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철학연습 : 2021년 1학기

PhiLoSci Wiki
Zolais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10일 (화) 23:00 판 (새 문서: 2021년 1학기 근대철학연습에서는 데이비드 흄을 다루다. 흄은 영국 경험론의 대표적인 철학자이자 사회과학자였다(당시 natural philosophy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21년 1학기 근대철학연습에서는 데이비드 흄을 다루다. 흄은 영국 경험론의 대표적인 철학자이자 사회과학자였다(당시 natural philosophy가 자연과학을 의미했다면, moral philosophy는 사회과학을 의미했다). 즉, 그는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을 연구한 동시에, 그러한 사회과학적 지식의 경험적 정당화의 문제를 깊이 있게 탐구했다. 이번 학기 수업에서 우리는 흄의 대표작인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를 함께 읽을 것이다. 학생들은 매주 책의 해당 부분과 함께 그 주제에 대한 표준적인 해석을 담은 논문들을 읽으며 본인의 해석과 비교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매주 읽을 논문은 추후 공지할 것이다).

  • 수업시간 : 목 7, 8, 9
  • 담당교수 : 정동욱 ([[1]])
  • 연구실 : 101동 418호 (055-772-1154)

수업방법과 평가방법

모든 수업은 Zoom을 이용한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진행할 것이다. 수강생은 정해진 읽을거리를 읽고 요약문과 질문을 제출해야 하며, 수업 시간에는 발제와 토론을 진행할 것이다(평소학습 30%). 기말고사(30%)에서는 『논고』 및 그에 대한 논문의 이해도를 확인할 것이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다룬 주제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흄에 대한 소논문(분량 A4 7~12쪽)을 제출해야 한다(기말보고서 30%).

평가 : 출석(10%) / 평소학습(30%) / 기말고사(30%) / 기말보고서(30%)

읽을거리

  • 흄, 데이비드 [이준호 옮김] (1994-1998),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3부. 서광사. [논고]
  • Norton, D. F. and J. Taylor (eds.) (2008), The Cambridge Companion to Hume,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CH]
  • Russell, P. (ed.) (2016), The Oxford Handbook of Hume. Oxford University Press. [OHH]
  • Morris, W. E. and C. R. Brown, “David Hum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20 Edition), Edward N. Zalta (ed.), URL = <https://plato.stanford.edu/archives/sum2020/entries/hume/>.
  • 정병훈 (2020), 『뉴턴과 흄』. 경상대학교출판부.

수업일정

1주. 강의소개 및 도입

  • 『논고』, 1권, 들어가는 말 [19-24쪽]
  • Demeter, T. (2012), “Hume’s Experimental Method”,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 20, 577-599.
  • 참고 : Hume, D. (1778), “My Own Life”, in The History of England, from the Invasion of Julius Cæsar to the Revolution in 1688, Vol. 1. [http://jacklynch.net/Texts/humelife.html]

2주. 관념의 기원과 연합

  • 『논고』, 1권, 1부 [25-47쪽]
  • Stroud, B. (1977), “The Theory of Ideas”, in Hume, pp. 17-41.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Earp, B. D. (2020), “Hume’s Missing Shade of Blue: A New Solution”, Journal of Scottish Philosophy 18, 91-104.

3주. 시공간의 관념

  • 『논고』, 1권, 2부 [49-88쪽]
  • Baxter, D. L. M. (2016), “Hume on Space and Time”, in OHH.

4주. 지식과 인과

  • 『논고』, 1권, 3부, 1-10절 [89-141쪽]
  • Loeb, L. (2002), “Causal Inference, Associationism, and the Understanding”, in Stability and Justification in Hume’s Treatise, pp. 38-59.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Garrett, D. (2016), “Reason, Normativity, and Hume’s Title Principle”, in OHH, pp. 32-53.

5주. 개연성과 일반규칙

  • 『논고』, 1권, 3부, 11-16절 [142-192쪽]
  • Hearn, T. K. (1970), “‘General Rules’ in Hume’s Treatise”, Journal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8, 405-422.
  • 참고 : Hickerson, R. (2013), “What the Wise Ought Believe: A Voluntarist Interpretation of Hume’s General Rules”,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 21, 1133-1153.

6주. 회의주의와 자연주의

  • 『논고』, 1권, 4부, 1-5절 [193-255쪽]
  • Stroud, B. (2016), “Naturalism and Skepticism in the Philosophy of Hume”, in OHH, pp. 21-31.
  • 참고 : Fogelin, R. J. (1993), “Hume’s Skepticism”, in CCH, pp. 209-237.

7주. 인격 동일성과 1권의 결론

  • 『논고』, 1권, 4부, 6-7절 & 부록 [256-286쪽]
  • Biro, J. (1993), Hume’s New Science of the Mind, in CCH, pp. 40-69.
  • 참고 : Garrett, D. (2011), “Rethinking Hume’s Second Thoughts about Personal Identity”, in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Understanding: Reflections on the Thought of Barry Stroud, edited by Jason Bridges, Niko Kolodny, and Wai-hung Wong, pp. 16-4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주. 중간고사

9주. 간접 정념

  • 『논고』, 2권, 1부
  • Taylor, J. (2016), “Hume on Pride and the Other Indirect Passions”, in OHH, pp. 295-311.
  • 참고 : Vitz, R. (2016), “The Nature and Functions of Sympathy in Hume’s Philosophy”, in OHH, pp. 312-332.

10주. 이성과 정념의 관계

  • 『논고』, 2권, 3부
  • Schafer, K. (2016), “Hume on Practical Reason”, in OHH, pp. 356-379.
  • 참고 : Owen, D. (2016), “Reason, Belief, and the Passions”, in OHH, pp. 333-355.
  • 참고 : 김기현 (2004), “이론적 합리성과 실천적 합리성”, 『철학사상』 19, 3-32.

11주. 사실-규범의 장벽

  • 『논고』, 3권, 1부
  • 양선이 (2019). “자연주의와 도덕적 가치 그리고 규범성에 관하여 : 흄의 자연주의와 현대 흄주의를 중심으로”, 『철학』 139, 91-115.
  • 참고 : MacIntyre, A. (1959), “Hume on ‘Is’ and ‘Ought’”, The Philosophical Review 68, 451-468.

12주. 정의와 정치철학

  • 『논고』, 3권, 2부
  • 김은희 (2011), “흄의 정치철학과 보수주의”, 『철학』 109, 115-145.
  • 참고 : McArthur, N. (2016), “Hume’s Political Philosophy”, in OHH, pp. 489-504.
  • 참고 : Livingston, D. W. (1995), “On Hume’s Conservatism”, Hume Studies 21, 151-164.
  • 참고 : 이남원 (2017), “흄의 인위적 덕으로서의 정의”, 『철학연구』 141, 133-166.

13주. 흄 그리고 …

  • Hankey, R. P. (2016), “Hume and Smith on Moral Philosophy”, in OHH, pp. 708-728.
  • Prinz, J. (2016), “Hume and Cognitive Science”, in OHH, pp. 777-791.

14주. 기말고사

15주. 기말보고서 발표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