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
ZoLAist's WikiNote
강의
- 2018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7년 2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영화 속의 과학기술 | 에피소드 과학철학
- 2017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과학자의 삶과 사상 | 에피소드 과학철학
추천 항목
- 토머스 쿤 지음, 정동욱 번역, 『코페르니쿠스 혁명』 (지만지, 2016). 원저 : Thomas S. Kuhn, The Copernican Revolution: Planetary Astronomy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Thought (Harvard University Press, 1957).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지음, 정동욱 번역,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원저: Nicolaus Copernicus,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 (1543); On the Revolutions, trans. Edward Rosen (Baltimore and Lond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 『과학교양』에 수록된 「과학의 역사와 문화」 항목들
- 17세기 과학혁명의 지적, 사회적 의미 (by 김봉국) | 18세기 라부아지에와 화학연구의 새로운 방법 (by 오승현) | 19세기 물리학의 탄생 (by 정동욱) | 19세기 다윈주의 진화론의 등장과 그 사회적 함의 (by 정세권) | 20세기 유전학: 멘델에서 인간게놈프로젝트까지 (by 정성욱) | 과학의 제도적 기반 (by 정동욱) | 과학과 문화의 상호 작용 (by 조수남) | 산업혁명을 통해 본 과학과 기술의 상호작용 (by 서민우) | 과학과 제국주의 (by 정세권)
- 과학사통론 | 과학사 논자시 | 과학철학통론 | 과학적 방법 | 과학 이론 | 자연 법칙
- Martin Curd and J. A. Cover, eds., Philosophy of Science: The Central Issues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Inc., 1998)
-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책에 대한 소개와 장별 요약)
- A. J. 에이어, 논리실증주의 편집자 서문 (Logical Positivism의 서문)
- 루돌프 카르납, 법칙의 가치: 설명과 예측 (법칙의 필요성에 대한 고전적인 논문의 요약)
- 헴펠의 포섭 법칙 모형과 그 비판
- Nancy Cartwright, The Simulacrum Account of Explanation
- 반 프라센 지음, 천현득 옮김,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논증들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고전적인 비판)
- 기술의 정의 | 과학과 기술 | 미국의 전기화 | 갈릴레오 재판 | 머튼 명제
- 양자역학의 형식적 구조 | 케플러의 법칙
- 데이비드 에저턴, 『낡고 오래된 것들의 세계사: 석탄, 자전거, 콘돔으로 보는 20세기 기술사』 (휴머니스트, 2015). 원저: David Edgerton, The Shock of the Old: Technology and Global History Since 1900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 캐슬린 오크룰릭 지음, 정동욱 번역, "젠더와 생명과학들". 원문 : Kathleen Okruhlik, "Gender and the Biological Sciences", in Philosophy of Science: The Central Issues, eds. Curd & Cover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1998), pp. 192-208.
- 구획 문제에 대한 주요 논문 번역
- 추측과 논박 (by 칼 포퍼) | 발견의 논리인가 탐구의 심리학인가? (by 토머스 쿤) | 과학과 사이비과학 (by 임레 라카토슈) | 왜 점성술은 사이비과학인가 (by 폴 태거드) | 창조과학은 과학이 아니다 (by 마이클 루즈) | 코멘터리 : 법정의 과학─걱정의 이유 (by 래리 라우든)
- 루트비히 볼츠만 지음, 정동욱 번역, "모형". 원문 : Ludwig Boltzmann, "Model", Encyclopaedia Britannica (1911).
- 영국사상연구소 편, 정동욱 번역 「윤리적 관광: 누구를 위한 것인가?」, 『논쟁 없는 시대의 논쟁』 (서울: 도서출판 이음, 2009), 111-231쪽. 원문 : Institute of Ideas (ed.), Ethical Tourism: Who Benefits? (Hodder Arnold H&S, 2002).
- 박민아, 김영식 편, 『프리즘: 역사로 과학 읽기』 (서울대출판부, 2007).
- 갈릴레오, 상징 제작자 by 마리오 비애지올리 | 혁명의 최전선? 북해 연안 지역의 의학과 자연사 by 해롤드 쿡 | 실험실 설계와 과학의 목적: 안드레아스 리바비우스와 티코 브라헤 by 오웬 한너웨이 | “실험의 정확성”: 18세기 후반 화학에서 측정의 정밀성과 추론의 정밀성 by 잔 골린스키 | 인종과 젠더: 과학에서 유비의 역할 by 낸시 레이즈 스테판 | 진화론의 사회적 함의들 by 피터 보울러 | 아인슈타인의 시계들: 시간의 장소 by 피터 갤리슨 | 미국의 거대과학과 거대정치: 사멸한 SSC와 살아남은 휴먼게놈프로젝트에 대하여 다니엘 케블레스 | 세종대 과학기술의 “자주성”, 다시 보기 by 문중양 | 서구 지리학에 대한 동아시아 세계지리 전통의 반응: 17-18세기 중국과 조선의 경우 by 임종태 | 중국과학에서의 Why not 질문: 과학혁명과 중국전통과학 by 김영식
- 칼 헴펠 & 폴 오펜하임 지음, 정동욱 번역, "설명의 논리에 대한 연구". 원문 : Carl G. Hempel & Paul Oppenheim, "Studies in the Logic of Explanation," Philosophy of Science 15 (1948), 135-175.
- 낸시 카트라이트 지음, 정동욱 번역, "진리는 많은 것을 설명하지 않는다". 원문 : Nancy Cartwright, "The Truth Doesn't Explain Much" in How the Laws of Physics Lie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pp. 44-53.
- 프레데릭 수피 지음, 한나 번역, 「핸슨」. 원문 : Frederick Suppe, The Structure of Scientific Theories, 2nd edi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77), pp. 151-166.
- 마틴 커드 지음, 천현득 옮김, "발견의 논리: 세 가지 접근에 대한 분석". 원문 : Martin Curd, "The Logic of Discovery: An Analysis of Three Approaches", in Thomas Nickles (ed.), Scientific Discovery, Logic and Rationality (1980).
- 헨리 포드 지음, 홍성주 번역, "대량생산". 원문 : Henry Ford, "Mass Production", Encyclopaedia Britannica 13th ed (1926).
- 철학 용어 번역어 사전 (by 한국과학철학회?)
- 김명진의 STS 홈페이지
출판
- 2017년 11월. "메이요의 엄격한 시험에 대한 비판", 『과학철학』 20권 제3호, 31-54쪽.
- 2017년 8월. "이중 나선과 DNA 회절 사진 : 가설 구성에 사용된 자료는 증거가 될 수 있는가?", 『철학』 132집, 237-264쪽.
- 2011년 12월. "마이클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현상의 발견, 네이버캐스트.
- 2011년 8월. "공간을 힘의 선으로 채운 패러데이", 『미래사회와 과학기술』 (과학고등학교 교과서), 한국과학창의재단.
- 2010년 9월. "19세기 물리학의 탄생" & "과학의 제도적 기반", 「과학의 역사와 문화」, 『과학교양』 (과학중점고등학교 교과서), 한국과학창의재단.
- 2010년 5월. 『패러데이 & 맥스웰 : 공간에 펼쳐진 힘의 무대』. 서울: 김영사.
- 2007년 11월. 「전통 대 비판: 쿤 대 포퍼」, 스티브 풀러, 『쿤/포퍼 논쟁』 (서울: 생각의나무), 205-211쪽에 수록.
신규 항목
- 2018년 4월 18일 (수) 15:11 회전 (벡터 연산자) (역사) [4,277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벡터 연산자 {{'|회전}}은 벡터장 내 임의의 지점의 회전량과 방향을 나타내는 연산자이다. 그림:회전.png|thumb|주어진 자기 강도 분포에...)
- 2018년 4월 18일 (수) 14:38 기울기 (벡터 연산자) (역사) [1,854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맥스웰이 고안한 유체 시스템의 압력과 힘 사이의 관계는 ‘기울기’라는 벡터 연산자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표현된다. 만약 어떤 지점 <ma...)
- 2018년 4월 18일 (수) 14:16 발산 (벡터 연산자) (역사) [2,583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맥스웰이 고안한 유체 시스템의 유체 흐름과 공급원 및 배수구 사이의 관계는 {{'|발산}}이라는 벡터 연산자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표현된...)
- 2018년 4월 18일 (수) 12:46 발산 정리 (역사) [1,603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유체 시스템과 같은 벡터장에서, 임의의 지점의 유량의 발산(<math>\nabla \cdot \mathbf {v}</math>)이 그 지점의 공급 밀도(<math>\rho</math>를 나타낼...)
- 2018년 4월 13일 (금) 14:25 컴퓨터 하드웨어의 스펙과 성능 (역사) [22,281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21세기와 컴퓨터 : 2012년 2학기 == 주요 개념 == * 플로피 디스크 : Floppy Disk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 Hard Disk Drive (HDD). * RAM : Random Access Memory...)
- 2018년 3월 12일 (월) 16:33 뒤엠-콰인 논제 (역사) [4,492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뒤엠-콰인 논제는 특정한 이론에 기반한 예측이 경험적으로 반증되었을 때 예측에 기여한 가설들 중 정확히 어느 것에 책임이 있는지 논...)
- 2018년 3월 5일 (월) 16:57 방법을 거부하며 (역사) [29,974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Paul Feyerabend, <i>Against Method: Outline of an Anarchist Theory of Knowledge</i>, third edition (New Left Books, 1993). 아래의 번역은 정병훈의 번역본 {{책|방법에...)
- 2018년 2월 18일 (일) 12:30 19세기 과학의 전문화 (역사) [10,726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 객관성의 이미지 == L. Daston and P. Galison, "The Images of Obejectivity," ''Representation'' 37 (1992), pp. 67-106 19세기 중반 이후 출간된 도해서를 중심으...)
- 2018년 2월 10일 (토) 11:42 Research Traditions, Lavoisier, and the Chemical Revolution (역사) [1,925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C. E. Rerrin, "Research Traditions, Lavoisier, and the Chemical Revolution," Osiris 4 (1988), 53-81. 라부아지에 이전과 이후의 불연속성(혁명)과 연속성(점진) 주...)
- 2018년 2월 10일 (토) 11:14 18세기와 19세기의 전기와 자기 (역사) [34,574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과학사통론 II 5주차 요약문 : 18세기와 19세기의 전기와 자기 == 벤저민 프랭클린의 전기에 대한 실험과 관찰 == Benjamin Franklin, ''Experiments an...)
- 2018년 2월 9일 (금) 10:59 뉴턴주의의 사회적 의미: 뉴턴(클라크)-라이프니츠 논쟁 (역사) [15,437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 라이프니츠-클라크 논쟁의 정치적 의미 == *Steven Shapin, “Of Gods and Kings: Natural Philosophy and Politics in the Leibnitz-Clarke Disputes” 미적분 발...) 처음에 "뉴턴주의의 사회적 의미: 뉴턴(클라크-라이프니츠 논쟁"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18년 2월 9일 (금) 10:40 뉴턴의 과학관 (역사) [8,753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뉴턴의 {{책|프린키피아}}에서 과학에 대한 그의 태도를 엿볼 수 있는 부분들을 요약해보았다. {{장|제너럴 스콜리움}}에서 뉴턴은 기계적...)
- 2018년 2월 8일 (목) 14:41 코페르니쿠스 혁명/전통의 재구성 :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코페르니쿠스주의자들까지 (역사) [106,949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CR}}, 4장. ==13세기까지 유럽의 과학과 학문==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의 마지막 위대한 우주론자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보다 거의 5세...)
- 2018년 2월 2일 (금) 15:01 정보의 인코딩 (역사) [23,986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21세기와 컴퓨터 2012년 2학기 [강의노트] 2.2 정보의 인코딩 : 한글은 어떻게 저장될까? (현재 편집 중) ==주요 개념== * 보수 : 임의의 진법...)
- 2018년 2월 2일 (금) 09:46 표상하기와 개입하기 (역사) [23,164 바이트] Zolaist (토론 | 기여) (새 문서: 이언 해킹 지음, 이상원 옮김, {{책|표상하기와 개입하기: 자연과학철학의 입문적 주제들}} (한울 아카데미, 2005), 68-72, 340-342쪽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