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에서 민주적 가치를 사용하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13번째 줄: 13번째 줄:




'''초록.''' 많은 과학철학자들은 사회적, 윤리적 가치가 과학적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는 자연스레 다음의 질문을 야기한다. 그러한 가치 선택이 필요할 때, 어느 또는 누구의 가치가 사용되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일반적인 답변은 민주적 가치{{--}}즉 대중이나 그 대표자의 가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나는 이것이 특정 과학자들에게 도덕적으로 중요한 부담을 주며, 사실상 그들이 강하게 반대하는 정책 입장을 옹호하도록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부담이 어떤 조건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 논의함으로써 이 논문을 마무리할 것이다.
'''초록.''' 많은 과학철학자들은 사회적, 윤리적 가치가 과학적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로부터 자연스레 다음의 질문이 제기된다. 그러한 가치 선택이 필요할 때, 어느 또는 누구의 가치가 사용되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일반적인 답변은 민주적 가치{{--}}즉 대중이나 그 대표자의 가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나는 이것이 특정 과학자들에게 도덕적으로 중요한 부담을 주며, 사실상 그들이 강하게 반대하는 정책 입장을 옹호하도록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부담이 어떤 조건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 논의함으로써 이 논문을 마무리할 것이다.


=== 1. 과학에서의 가치와 민주적 관점 ===
=== 1. 과학에서의 가치와 민주적 관점 ===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철학자들은 과학적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 특히 과학이 정책 결정과 연결되는 영역에서, 이른바 맥락적(개인적, 윤리적, 사회적) 가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데 동의할 것이다. 가치는 증거를 평가하거나(Douglas 2009), 과학적 모델을 선택하거나(Elliott 2011), 정량적 측정 방식을 구조화하거나(Stiglitz, Sen, and Fitoussi 2010; Reiss 2013, chap. 8; Hausman 2015; Schroeder 2017), 비전문가에게 제시될 정보를 준비하는 데(Hardwig 1994; Resnik 2001; Elliott 2006)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의 질문은 별 관심을 받지 못하긴 했지만, 자연스러운 후속 질문이다. 과학자들이 가치를 사용해야 한다면, 그때 그들은 어느 (혹은 누구의) 가치를 사용해야 할까?<ref>일부 경우에는 과학적 과정에 가치를 통합하는 정당성이 답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남성 중심적이었던 분야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은 비남성 중심적 가치가 보완책으로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다루지 않는다.</ref>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철학자들은 과학적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 특히 과학이 정책 결정과 연결되는 영역에서, 이른바 맥락적(개인적, 윤리적, 사회적) 가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데 동의할 것이다. 가치는 증거를 평가하거나(Douglas 2009), 과학적 모델을 선택하거나(Elliott 2011), 정량적 측정 방식을 구조화하거나(Stiglitz, Sen, and Fitoussi 2010; Reiss 2013, chap. 8; Hausman 2015; Schroeder 2017), 비전문가에게 제시될 정보를 준비하는 데(Hardwig 1994; Resnik 2001; Elliott 2006)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의 질문은 별 관심을 받지 못하긴 했지만, 자연스럽게 따라나오는 질문이다. 과학자들이 가치를 사용해야 한다면, 그때 그들은 어느 (혹은 누구의) 가치를 사용해야 할까?<ref>일부 경우에는 과학적 과정에 가치를 통합하는 정당성이 답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남성 중심적이었던 분야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은 비남성 중심적 가치가 보완책으로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다루지 않는다.</ref>


때때로, 과학철학자들은 실질적인 윤리적 근거에서 가치 선택을 비판한다(e.g., Hoffmann and Stempsey 2008; Shrader-Frechette 2008; cf. Dupré 2016, 197). 이 제안에 따르면, 사용되어야 하는 가치는 객관적으로 올바른 것이어야 한다. 두 번째 일반적인 견해는 과학자들에게 그들이 선호하거나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합리적인) 가치를 무엇이든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주는 대신, 보통은 투명성의 요구로 이를 보완한다. 이는 기존의 많은 과학 윤리 규정들에서 암시되어 있는데, 이 규정은 과학자들이 그러한 선택을 할 때 별 제약을 부과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견해는 (적어도 그 가치들이 알려져 있고 상당히 합리적일 때) 과학자들이 적절한 민주적 가치{{--}}즉, 대중이나 그 대표자가 지지하는 가치{{--}}를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ref>그러므로 나는 정책 결정자나 대중의 가치가 자유주의 사회에서 허용되어야 하는 가치 범위를 벗어난 비합리적인 경우를 제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민주적 관점의 옹호자가 과학자들이 그 비합리적인 가치를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요구할 수 있다(예: Resnik 2001 참조). 또한, 이 글에서는 대중의 가치가 정책 결정자의 가치와 다를 때 민주적 관점이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외할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정치적 대표성에 대한 이론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한다.</ref> 이 견해를 지지하는 가장 직접적인 논증은 민주주의 또는 정치적 정당성에 관한 고려에서 비롯된다. 어떤 가치 선택이 궁극적으로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 대중이나 그 대표자는 그 선택을 할 권리가 있다 (Douglas 2005; Kitcher 2011; Intemann 2015; cf. Steele 2012).
때때로, 과학철학자들은 실질적인 윤리적 근거에서 가치 선택을 비판한다(e.g., Hoffmann and Stempsey 2008; Shrader-Frechette 2008; cf. Dupré 2016, 197). 이 제안에 따르면, 사용되어야 하는 가치는 객관적으로 올바른 것이어야 한다. 두 번째 일반적인 견해는 과학자들에게 그들이 선호하거나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합리적인) 가치를 무엇이든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주는 대신, 보통은 투명성의 요구로 이를 보완한다. 이는 기존의 많은 과학 윤리 규정들에서 암시되어 있는데, 이 규정은 과학자들이 그러한 선택을 할 때 별 제약을 부과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견해는 (적어도 그 가치들이 알려져 있고 상당히 합리적일 때) 과학자들이 적절한 민주적 가치{{--}}즉, 대중이나 그 대표자가 지지하는 가치{{--}}를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ref>그러므로 나는 정책 결정자나 대중의 가치가 자유주의 사회에서 허용되어야 하는 가치 범위를 벗어난 비합리적인 경우를 제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민주적 관점의 옹호자가 과학자들이 그 비합리적인 가치를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요구할 수 있다(예: Resnik 2001 참조). 또한, 이 글에서는 대중의 가치가 정책 결정자의 가치와 다를 때 민주적 관점이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외할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정치적 대표성에 대한 이론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한다.</ref> 이 견해를 지지하는 가장 직접적인 논증은 민주주의 또는 정치적 정당성에 관한 고려에서 비롯된다. 어떤 가치 선택이 궁극적으로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 대중이나 그 대표자는 그 선택을 할 권리가 있다 (Douglas 2005; Kitcher 2011; Intemann 2015; cf. Steele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