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모형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3일 (월)
잔글
109번째 줄: 109번째 줄:
Sperber의 역학의 중요한 결과는 인류학적 이론화의 질문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영향을 받은 인류학적 작업은 믿음 체계, 사회 구조, 권력 관계 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패턴과 같은 개별적 실체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염병 접근 방식은 모든 문화 현상을 개별 표상의 산물로 취급한다. 새로운 도전 과제는 왜 일부 표상이 지속되고 널리 분포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왜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이 인간 집단에서 그렇게 흔한가? 이러한 질문은 인지 심리학 연구와 자연스러운 관계가 있으며, 전염병 접근 방식은 심리학의 자원을 사용하여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사람들에게 채택되었다. 지난 20년 동안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유익했다. Scott Atran (2002), Pascal Boyer (1994, 2001), Peter Richerson와 Robert Boyd (2005), Robert McCauley와 Thomas Lawson (2002), Harvey Whitehouse (1995) 등은 이 도전을 받아들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연구를 생산했다. 예를 들어, McCauley와 Lawson, Whitehouse는 기억에 대한 최근 작업을 사용하여 의례 수행의 특정 특징을 설명했다. Boyer와 Atran은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거의 보편적인 믿음을 설명하기 위해 인지적 성향을 호소했다. 인지 과학과 인류학의 연합이 전염병 문화 모형에 의해 촉진된 경험적 풍요로움은 그에 대한 가장 강력한 논증 중 하나이다.
Sperber의 역학의 중요한 결과는 인류학적 이론화의 질문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기호학적 문화 개념에 영향을 받은 인류학적 작업은 믿음 체계, 사회 구조, 권력 관계 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패턴과 같은 개별적 실체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염병 접근 방식은 모든 문화 현상을 개별 표상의 산물로 취급한다. 새로운 도전 과제는 왜 일부 표상이 지속되고 널리 분포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왜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믿음이 인간 집단에서 그렇게 흔한가? 이러한 질문은 인지 심리학 연구와 자연스러운 관계가 있으며, 전염병 접근 방식은 심리학의 자원을 사용하여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사람들에게 채택되었다. 지난 20년 동안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유익했다. Scott Atran (2002), Pascal Boyer (1994, 2001), Peter Richerson와 Robert Boyd (2005), Robert McCauley와 Thomas Lawson (2002), Harvey Whitehouse (1995) 등은 이 도전을 받아들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연구를 생산했다. 예를 들어, McCauley와 Lawson, Whitehouse는 기억에 대한 최근 작업을 사용하여 의례 수행의 특정 특징을 설명했다. Boyer와 Atran은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거의 보편적인 믿음을 설명하기 위해 인지적 성향을 호소했다. 인지 과학과 인류학의 연합이 전염병 문화 모형에 의해 촉진된 경험적 풍요로움은 그에 대한 가장 강력한 논증 중 하나이다.


==== 6.4 실천 이론(Practice Theory) ====
==== 6.3 실천 이론(Practice Theory) ====
실천 이론(Practice Theory)은 문화에 대한 보아스(Boas)의 개념을 다듬어 좀 더 견고한 심리학적 근거를 마련하여 그 이론의 일관성을 개선하였다. 실천 이론은 또한 문화 통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여 문화를 구체화하지 않으면서도 사회 구조 내에서의 행위 주체의 역할을 더 만족스럽게 설명한다. 신보아스주의(neo-Boasians)도 실천 이론과 자신들의 작업이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 로젠블랫(Rosenblatt)은 베네딕트(Benedict)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였다:
실천 이론(Practice Theory)은 문화에 대한 보아스(Boas)의 개념을 다듬어 좀 더 견고한 심리학적 근거를 마련하여 그 이론의 일관성을 개선하였다. 실천 이론은 또한 문화 통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여 문화를 구체화하지 않으면서도 사회 구조 내에서의 행위 주체의 역할을 더 만족스럽게 설명한다. 신보아스주의(neo-Boasians)도 실천 이론과 자신들의 작업이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 로젠블랫(Rosenblatt)은 베네딕트(Benedict)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였다:


"그녀의 아이디어는 셰리 오트너(Sherry Ortner)가 '실천 이론'이라는 명칭 아래 모아놓은 아이디어 및 접근법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984, 1996).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처럼, 베네딕트는 문화적 전체를 개인 행위자에게 제시되는 딜레마와 가능성의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그 전체가 행위자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베네딕트에게 있어서, 문화적 전체는 행위자에 내재된 방식으로 존재한다. 부르디외, 샬린스(Sahlins), 기든스(Giddens), 오트너와 같은 '실천 이론가들'과 마찬가지로, 그녀도 이러한 형성이 상호적이라는 것을 느꼈다. 즉, 문화가 개인을 형성하는 것처럼, 개인도 때때로 문화를 형성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다" (Rosenblatt, 2004, 461).
{{인용|그녀의 아이디어는 셰리 오트너(Sherry Ortner)가 '실천 이론'이라는 명칭 아래 모아놓은 아이디어 및 접근법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1984, 1996).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처럼, 베네딕트는 문화적 전체를 개인 행위자에게 제시되는 딜레마와 가능성의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그 전체가 행위자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베네딕트에게 있어서, 문화적 전체는 행위자에 내재된 방식으로 존재한다. 부르디외, 샬린스(Sahlins), 기든스(Giddens), 오트너와 같은 '실천 이론가들'과 마찬가지로, 그녀도 이러한 형성이 상호적이라는 것을 느꼈다. 즉, 문화가 개인을 형성하는 것처럼, 개인도 때때로 문화를 형성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다.(Rosenblatt, 2004, 461)}}


로젠블랫이 언급한 오트너의 에세이 "Theory in Anthropology since the Sixties" (1984)는 종종 실천 이론의 시작점으로 간주된다. 오트너는 여러 사상의 흐름을 종합하고 실천으로의 전환이 1980년대 인류학 이론의 상징임을 주장했다.
로젠블랫이 언급한 오트너의 에세이 "Theory in Anthropology since the Sixties" (1984)는 종종 실천 이론의 시작점으로 간주된다. 오트너는 여러 사상의 흐름을 종합하고 실천으로의 전환이 1980년대 인류학 이론의 상징임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