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이해력에 관한 탐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편집기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태그: 시각편집기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 챕터별 ==
== 챕터별 ==
=== 4장. 회의적 의심 ===
=== 4장. 회의적 의심 ===
* 4장의 논의 순서 : [1부] (20) 관념들의 관계 vs. 사실의 문제의 구분. (21) 그런데 (직접적으로 겪지 않은) 사실의 문제에 대한 믿음 또는 확신은 무엇에 의존하는가? (22) 사실의 문제에 관한 모든 추론은 원인과 결과의 관계에 기초한다. 그런데 그러한 인과적 추론의 근거는 어디서 얻는가? (22-27) 원인과 결과는 이성에 의해서는 발견될 수 없고 경험에 의해서만 발견될 수 있다. 27문단까지는 계속 선험적으로는 원인만 가지고 결과를 추론할 수 없다는 점 반복적으로 논증. [2부] ∑(Pa<sub>i</sub> → Qa<sub>i</sub>)로부터 (∀x)(Px → Qx) 유도되는 것 분명하고, 그러한 추리는 분명 정당. 그러나 그러한 "추리(inference)"는 "추론(reasoning)"에 의해 행해진 것이 아니다. 그 추론이라면 논증적 추론이거나 개연적 추론 중 하나일 것. 그런데 논증적 추론일 수는 없고, 개연적 추론이라면 인과관계에 관한 추론. 이는 순환. (32) (Pa<sub>i</sub> → Qa<sub>i</sub>)로부터 (∀x)(Px → Qx)의 추리. "이런 추리의 본성은 무엇인가? 경험적이라고 답하면, 선결문에 요구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추리들은 미래는 과거와 유사할 것이고, 유사한 힘들은 유사한 감각적 성질들과 결합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그 근거로 삼기 때문이다."  
* 4장의 논의 순서 : [1부] (20) 관념들의 관계 vs. 사실의 문제의 구분. (21) 그런데 (직접적으로 겪지 않은) 사실의 문제에 대한 믿음 또는 확신은 무엇에 의존하는가? (22) 사실의 문제에 관한 모든 추론은 원인과 결과의 관계에 기초한다. 그런데 그러한 인과적 추론의 근거는 어디서 얻는가? (22-27) 원인과 결과는 이성에 의해서는 발견될 수 없고 경험에 의해서만 발견될 수 있다. 27문단까지는 계속 선험적으로는 원인만 가지고 결과를 추론할 수 없다는 점 반복적으로 논증. [2부] ∑(Pa<sub>i</sub> → Qa<sub>i</sub>)로부터 (∀x)(Px → Qx) 유도되는 것 분명하고, 그러한 추리는 분명 정당. 그러나 그러한 "추리(inference)"는 "추론(reasoning)"에 의해 행해진 것이 아니다. 그 추론이라면 논증적 추론이거나 개연적 추론 중 하나일 것. 그런데 논증적 추론일 수는 없고, 개연적 추론이라면 인과관계에 관한 추론. 이는 순환. (32) (Pa<sub>i</sub> → Qa<sub>i</sub>)로부터 (∀x)(Px → Qx)의 추리. "이런 추리의 본성은 무엇인가? 경험적이라고 답하면, 선결문에 요구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추리들은 미래는 과거와 유사할 것이고, 유사한 힘들은 유사한 감각적 성질들과 결합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그 근거로 삼기 때문이다."  
*『논고』(I.iii.6)에서는 귀납의 문제가 인과적 추론의 문제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것처럼 보인 반면, 『이해력』 4장에서는 특히 2부에서 경험적 추론의 문제 일반을 다루고 있음.   
*『논고』(I.iii.6)에서는 귀납의 문제가 인과적 추론의 문제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것처럼 보인 반면, 『이해력』 4장에서는 특히 2부에서 경험적 추론의 문제 일반을 다루고 있음.   
* 인과 개념을 우리가 가지고 있고, 인과적 추론을 우리가 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상당히 분명히 밝히고 있음. 흄의 의심 대상이 인과 개념이나 인과적 추론 자체가 아님을 분명히 알 수 있다.  
* 인과 개념을 우리가 가지고 있고, 인과적 추론을 우리가 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상당히 분명히 밝히고 있음. 흄의 의심 대상이 인과 개념이나 인과적 추론 자체가 아님을 분명히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