 철학적인 생물학의 어떤 문제를 취급하는 첫 번째 책이었으며, 그 주요 원리들은 영원히 내 것으로 남게 되었고 20년 후 생물 종의 진화의 유효한 작인에 대해 오래도록 찾던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월러스는 그때 20대 초반이었다. 몇 장 뒤에서 그는 맬서스를 읽은 것이 자기 인생의 전환점을 형성한 두 가지 사건 중의 하나라고 하면서 {{"|그 저술이 없었더라면 나는 아마도 자연선택 이론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며 그것의 독자적 발견에 대한 완전한 인정을 받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 월러스가 실제로 최적자 생존이라는 개념을 생각했을 때, 껏은 말레이 군도에서의 인류의 기원에 관한 인종학적인 연구의 맥락에서였다. 우리는 월러스의 이에 대한 네 가지 언급을 알 수 있는데 그것들은 모두 맬서스 이론을 인간 종에 응용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다른 종들로 확대되는 특징을 보인다.
월러스는 그때 20대 초반이었다. 몇 장 뒤에서 그는 맬서스를 읽은 것이 자기 인생의 전환점을 형성한 두 가지 사건 중의 하나라고 하면서 {{"|그 저술이 없었더라면 나는 아마도 자연선택 이론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며 그것의 독자적 발견에 대한 완전한 인정을 받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 월러스가 실제로 최적자 생존이라는 개념을 생각했을 때, 그것은 말레이 군도에서의 인류의 기원에 관한 인종학적인 연구의 맥락에서였다. 우리는 월러스의 이에 대한 네 가지 언급을 알 수 있는데 그것들은 모두 맬서스 이론을 인간 종에 응용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다른 종들로 확대되는 특징을 보인다.


{{인용|다시 종의 기원의 문제를 고려하고 있는 동안 무엇인가가 나로 하여금 맬서스의 『인구론』(이것은 내가 10년쯤 전에 읽었는데)과 모든 야만인들의 수를 거의 정체 상태로 유지시켜준다고 그가 내세운 '적극적 제한' -- 전쟁・질병・기아・사고 등 -- 을 생각하게 해주었다. 그때 이 제한들은 동물에도 틀림없이 작용하여 그 수를 작게 유지토록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인간보다 매우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 그것들에게는 이 제한이 훨씬 강력해야 한다는 것이 분명했다. ... 이것이 어떤 종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어렴풋이 생각하는 동안 '''최적자 생존'''이라는 생각이 번뜩 떠올랐다.}}
{{인용|다시 종의 기원의 문제를 고려하고 있는 동안 무엇인가가 나로 하여금 맬서스의 『인구론』(이것은 내가 10년쯤 전에 읽었는데)과 모든 야만인들의 수를 거의 정체 상태로 유지시켜준다고 그가 내세운 '적극적 제한' -- 전쟁・질병・기아・사고 등 -- 을 생각하게 해주었다. 그때 이 제한들은 동물에도 틀림없이 작용하여 그 수를 작게 유지토록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인간보다 매우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 그것들에게는 이 제한이 훨씬 강력해야 한다는 것이 분명했다. ... 이것이 어떤 종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어렴풋이 생각하는 동안 '''최적자 생존'''이라는 생각이 번뜩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