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모형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384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3일 (월)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31번째 줄: 31번째 줄:


Tylor의 사용법에서, 문화는 Émile Durkheim의 사회적 사실 및 집합적 의식과 달랐다. Tylor에게 문화는 전 세계적이고 역사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특성들의 집합이었다. 확산과 역사적 발달 단계를 통한 유사성과 차이점은 이러한 특성의 분포를 설명했다. 즉, 문화는 설명되어야 할 현상이었지, 이론적 가설이 아니었다. 반면, Durkheim은 특정 개인의 신념과는 별개의 사고 패턴의 존재를 상정했다. 이러한 사회적 사실은 Tylor의 문명이 그렇지 않은 방식으로 설명력을 가졌다. 사회는 종교 의식에서 표현될 수 있으며, 사회 구조는 자살률과 같은 의도적 행동 패턴을 설명할 수 있었다. 그는 그것들이 개인 행위자에 대한 사실로 환원될 수 없는 존재론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했다 (Durkheim [1912] 1915, [1895] 1938). 사회적 사실은 사물로 취급되기 때문에, 환원주의 및 사회 구조와 의도적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 Durkheim에게는 Tylor에게는 그렇지 않은 방식으로 제기되었다.
Tylor의 사용법에서, 문화는 Émile Durkheim의 사회적 사실 및 집합적 의식과 달랐다. Tylor에게 문화는 전 세계적이고 역사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특성들의 집합이었다. 확산과 역사적 발달 단계를 통한 유사성과 차이점은 이러한 특성의 분포를 설명했다. 즉, 문화는 설명되어야 할 현상이었지, 이론적 가설이 아니었다. 반면, Durkheim은 특정 개인의 신념과는 별개의 사고 패턴의 존재를 상정했다. 이러한 사회적 사실은 Tylor의 문명이 그렇지 않은 방식으로 설명력을 가졌다. 사회는 종교 의식에서 표현될 수 있으며, 사회 구조는 자살률과 같은 의도적 행동 패턴을 설명할 수 있었다. 그는 그것들이 개인 행위자에 대한 사실로 환원될 수 없는 존재론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했다 (Durkheim [1912] 1915, [1895] 1938). 사회적 사실은 사물로 취급되기 때문에, 환원주의 및 사회 구조와 의도적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 Durkheim에게는 Tylor에게는 그렇지 않은 방식으로 제기되었다.
프란츠 보아스는 타일러의 문화 개념을 참고했지만, 타일러의 이론적 프로젝트에 대한 그의 도전은 보아스가 문화를 생각하는 방식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보아스는 특성이 넓은 지리적 영역에서 의미 있게 비교될 수 있고 역사적 단계로 나뉠 수 있다는 타일러의 아이디어를 거부했다(Boas 1887, [1896] 1940). 보아스는 특성(예: 의복 장식, 덫의 종류, 종교적 신념)이 전체 문화의 맥락에서만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비교는 비교된 문화들 간에 역사적이거나 현대적인 타당한 연결이 있을 때만 의미가 있었다. 이는 보아스가 문화를 전체론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하게 만들었다. 그는 여전히 문화를 특성의 집합으로 개념화했지만, 그 특성들은 통합되고 일관되며 특정 집단의 사람들에 의해 공유되었다. 특성에는 물질적 객체와 아이디어가 모두 포함되었다. 개인의 행동이 그의 아이디어에 의해 결정되는 한, 보아스는 문화를 명시적으로 행동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았다 (Boas 1901).
보아스의 타일러 개념 수정과 헤르더, 그라에브너, 그리고 버초우의 아이디어를 채택하면서 문화 개념은 20세기 형태의 일부(하지만 전부는 아니다) 중심 특징을 띠게 되었다. 그 결과, 보아스의 개념 주위에는 20세기 철학적 논쟁을 예고하는 긴장감이 있었다. 문화가 지역적이고 전체론적인 특성의 집합으로 취급되는 한, 보아스는 문화적 경계의 아이디어에 전념했다. 그러나 보아스와 그의 학생들은 특성의 확산에 대한 역사적 질문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문화 내에서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경계가 모호하거나 투과성일 수 있음을 인식했다. 문화적 정체성은 중요한 관심사가 아니었지만, 특성의 정체성은 중요했다. 특성은 그룹 간에 전달되는 것으로 묘사되므로, 그것들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재확인될 수 있어야 했다. 그러나 그의 전체론은 특성의 의미가 전체 문화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므로 어떻게 동일한 특성이 다른 문화에서 동일한 특성이 될 수 있는가?


==== 3. 초기 20세기 문화 모델 ====
==== 3. 초기 20세기 문화 모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