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모형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40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3일 (월)
56번째 줄: 56번째 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문화 개념은 인류학 내부와 외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인류학에 주목한 최초의 철학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비드니(David Bidney)는 문화 개념이 "실재론적"과 "관념론적" 두 그룹으로 나뉜다고 주장했다 (Bidney 1944, 1942). 실재론자들은 문화를 습관, 관습적 행동 및 물질적 객체와 동일시했다. 관념론적 개념은 문화를 규범, 이상, 신념으로 정의했다. 비드니는 타일러와 보아스를 실재론 범주에 넣었으며, 보아스의 제자인 루스 베네딕트(Ruth Benedict)와 마거릿 미드(Margaret Mead)도 포함시켰다. 이를 통해 그는 특성 이론의 한 측면을 강조했는데, 이들은 행동과 물질적 객체를 특성으로 포함시켰다. 물론, 이들은 신념, 가치 및 비드니가 관념론적이라고 분류한 다른 요소들도 포함했다. 비드니의 구분은 20세기 초반의 문화에 대한 사고에서 모호성을 지적하며, 그 모호성은 20세기 중반의 문화 개념화에서 중요한 분열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문화 개념은 인류학 내부와 외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인류학에 주목한 최초의 철학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비드니(David Bidney)는 문화 개념이 "실재론적"과 "관념론적" 두 그룹으로 나뉜다고 주장했다 (Bidney 1944, 1942). 실재론자들은 문화를 습관, 관습적 행동 및 물질적 객체와 동일시했다. 관념론적 개념은 문화를 규범, 이상, 신념으로 정의했다. 비드니는 타일러와 보아스를 실재론 범주에 넣었으며, 보아스의 제자인 루스 베네딕트(Ruth Benedict)와 마거릿 미드(Margaret Mead)도 포함시켰다. 이를 통해 그는 특성 이론의 한 측면을 강조했는데, 이들은 행동과 물질적 객체를 특성으로 포함시켰다. 물론, 이들은 신념, 가치 및 비드니가 관념론적이라고 분류한 다른 요소들도 포함했다. 비드니의 구분은 20세기 초반의 문화에 대한 사고에서 모호성을 지적하며, 그 모호성은 20세기 중반의 문화 개념화에서 중요한 분열이 되었다.


비드니에 따르면, 문화가 실재론적 용어로 개념화될 때, 그것은 "사회 속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것은 사회적 생활의 한 방식이며, 그것이 속한 실제 그룹 또는 그룹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Bidney 1942, 449). 이 견해는 아마도 조지 머독(George Murdock) (1949)과 레슬리 화이트(Leslie White) (1949)와 같은 강력한 비교 및 진화적 틀에서 작업을 계속한 이론가들에 의해 가장 잘 대표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이 문화 개념은 생태학적 또는 경제적 용어로 문화 현상을 설명하려는 사람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마빈 해리스(Marvin Harris)를 따라, 이러한 종류의 인류학 작업은 "문화 물질주의"라고 불릴 수 있다 (Harris 1968). 이 접근법의 중요한 결과는 문화 자체에 거의 또는 전혀 설명적 역할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타일러처럼, "문화"는 설명되어야 할 현상 그룹을 지칭한다.
비드니에 따르면, 문화가 실재론적 용어로 개념화될 때, 그것은 "사회 속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것은 사회적 생활의 한 방식이며, 그것이 속한 실제 그룹 또는 그룹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Bidney 1942, 449).<ref>이 인용문은 현대의 철학적 용어로 표현할 때, 비드니(Bidney)의 실재론이 문화에 관한 반실재론의 한 형태, 또는 더 나아가 환원주의로 묘사될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그의 관념론은 문화를 그 문화 속에 사는 개인들에 더해서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한에서만 '''실재론적'''이다.</ref> 이 견해는 아마도 조지 머독(George Murdock) (1949)과 레슬리 화이트(Leslie White) (1949)와 같은 강력한 비교 및 진화적 틀에서 작업을 계속한 이론가들에 의해 가장 잘 대표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이 문화 개념은 생태학적 또는 경제적 용어로 문화 현상을 설명하려는 사람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마빈 해리스(Marvin Harris)를 따라, 이러한 종류의 인류학 작업은 "문화 물질주의"라고 불릴 수 있다 (Harris 1968). 이 접근법의 중요한 결과는 문화 자체에 거의 또는 전혀 설명적 역할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타일러처럼, "문화"는 설명되어야 할 현상 그룹을 지칭한다.


다양한 방법론적 및 이론적 관점이 중반기의 인류학에서 관념론적 관점을 취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구조 기능주의, 구조주의, 민족과학, 상징 인류학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관점들은 문화가 전달되는 것이라는 가정을 공유했다. 문화는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코드와 같았으며, 민족지학의 목표는 그 코드를 해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류학자들은 말리노프스키(Malinowski)의 제안에 다시 주목하여 민족지학이 "원주민의 관점을 포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Malinowski 1922, 25), 그들은 그 관점이 상징이나 의미의 체계로 표현된다고 이해했다. 결과적으로, 중반기의 문화 모형은 기호학적 모형이라고 부를 수 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기호학적 문화 모형의 지지자들은 방법론적 개인주의 문제를 두고 나뉘었다: 문화를 구성하는 아이디어들이 개인적이고 개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것인지, 아니면 개인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그들에 의해 공유되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었다. 이 논쟁은 인류학적 설명의 구조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만약 문화가 인간 행동의 설명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면, 그것은 개인들로부터 독립적이고 의미론적이어야 했다. 이는 구조 기능주의자나 상징 인류학자들이 하고자 했던 문화에 대한 호소의 유형이다. 그들의 분석은 문화 내에서 상징적 의미를 개인들 간에 일관되게 취급하고 특정 사건과 행동을 설명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양한 방법론적 및 이론적 관점이 중반기의 인류학에서 관념론적 관점을 취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구조 기능주의, 구조주의, 민족과학, 상징 인류학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관점들은 문화가 전달되는 것이라는 가정을 공유했다. 문화는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코드와 같았으며, 민족지학의 목표는 그 코드를 해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류학자들은 말리노프스키(Malinowski)의 제안에 다시 주목하여 민족지학이 "원주민의 관점을 포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Malinowski 1922, 25), 그들은 그 관점이 상징이나 의미의 체계로 표현된다고 이해했다. 결과적으로, 중반기의 문화 모형은 기호학적 모형이라고 부를 수 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기호학적 문화 모형의 지지자들은 방법론적 개인주의 문제를 두고 나뉘었다: 문화를 구성하는 아이디어들이 개인적이고 개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것인지, 아니면 개인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그들에 의해 공유되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었다. 이 논쟁은 인류학적 설명의 구조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만약 문화가 인간 행동의 설명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면, 그것은 개인들로부터 독립적이고 의미론적이어야 했다. 이는 구조 기능주의자나 상징 인류학자들이 하고자 했던 문화에 대한 호소의 유형이다. 그들의 분석은 문화 내에서 상징적 의미를 개인들 간에 일관되게 취급하고 특정 사건과 행동을 설명하는 경향이 있었다.
88번째 줄: 88번째 줄:


=== 6. 현대의 문화 모형들 ===
=== 6. 현대의 문화 모형들 ===
고전적인 문화 개념에 대한 비판이 깊고 통렬했지만, 인류학자들은 이 개념을 완전히 버릴 수는 없었다. 제임스 클리포드(James Clifford)는 1980년대의 불편함을 "문화는 내가 아직 버릴 수 없는 심각하게 타락한 아이디어"라고 표현했다(Clifford 1988, 10). 결국, 이론적 문화 개념이 표현한 사람들 간의 차이는 중요한 의미에서 민족지학자들이 마주한 현상의 일부였다. 인간은 집단 수준의 차이를 인식하고 명명하며, 이러한 차이는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매우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려면 문화 개념과 유사한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많은 인류학자들은 문화를 재이론화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비록 단일 개념이 분야를 지배하지는 않았지만, 몇 가지 공통된 주제가 있다. 현대 문헌은 세 가지 문화 모형로 개괄할 수 있다: 신-보아스주의 모형, 전염병 모형, 실천 이론이다.
고전적인 문화 개념에 대한 비판이 깊고 통렬했지만, 인류학자들은 이 개념을 완전히 버릴 수는 없었다. 제임스 클리포드(James Clifford)는 1980년대의 불편함을 "문화는 내가 아직 버릴 수 없는 심각하게 타락한 아이디어"라고 표현했다(Clifford 1988, 10). 결국, 이론적 문화 개념이 표현한 사람들 간의 차이는 중요한 의미에서 민족지학자들이 마주한 현상의 일부였다. 인간은 집단 수준의 차이를 인식하고 명명하며, 이러한 차이는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매우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려면 문화 개념과 유사한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많은 인류학자들은 문화를 재이론화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비록 단일 개념이 분야를 지배하지는 않았지만, 몇 개의 공통된 주제들이 모아진다. 우리는 현대 문헌을 세 가지 문화 모형—신-보아스주의 모형, 전염병 모형, 실천 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 6.1. 신-보아스주의 모형 ====
==== 6.1. 신-보아스주의 모형 ====
140번째 줄: 140번째 줄:


현대의 문화 모형은 사회 과학의 인식론적 및 형이상학적 문제를 재구성하는 데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 그것들은 모두 강력하고 전통적인 개인 행위 개념을 희석시키기 때문에,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구조와 행위의 문제는 고전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유사한 문제는 발생한다: 두 견해 모두 마음 철학에서 비환원적 물질주의에 상응하는 존재론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실천 이론은 실천과 수행 사이의 설명 관계를 풀어야 하는 추가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것이며, 우리가 익숙한 철학적 난제는 아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계속되는 철학적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현대의 문화 모형은 사회 과학의 인식론적 및 형이상학적 문제를 재구성하는 데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 그것들은 모두 강력하고 전통적인 개인 행위 개념을 희석시키기 때문에,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구조와 행위의 문제는 고전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유사한 문제는 발생한다: 두 견해 모두 마음 철학에서 비환원적 물질주의에 상응하는 존재론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실천 이론은 실천과 수행 사이의 설명 관계를 풀어야 하는 추가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것이며, 우리가 익숙한 철학적 난제는 아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계속되는 철학적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 각주 ===
<references />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