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에서의 다원주의: 행동을 촉구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2번째 줄: 52번째 줄:
셋째, (장기적) 경쟁. 여러 시스템이 공존하면 경쟁이 촉진된다. 여러 시스템이 공존할 경우, 각 시스템은 자신들의 접근법을 정당화하고, 자금 제공자, 학생들, 잠재적 협력자들에게 판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상황에 서게 됨으로써, 시스템들의 발전적인 경쟁이 촉진된다. (경쟁상대가 없는 시스템은 게을러질 것이며, 과학 전체는 사회로부터 매력을 잃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강조되는 경쟁은 단거리 경주보다는 장거리 경주에 가까우며, 상대를 제거하는 경쟁이 아니라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승자 독식의 경쟁은 경쟁의 목적을 없애기 때문이다. 경쟁자를 성급히 제거하지 말아야 하는데, 경쟁자가 잘하던 것이나 추구하던 목표나 질문 자체를 상실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누락 효과).
셋째, (장기적) 경쟁. 여러 시스템이 공존하면 경쟁이 촉진된다. 여러 시스템이 공존할 경우, 각 시스템은 자신들의 접근법을 정당화하고, 자금 제공자, 학생들, 잠재적 협력자들에게 판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상황에 서게 됨으로써, 시스템들의 발전적인 경쟁이 촉진된다. (경쟁상대가 없는 시스템은 게을러질 것이며, 과학 전체는 사회로부터 매력을 잃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강조되는 경쟁은 단거리 경주보다는 장거리 경주에 가까우며, 상대를 제거하는 경쟁이 아니라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승자 독식의 경쟁은 경쟁의 목적을 없애기 때문이다. 경쟁자를 성급히 제거하지 말아야 하는데, 경쟁자가 잘하던 것이나 추구하던 목표나 질문 자체를 상실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누락 효과).


====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임무 ====
====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임무와 상보적 증식 ====
능동적 다원주의, 즉 지식의 육성을 위해, 과학사와 과학철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직업적 과학자들의 다원주의는 그 직업적 제약에 한정되기 쉽다. 따라서 (보다 폭넓은) 능동적 다원주의는 직접적 과학자가 아닌 사람들, 특히 과학사학자와 과학철학자의 활동을 요구한다. 그러면 그들은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 과학사학자들은 과거의 과학에 실제로 존재했던 다원성을 드러냄으로써, 과학철학자들은 통상적인 과학관의 바탕에 깔린 우리의 일원주의적 집착을 들춰냄으로써 기여할 수 있다.  
능동적 다원주의, 즉 지식의 육성을 위해, 과학사와 과학철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직업적 과학자들의 다원주의는 그 직업적 제약에 한정되기 쉽다. 따라서 (보다 폭넓은) 능동적 다원주의는 직접적 과학자가 아닌 사람들, 특히 과학사학자와 과학철학자의 활동을 요구한다. 그러면 그들은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 과학사학자들은 과거의 과학에 실제로 존재했던 다원성을 드러냄으로써, 과학철학자들은 통상적인 과학관의 바탕에 깔린 우리의 일원주의적 집착을 들춰냄으로써 기여할 수 있다.  


과학사학자들은 다원주의적 역사 서술을 통해 기여할 수 있다. 다원주의적 역사 서술은 다음의 명령의 수행이다. (1) 패배자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을 불운하게 배제된 합리적 대안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선을 다해 살펴보라. (2) 종결 및 종결에 대한 설명에 집착하는 것에서 벗어나라. (3) 다원성을 과학의 정상적인 특징으로 부각하라. 딱히 승리한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좋은 과학이 많이 실행된 사례들을 이야기하는 경험을 하고 나면, 과학에서 관건은 오로지 승리도 아니고 심지어 합의도 아님을 깨닫기가 쉬어질 것이다.
과학사학자들은 다원주의적 역사 서술을 통해 기여할 수 있다. 다원주의적 역사 서술은 다음의 명령의 수행이다. (1) 패배자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을 불운하게 배제된 합리적 대안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선을 다해 살펴보라. (2) 종결 및 종결에 대한 설명에 집착하는 것에서 벗어나라. (3) 다원성을 과학의 정상적인 특징으로 부각하라. 딱히 승리한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좋은 과학이 많이 실행된 사례들을 이야기하는 경험을 하고 나면, 과학에서 관건은 오로지 승리도 아니고 심지어 합의도 아님을 깨닫기가 쉬어질 것이다.


과학철학자들은 우리의 일원주의적 집착이 스며든 전제들을 식별하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기여할 수 있다. 우선 이론 선택에 관한 철학적 논의는 다분히 일원주의적 편견에 빠져 있는데, 다원주의 철학자들라면 다원적 선택 자체도 합리적인 것임을 깨닫게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어떤 결과의 불가피성을 함부로 승인하지 말아야 한다.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에도 일원주의적 가정이 깔려 있는데, 왜 그래야 하는지 의문을 품고, 보다 생산적인 논의를 만들어야 한다.  
과학철학자들은 우리의 일원주의적 집착이 스며든 전제들을 식별하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기여할 수 있다. 우선 이론 선택에 관한 철학적 논의는 다분히 일원주의적 편견에 빠져 있는데, 다원주의 철학자들라면 다원적 선택 자체도 합리적인 것임을 깨닫게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어떤 결과의 불가피성을 함부로 승인하지 말아야 한다.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에도 일원주의적 가정이 깔려 있는데, 왜 그래야 하는지 의문을 품고, 보다 생산적인 논의를 만들어야 한다.
 
능동적 다원주의는 과학사와 과학철학에게 역사 서술과 철학적 논평의 작업을 넘어 과학 그 자체, 즉 상보적 과학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 즉 다원주의적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능동적 임무는 과학적 실천 시스템을 증식하여 현재의 정통 시스템을 보완하는 것이다. 과학사학자와 과학철학자는 소멸의 위기에 처한 시스템을 보호하고, 멸종했던 시스템을 되살리는 과학적 작업에 종사함으로써, 전무화된 과학이 외면하는 과학적 질문들을 다룰 수 있다.


=== 5.3 다원주의의 실천에 관한 추가 언급 ===
=== 5.3 다원주의의 실천에 관한 추가 언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