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에서의 다원주의: 행동을 촉구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62번째 줄: 62번째 줄:


=== 5.3 다원주의의 실천에 관한 추가 언급 ===
=== 5.3 다원주의의 실천에 관한 추가 언급 ===
첫째, 능동적 다원주의 대 다원주의적 태도. 켈러트, 론지노, 워터스(2006)은 "다원주의적 태도"를 옹호한다. 그들의 다원주의는 "과학 탐구의 내용과 실천을 해석하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그러한 다원주의적 해석이 "진보로 이어지지 않는 무의미한 논란을 피할 수단을 제공"하고 "과학 지식의 편파성을 부각하은 데 기여"한다고 말한다. 장하석은 이러한 다원주의적 태도에 동의하지만 너무 수동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특정한 주제 영역마다 다원주의와 일원주의 가운데 어느 쪽이 생산적인지는 열린 문제로 둔다. 그런데 이를 알아보려면 시험을 해봐야 한다. 그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누가 다원주의적 태도의 실험을 해보겠는가? 장하석은 일원주의자는 실험을 수행하기 어려울테니, 다원주의자가 하는 수밖에 없다고, 즉 다원주의자라면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둘째, 인식적 다원주의 대 형이상학적 다원주의. 장하석은 자신의 인식적 다원주의가 존재론적 다원주의와 양립가능함을 인정하지만, 특정한 형이상학적 전제나 결론에 연루되길 원치 않는다. 장하석의 다원주의는 실재의 본성을 서술하려는 목표를 가지기보다는, 인간 지성의 한계를 지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장하석의 다원주의는 복잡한 특정 분야에서만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셋째, 다원주의 대 메타-다원주의. 동기적 측면에서 일원주의는 광신주의처럼 위대한 성취를 밀어붙이는 데 도움이 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도 그런 광신주의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일원주의는 놀라운 성취 이면에 값비싼 비용을 치러야 했다. 그렇다면 다원주의자는 일원주의자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다원주의자는 일원주의자도 관용하는 메타-다원주의를 채택해야 할까? 장하석은 메타 다원주의를 채택하진 않으며, 이 문제를 "관용적 사회에서 절대주의자를 어떻게 처우할 것인가"와 같은 정치적 질문과 유사하게 취급한다. 다원주의는 다원주의를 존중하는 일원주의자만을 허용할 수 있다. 불관용적 일원주의는 허용할 수 없다. 또한 서로 다른 일원주의자들만으로는 관용의 혜택만 얻을 수 있다.
넷째, 상보적 과학 프로젝트에 대한 이 책의 기여. 회복, 비판적 의식, 새로운 발전 모두 기여했다. (1) 회복 : 프리스틀리의 전기화학 실험들, 초기 전기화학의 신기한 실험들. 중요한 회복의 성과는 발견보다는 복권이었다. 특히 플로지스톤주의 화학이나 전기분해에 대한 리터의 해석을 복권하는 데 힘을 보탰다. (2) 비판적 의식 : 물이 H2O라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어떻게 합의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그에 대한 역사적 검토를 통해 이긴 진경이 완전하게 명백하게 우월했던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통해 "물은 H2O"라는 상식에 도전했고, 그러한 믿음에 도달하는 미묘하고 정교한 이유들을 검토하는 비판적 의식을 통해 과학 지식의 질을 높였다. (3) 새로운 발전 : 기초 전기화학에 관한 새로운 상보적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원조 전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해 실험을 하고, 볼타의 접촉 포텐셜 개념을 현대적인 전기화학의 틀 안에 수용하기 위한 기반을 닦았다. 그리고 그 실험적 연구 과정에서 전문 화학자들에게도 낯선 현상들을 산출해냈다. 이 연구는 현재 진행중이며, 앞으로 더 많은 성과가 나올 것이다.
== 관련 항목 ==
* [[Inventing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