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정상과학의 성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편집 요약 없음
(4판 페이지 반영)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3장
  토머스 쿤 지음, 김명자, 홍성욱 옮김, {{책|[[과학혁명의 구조]]}} 제4판 (까치, 2013), 3장.


“한 그룹의 단일한 패러다임의 수용이 허용하는 보다 전문화되고 난해한 연구의 성격이란 무엇인가? 만일 그 패러다임이 일단 완전히 수행된 연구를 대표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그 그룹에 어떤 문제들을 해결 과제로 남겨놓는가?”(90쪽) 패러다임의 수용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그러면 정상과학에서 풀 문제가 없어지기 때문에, 정상과학은 존립할 수가 없다. 패러다임을 패러다임이게끔 만들어준 인상적인 성공은 “적용 범위와 정확성 양쪽 측면에서”(91쪽) 한계가 있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래서 쿤은 패러다임을 “관습법에서 수용된 판결처럼, ... 새롭거나 보다 엄격한 조건 아래에서 더욱 명료화되고 특성화되어야 하는 대상”(91쪽)으로 묘사한다.
“한 그룹의 단일한 패러다임의 수용이 허용하는 보다 전문화되고 난해한 연구의 성격이란 무엇인가? 만일 그 패러다임이 일단 완전히 수행된 연구를 대표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그 그룹에 어떤 문제들을 해결 과제로 남겨놓는가?”(90쪽) 패러다임의 수용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그러면 정상과학에서 풀 문제가 없어지기 때문에, 정상과학은 존립할 수가 없다. 패러다임을 패러다임이게끔 만들어준 인상적인 성공은 “적용 범위와 정확성 양쪽 측면에서”(91쪽) 한계가 있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래서 쿤은 패러다임을 “관습법에서 수용된 판결처럼, ... 새롭거나 보다 엄격한 조건 아래에서 더욱 명료화되고 특성화되어야 하는 대상”(91쪽)으로 묘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