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Deep Learning to Rational Machines/Imaginatio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0번째 줄: 10번째 줄:
둘째, 사고의 생산성 문제 : 경험주의적 마음은 과거에 한 번도 경험해 본 적 없는 새로운 복합 관념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가? 포더는 경험을 통해 획득한 관념의 분해와 자유로운 재합성에 호소하는 흄의 설명이 겉보기에만 훌륭할 뿐, 세부사항이 없는 빈 설명이라고 불평한다.
둘째, 사고의 생산성 문제 : 경험주의적 마음은 과거에 한 번도 경험해 본 적 없는 새로운 복합 관념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가? 포더는 경험을 통해 획득한 관념의 분해와 자유로운 재합성에 호소하는 흄의 설명이 겉보기에만 훌륭할 뿐, 세부사항이 없는 빈 설명이라고 불평한다.


셋째, 사고 간의 인과적 관계와 의도적 관계 구별하기의 문제 : 흄은 연합된 이미지는 경험에서 복사된 것이 아니라 상상력에 의해 종합된 것이며, 그 연합된 이미지의 강도를 통해 신뢰성을 검토한다고 얘기한 바 있는데, 이는 오늘날의 확률적 추론에 대한 휴리스틱 접근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사고 간의 인과적 관계와 의도적 관계 구별하기의 문제 : 포더에 따르면, 연합주의는 사고의 내용 사이의 의도적(의미론적) 관계와 사고 자체의 인과적 관계를 구별하지 못한다. ... 흄은 연합된 이미지는 경험에서 복사된 것이 아니라 상상력에 의해 종합된 것이며, 그 연합된 이미지의 강도를 통해 신뢰성을 검토한다고 얘기한 바 있는데, 이는 오늘날의 확률적 추론에 대한 휴리스틱 접근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흄의 상상력 설명에 대한 포더의 비판===
===흄의 상상력 설명에 대한 포더의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