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테르와 상대성 이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0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1월 8일 (화) 23:04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19세기 물리학자인 마이켈슨과 몰리는 지구의 절대 운동에 따른 효과를 탐지하고자 했다. 그들이 가정한 에테르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19세기 물리학자인 마이켈슨과 몰리는 지구의 절대 운동에 따른 효과를 탐지하고자 했다. 그들이 가정한 에테르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에테르’라는 매질로 가득 채워져 있으며, 빛은 에테르의 진동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이다. 또한 에테르는 절대 공간에 고정되어 있기에 운동의 절대적 기준이 된다고 가정되었다. 그렇다면 에테르를 기준으로 관찰자-광원-거울이 함께 <math>v</math>의 속도로 운동 중인 <그림 1>의 시스템을 상상해 보자.
19세기 물리학자인 마이켈슨과 몰리는 지구의 절대 운동에 따른 효과를 탐지하고자 했다. 그들이 가정한 에테르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에테르’라는 매질로 가득 채워져 있으며, 빛은 에테르의 진동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이다. 또한 에테르는 절대 공간에 고정되어 있기에 운동의 절대적 기준이 된다고 가정되었다. 그렇다면 에테르를 기준으로 관찰자-광원-거울이 함께 <math>v</math>의 속도로 운동 중인 <그림 1>의 시스템을 상상해 보자.


[[그림:그림 1. 에테르에 대해 v의 속도로 함께 운동 중인 관찰자-광원-거울 시스템.png]]파동인 빛의 전파 속도는 에테르에 대해 <math>c</math>로 일정하므로, 에테르에 대해 정지한 관찰자 2에게 빛의 속도는 <math>c</math>로 일정하다. 따라서 A(광원)에서 출발한 빛은 <math>\frac{L}{c-v}</math>의 시간 동안 <math>\frac{L}{1-v/c}</math>의 거리를 이동하여 B(거울)에 도달하고, B에서 반사된 빛은 <math>\frac{L}{c+v}</math>의 시간 동안 <math>\frac{L}{1+v/c}</math>의 거리를 이동하여 A(관찰자)에 도달한다. 이를 운동 중인 시스템 내의 관찰자 1의 관점에서 보면, 빛은 A에서 B까지 <math>c-v</math>의 속도로 거리 <math>L</math>을 이동하고, B에서 A까지 <math>c+v</math>의 속도로 다시 거리 <math>L</math>을 이동한다. 즉 그에게 빛이 AB를 왕복하는 평균 속도는 빛의 이동 거리 <math>2L</math>을 이동 시간 <math>\frac{L}{c-v} + \frac{L}{c+v}</math>, 즉 로 나눈 값인 으로, 이를 실험을 통해 측정한다면 에테르에 대한 시스템의 속도인 의 값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그런데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하므로, 에테르를 기준으로 한 지표면의 운동은 1일 및 1년 주기의 변화를 겪을 것이고, 따라서 지구상에서 측정되는 빛의 평균 속도 역시 주기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주기적 변화는 어떠한 측정 장치로도 탐지되지 않았다.
[[그림:그림 1. 에테르에 대해 v의 속도로 함께 운동 중인 관찰자-광원-거울 시스템.png|thumb|그림 1. 에테르에 대해 v의 속도로 함께 운동 중인 관찰자-광원-거울 시스템]]파동인 빛의 전파 속도는 에테르에 대해 <math>c</math>로 일정하므로, 에테르에 대해 정지한 관찰자 2에게 빛의 속도는 <math>c</math>로 일정하다. 따라서 A(광원)에서 출발한 빛은 <math>\frac{L}{c-v}</math>의 시간 동안 <math>\frac{L}{1-v/c}</math>의 거리를 이동하여 B(거울)에 도달하고, B에서 반사된 빛은 <math>\frac{L}{c+v}</math>의 시간 동안 <math>\frac{L}{1+v/c}</math>의 거리를 이동하여 A(관찰자)에 도달한다. 이를 운동 중인 시스템 내의 관찰자 1의 관점에서 보면, 빛은 A에서 B까지 <math>c-v</math>의 속도로 거리 <math>L</math>을 이동하고, B에서 A까지 <math>c+v</math>의 속도로 다시 거리 <math>L</math>을 이동한다. 즉 그에게 빛이 AB를 왕복하는 평균 속도는 빛의 이동 거리 <math>2L</math>을 이동 시간 <math>\frac{L}{c-v} + \frac{L}{c+v}</math>, 즉 로 나눈 값인 으로, 이를 실험을 통해 측정한다면 에테르에 대한 시스템의 속도인 의 값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그런데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하므로, 에테르를 기준으로 한 지표면의 운동은 1일 및 1년 주기의 변화를 겪을 것이고, 따라서 지구상에서 측정되는 빛의 평균 속도 역시 주기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주기적 변화는 어떠한 측정 장치로도 탐지되지 않았다.
   
   
결국 에테르 이론에 기초하여 지구의 절대 운동을 탐지하려는 마이켈슨과 몰리의 계획은 실패했다.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여전히 에테르 이론에 기초하여 왜 빛의 속도가 관찰자의 운동과 무관하게 일정한 것처럼 측정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에테르가 없기에 에테르에 대한 관찰자의 운동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탐지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관찰자의 운동과 무관하게 빛의 속도가 로 언제나 일정하다는 광속 불변의 원리를 참으로 전제한 후, 관찰자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흐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의 1초는 다른 누군가의 1초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에테르 이론에 기초하여 지구의 절대 운동을 탐지하려는 마이켈슨과 몰리의 계획은 실패했다.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여전히 에테르 이론에 기초하여 왜 빛의 속도가 관찰자의 운동과 무관하게 일정한 것처럼 측정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에테르가 없기에 에테르에 대한 관찰자의 운동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탐지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관찰자의 운동과 무관하게 빛의 속도가 로 언제나 일정하다는 광속 불변의 원리를 참으로 전제한 후, 관찰자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흐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의 1초는 다른 누군가의 1초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