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위기에 대한 반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2번째 줄: 32번째 줄:
그렇다면 어떤 변칙이 시급히 해결할 중대한 변칙이 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완벽한 답은 없지만, 몇 가지 전형적인 경우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있다. (i) 그 변칙이 명시적이고 근본적인 일반화를 건드리는 경우(e.g., 상대성 혁명). (ii) 변칙이 실용적으로 가치가 있는 적용을 어렵게 만들 경우(e.g, 코페르니쿠스 혁명). (iii) 어떤 정상과학적 발전이 단순한 변칙을 위기의 근원으로 다시 보게 만드는 경우(e.g., 화학 혁명) (iv) 기타 : 오랜 헛수고.
그렇다면 어떤 변칙이 시급히 해결할 중대한 변칙이 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완벽한 답은 없지만, 몇 가지 전형적인 경우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있다. (i) 그 변칙이 명시적이고 근본적인 일반화를 건드리는 경우(e.g., 상대성 혁명). (ii) 변칙이 실용적으로 가치가 있는 적용을 어렵게 만들 경우(e.g, 코페르니쿠스 혁명). (iii) 어떤 정상과학적 발전이 단순한 변칙을 위기의 근원으로 다시 보게 만드는 경우(e.g., 화학 혁명) (iv) 기타 : 오랜 헛수고.


어떻게든 하나의 변칙이 퍼즐 이상의 것으로 보이게 되면, 위기와 비정상과학의 시기로 이행 시작. 무슨 뜻? (i) 변칙의 광범위한 수용과 탁월한 학자들의 관심 집중 (ii) 잘 풀리지 않을 경우, 그 문제는 그 분야의 가장 큰 문제로 인식 (iii) 여러 문제 풀이 시도 속에서 다양한 부분적인 풀이 제안. 이러한 부분적인 문제 풀이들의 성격 : 문제 풀이 규칙의 완화와 패러다임의 모호성 증대. 결국 패러다임이 존재하지만 그에 대한 전적인 합의 없음. 이러한 상태를 당대의 과학자 스스로 ‘위기’로 인식하기도(e.g., 코페르니쿠스, 아인슈타인, 파울리 등).
어떻게든 하나의 변칙이 퍼즐 이상의 것으로 보이게 되면, 위기와 비정상과학의 시기로 이행 시작. 무슨 뜻? (i) 변칙의 광범위한 수용과 탁월한 학자들의 관심 집중 (ii) 잘 풀리지 않을 경우, 그 문제는 그 분야의 가장 큰 문제로 인식 (iii) 여러 문제 풀이 시도 속에서 다양한 부분적인 풀이 제안.  
 
'''이러한 부분적인 문제 풀이들의 성격 : 문제 풀이 규칙의 완화와 패러다임의 모호성 증대. 결국 패러다임이 존재하지만 그에 대한 전적인 합의 없음. 이러한 상태를 당대의 과학자 스스로 ‘위기’로 인식하기도(e.g., 코페르니쿠스, 아인슈타인, 파울리 등).'''


== 위기와 비정상과학의 특징 ==
== 위기와 비정상과학의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