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위기에 대한 반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3번째 줄:
== 위기에 직면한 과학자가 하지 않는 일 ==
== 위기에 직면한 과학자가 하지 않는 일 ==


위기에 처했을 때, “과학자들은 신념을 잃기 시작하고 다른 대안을 궁리하기 시작할지 모르나, 그렇다고 그들을 위기로 이끈 패러다임을 단념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변칙을 반례로 간주하지 않는다.”(121쪽)  
위기에 처했을 때, “과학자들은 신념을 잃기 시작하고 이어서 다른 대안을 궁리하기 시작할지 모르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을 위기로 몰고 간 그 패러다임을 바로 폐기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 변칙현상들을 반증 사례로 간주하지 않는다.”(164쪽)  


무슨 뜻? “패러다임을 거부하는 결단은 언제나 그와 동시에 다른 패러다임을 수용하는 결단이 되며, 그 결정에 이르는 판단은 패러다임과 자연의 비교뿐 아니라 패러다임끼리의 비교 두 가지를 포함한다.”(122쪽)  
무슨 뜻? “하나의 패러다임을 거부하는 결단은 언제나 그와 동시에 다른 것을 수용하는 결단이 되며, 그 결정으로까지 이끌어가는 판단은 패러다임과 자연의 비교 '''그리고''' 패러다임끼리의 비교라는 두 가지를 포함한다.”(165쪽)  


대안 없는 패러다임의 포기는 과학 자체를 포기하는 것과 같다. 그런 과학자는 “자기 연장을 탓하는 목수”로 비춰질 것이다.<ref>쿤이 기존의 인식론(검증주의나 반증주의)에 들어맞지 않는 역사적 사례들을 찾아서 제기할 때, 그것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 그것은 철학적 이론에 대한 위기를 심화시킬 수는 있겠지만, 철학적 이론을 반증할 수도 없고 반증하지도 않을 것이다. 기존 패러다임의 옹호자들은 어떤 행동을 취할까? 그들은 과학자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명료화를 시도하고 임시방편적인 수정들을 시도할 것이다. 만약 쿤의 문제제기가 이러한 사소한 역할 이상을 하게 된다면? 그것은 새로운 대안적 분석의 씨앗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지 기존 패러다임을 그 자체로 무너뜨리기 때문이 아니다. [즉 기존 패러다임에게 매우 이상하게 보이는 현상이, 대안 패러다임에게는 당연한 일 또는 동어반복적인 일로 보이게 된다. 반례에 직면해 패러다임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사실들은 기존 인식론의 입장에서는 이상 현상으로 보이겠지만, 쿤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일 또는 필연적인 일이 된다. 그렇다고 이러한 새 관점의 출현이 기존 인식론을 자동적으로 폐기시키는 것은 아니다. 둘의 비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ref>  
대안 없는 패러다임의 포기는 과학 자체를 포기하는 것과 같다. 그런 과학자는 “자기 연장을 탓하는 목수”로 비춰질 것이다.<ref>쿤이 기존의 인식론(검증주의나 반증주의)에 들어맞지 않는 역사적 사례들을 찾아서 제기할 때, 그것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 그것은 철학적 이론에 대한 위기를 심화시킬 수는 있겠지만, 철학적 이론을 반증할 수도 없고 반증하지도 않을 것이다. 기존 패러다임의 옹호자들은 어떤 행동을 취할까? 그들은 과학자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명료화를 시도하고 임시방편적인 수정들을 시도할 것이다. 만약 쿤의 문제제기가 이러한 사소한 역할 이상을 하게 된다면? 그것은 새로운 대안적 분석의 씨앗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지 기존 패러다임을 그 자체로 무너뜨리기 때문이 아니다. [즉 기존 패러다임에게 매우 이상하게 보이는 현상이, 대안 패러다임에게는 당연한 일 또는 동어반복적인 일로 보이게 된다. 반례에 직면해 패러다임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사실들은 기존 인식론의 입장에서는 이상 현상으로 보이겠지만, 쿤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일 또는 필연적인 일이 된다. 그렇다고 이러한 새 관점의 출현이 기존 인식론을 자동적으로 폐기시키는 것은 아니다. 둘의 비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ref>


== 퍼즐 vs. 반례 ==
== 퍼즐 vs. 반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