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ton's Philosophy of Nature

뉴턴 역시 데카르트와 마찬가지로 확실한 지식을 추구했으며 제1원리의 발견(또는 획득)을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지식을 현상들로부터 도출(deduce)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 지식은 오류불가능한 지식이 아니라, "가장 신뢰할만한 지식"일 뿐이다.[1] 즉 현상들로부터 도출된 지식이라 하더라도 다른 현상들과 충돌한다면 의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이론과 관찰이 충돌할 경우 경험론자는 이론을 의심하겠지만, 선험론자는 관찰을 의심할 것이다. 뉴턴이 제안한 방법론은 오류불가능한 지식의 오랜 전통을 전환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설의 배격

분명 뉴턴과 데카르트는 모두 제1원리의 발견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데카르트는 제1원리를 선험적으로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 반면, 뉴턴은 그것을 경험으로부터 귀납적으로 도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뉴턴은 그러한 귀납적 방법을 통하지 않고서 얻은 제1원리는 (근거없는) "가설"에 불과하다며 데카르트주의자들을 공격했다.[2]

뉴턴은 자신의 방법을 귀납적 방법이라 칭했다. 그의 귀납적 방법에 따르면, 관찰된 현상으로부터 귀납을 통해 '원리'를 이끌어내고, 다시 그 원리로부터 새로운 예측을 연역적으로 도출해낸다.

뉴턴 본인은 귀납적 방법에 충실했는가?

광학의 경우, 실험이 많이 등장하는 매우 경험적인 저술이다. 그러나 빛의 본질에 대해 추측하는 대목에서는 뉴턴이 부정적 의미로 쓴 "가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구절들이 많이 등장한다. 예컨대 빛을 입자로 가정하는 것은, 관찰가능한 것에서 관찰불가능한 것으로의 비약이 발생한다. 이는 좁은 의미의 엄격한 귀납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이미 귀추적 추론의 단계로 넘어간 듯 보인다.

상당히 정연한 방식으로 쓰여진 프린키피아의 경우도 상황이 많이 다르지 않다. 관성, 힘 등의 개념과 그에 관한 법칙을 유도하는 과정은 귀납적으로 선명하지 않으며, 역시 관찰할 수 있는 것에서 관찰할 수 없는 것으로의 비약이 존재한다. 오히려 프린키피아는 귀납적인 저술이라기보다는 (가설)연역적인 저술에 가깝다.

각주

  1. 뉴턴은 현상으로부터 원리를 이끌어내는 과정에도 연역 또는 도출(deduce)이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했다.
  2. 당시 "가설"은 진리와 무관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당시 "가설"에는 부정적인 함의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런 "가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19세기에 들어서야 벗겨진다.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