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비판적 사고 : 2015년 1학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imported>Zolaist
(새 문서: ==강의 목표 == 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과학적 정보가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학적 정보를 취급하는 능력은 과학자뿐만 아니라 이 시대...)
 
42번째 줄: 42번째 줄:
과학, 논리학, 통계학에 대한 사전 지식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 수업의 일차적인 대상은 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저학년 학생이지만, 한 분야의 전문가일지라도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비전문가라는 점에서, 실제로는 모든 학생을 위한 강좌이다. 형식논리를 넘어서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 싶거나, 정책 결정이나 기타 이유로 과학적 주장에 대한 적절한 평가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여러 주장들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보다 올바른 선택이 무엇일지 고민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과학, 논리학, 통계학에 대한 사전 지식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 수업의 일차적인 대상은 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저학년 학생이지만, 한 분야의 전문가일지라도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비전문가라는 점에서, 실제로는 모든 학생을 위한 강좌이다. 형식논리를 넘어서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 싶거나, 정책 결정이나 기타 이유로 과학적 주장에 대한 적절한 평가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여러 주장들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보다 올바른 선택이 무엇일지 고민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분류:강의]]
[[분류:2015년 1학기의 강의]]
[[분류:과학철학]]
[[분류:과학철학 강의]]

2021년 8월 10일 (화) 20:15 판

강의 목표

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과학적 정보가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학적 정보를 취급하는 능력은 과학자뿐만 아니라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요구되고 있다. 이 수업의 목적은 비전문가의 입장에서 과학적 정보가 담긴 기사나 문헌을 읽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능력, 즉 과학적 교양(scientific literacy)을 배양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비판적 평가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훈련을 제공할 것이다. 교재의 순서에 따라 이론적 가설의 평가, 통계적 가설 및 인과적 가설의 평가, 의사결정 모형을 차례로 다루게 될 것이다.

교재

로널드 N. 기어리, 존 비클, 로버트 F. 몰딘, 《과학적 추론의 이해》 제5판 (소화, 2008)

성적 평가

출석: 10%, 과제: 30%, 중간시험: 30%, 기말시험: 30%

강의계획

01주. 강의 소개 : 왜 과학과 비판적 사고인가?

02주. 이론적 가설과 증거 : 자료는 어떤 경우에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가?

03주. 평가 프로그램의 적용 : 기사에서 제공된 증거에 대한 제 점수는요...

04주. 역사적 일화의 이해 : 갈릴레오는 지구가 돈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했을까?

05주. 경계과학 : 전생이 있다고? 그 증거는?

06주. 통계적 모형과 확률 : 95% 신뢰구간의 의미는?

07주. 통계적 가설의 평가 : 출구조사 결과는 왜 항상 오차 범위를 벗어날까?

08주. 중간시험

09주. 인과적 모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는 어떻게 다른가?

10주. 인과적 가설의 평가 I : 침술의 효과를 믿으려면 어떤 실험이 필요할까?

11주. 인과적 가설의 평가 II : 원전이 암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어떻게 뒷받침될 수 있을까?

12주. 다양한 의사결정 전략 : 과학적 지식은 나의 의사결정에 어떤 보탬이 될까?

13주. 의사결정의 평가 : 고령의 임산부가 양수검사를 받는 것은 합리적인 선택일까?

14주. 종합토론

15주. 기말시험

수강자 참고사항

과학, 논리학, 통계학에 대한 사전 지식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 수업의 일차적인 대상은 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저학년 학생이지만, 한 분야의 전문가일지라도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비전문가라는 점에서, 실제로는 모든 학생을 위한 강좌이다. 형식논리를 넘어서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 싶거나, 정책 결정이나 기타 이유로 과학적 주장에 대한 적절한 평가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여러 주장들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보다 올바른 선택이 무엇일지 고민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