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페르니쿠스 혁명/코페르니쿠스 천문학의 수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imported>Zolaist
 
 
9번째 줄: 9번째 줄:
그러나 {{책|회전에 관하여}}의 성공이 그 핵심 가설의 성공을 의미하진 않았다.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이 가지고 있던 지구의 안정성에 대한 신념은 처음에는 흔들리지 않았다. 코페르니쿠스의 학식을 칭송하거나, 그의 다이어그램을 빌려 오거나,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에 대한 그의 계산 결과를 인용한 저자들은 보통 지구의 운동을 무시하거나 황당무계한 것으로 일축했다. 코페르니쿠스의 가설을 정중하게 언급한 몇 안 되는 글조차도 그 가설을 변호하거나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몇몇 눈에 띄는 예외도 있지만, 코페르니쿠스의 혁신에 대한 초기의 가장 우호적인 반응은 대체로 영국 천문학자 토머스 블런드빌(Thomas Blundeville)의 다음 언급과 유사했다. “코페르니쿠스는 … 지구가 돌고 태양이 하늘의 중심에 가만히 서 있다고 주장했으며, 그 잘못된 가정의 도움으로 그는 천구들의 운동과 회전에 대해 이전의 어떤 설명들보다 참된 설명을 해냈다.”<ref>Francis R. Johnson, {{책|Astronomical Thought in Renaissance England}}(Baltimore: Johns Hopkins Press, 1937), p. 207에서 인용. 나는 이 인용문을 비롯해 이 장의 많은 다른 인용문에서 철자와 구두점을 현대적으로 고쳤다.</ref> 블런드빌의 언급은 1594년 지구의 안정성을 당연하게 간주한 기초적인 천문학 책에 나와 있다. 그러나 블런드빌의 반대 논조는 오히려 그의 더 기민하고 유능한 독자들을 {{책|회전에 관하여}}로 똑바로 인도했을 것이며, 어쨌든 유능한 천문학자라면 아무도 그 책을 무시할 수 없었다. 처음부터 {{책|회전에 관하여}}는 널리 읽혔지만, 그것은 책의 이상한 우주론적 가설 때문이 아니라 그 가설에도 불구하고 읽힌 것이었다.
그러나 {{책|회전에 관하여}}의 성공이 그 핵심 가설의 성공을 의미하진 않았다.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이 가지고 있던 지구의 안정성에 대한 신념은 처음에는 흔들리지 않았다. 코페르니쿠스의 학식을 칭송하거나, 그의 다이어그램을 빌려 오거나,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에 대한 그의 계산 결과를 인용한 저자들은 보통 지구의 운동을 무시하거나 황당무계한 것으로 일축했다. 코페르니쿠스의 가설을 정중하게 언급한 몇 안 되는 글조차도 그 가설을 변호하거나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몇몇 눈에 띄는 예외도 있지만, 코페르니쿠스의 혁신에 대한 초기의 가장 우호적인 반응은 대체로 영국 천문학자 토머스 블런드빌(Thomas Blundeville)의 다음 언급과 유사했다. “코페르니쿠스는 … 지구가 돌고 태양이 하늘의 중심에 가만히 서 있다고 주장했으며, 그 잘못된 가정의 도움으로 그는 천구들의 운동과 회전에 대해 이전의 어떤 설명들보다 참된 설명을 해냈다.”<ref>Francis R. Johnson, {{책|Astronomical Thought in Renaissance England}}(Baltimore: Johns Hopkins Press, 1937), p. 207에서 인용. 나는 이 인용문을 비롯해 이 장의 많은 다른 인용문에서 철자와 구두점을 현대적으로 고쳤다.</ref> 블런드빌의 언급은 1594년 지구의 안정성을 당연하게 간주한 기초적인 천문학 책에 나와 있다. 그러나 블런드빌의 반대 논조는 오히려 그의 더 기민하고 유능한 독자들을 {{책|회전에 관하여}}로 똑바로 인도했을 것이며, 어쨌든 유능한 천문학자라면 아무도 그 책을 무시할 수 없었다. 처음부터 {{책|회전에 관하여}}는 널리 읽혔지만, 그것은 책의 이상한 우주론적 가설 때문이 아니라 그 가설에도 불구하고 읽힌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의 넓은 독자층 덕분에 적지만 점점 많은 수의 독자들은 코페르니쿠스의 조화를 발견하고 그것을 기꺼이 증거로 받아들일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몇몇 개종자들이 나타났고, 그들의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코페르니쿠스의 체계에 관한 지식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첫 제자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Georg Joachim Rheticus, 1514∼1576)가 쓴 {{책|나라티오 프리마(Narratio Prima, 최고의 설명)}}는 1540년에 처음 출판된 이래 수십 년 동안 새로운 천문학적 방법에 대한 최고의 전문적 요약 해설서 역할을 수행했다. 영국의 천문학자 토머스 딕스(Thomas Digges, 1546?∼1595)가 코페르니쿠스주의를 변호하기 위해 1576년에 발표한 쉽고 대중적인 글은 지구의 운동이라는 개념을 천문학자들의 좁은 울타리 너머로 퍼뜨리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그리고 튀빙겐대학 천문학 교수 미하엘 마에스틀린(Michael Maestlin, 1550∼1631)의 교육과 연구는 케플러를 비롯해 새로운 천문학에 대한 몇몇 개종자를 낳았다. 이와 같은 사람들의 교육과 저술과 연구를 통해 코페르니쿠스주의는 입지를 강화할 수 있었다. 물론 여전히 움직이는 지구라는 관념에 지지를 표명하는 천문학자는 소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의 넓은 독자층 덕분에 적지만 점점 많은 수의 독자들은 코페르니쿠스의 조화를 발견하고 그것을 기꺼이 증거로 받아들일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몇몇 개종자들이 나타났고, 그들의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코페르니쿠스의 체계에 관한 지식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첫 제자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Georg Joachim Rheticus, 1514∼1576)가 쓴 {{책|나라티오 프리마(Narratio Prima, 첫 번째 설명)}}는 1540년에 처음 출판된 이래 수십 년 동안 새로운 천문학적 방법에 대한 최고의 전문적 요약 해설서 역할을 수행했다. 영국의 천문학자 토머스 딕스(Thomas Digges, 1546?∼1595)가 코페르니쿠스주의를 변호하기 위해 1576년에 발표한 쉽고 대중적인 글은 지구의 운동이라는 개념을 천문학자들의 좁은 울타리 너머로 퍼뜨리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그리고 튀빙겐대학 천문학 교수 미하엘 마에스틀린(Michael Maestlin, 1550∼1631)의 교육과 연구는 케플러를 비롯해 새로운 천문학에 대한 몇몇 개종자를 낳았다. 이와 같은 사람들의 교육과 저술과 연구를 통해 코페르니쿠스주의는 입지를 강화할 수 있었다. 물론 여전히 움직이는 지구라는 관념에 지지를 표명하는 천문학자는 소수였다.


그러나 스스로 코페르니쿠스주의자라고 밝힌 사람들의 수는 코페르니쿠스의 혁신이 성공했음을 보여 주는 적절한 지표가 아니다. 많은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운동을 부인하거나 그에 대해 말을 삼가면서도 코페르니쿠스의 수학적 체계를 탐구하고 새로운 천문학의 성공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헬레니즘 천문학자들은 선례를 제공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행성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책|알마게스트}}에서 사용된 모든 원이 물리적으로 실재한다고 내세운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그 원들은 유용한 수학적 장치일 뿐, 그 이상일 필요는 없었다. 비슷하게, 르네상스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궤도를 나타내는 원을 계산만을 위한 수학적 허구로 자유로이 간주할 수 있었다. 그들은 지구의 운동에 대한 물리적 실재성을 스스로 믿지 않으면서도 지구가 도는 것처럼 행성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고 때로는 정말로 그런 계산을 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원고를 인쇄 중에 본 루터주의 신학자 안드레아스 오시안더(Andreas Osiander)는 {{책|회전에 관하여}} 앞에 코페르니쿠스의 허락 없이 익명의 서문을 덧붙이면서 실제로 이러한 입장을 독자들에게 권고했다. 이 가짜 서문이 아마도 많은 천문학자들을 속이지는 못했을 테지만, 그럼에도 그들 중 상당수는 그가 제안한 입장을 잘 활용했다. 지구의 물리적 운동을 지지하지 않은 채 코페르니쿠스의 수학적 체계를 사용하는 것은 {{책|회전에 관하여}} 속에서 뚜렷하게 대비되는 천상의 조화와 지상의 부조화로 인한 딜레마에서 빠져나오는 간편한 방법을 제공했다. 이는 또한 지구의 운동이 황당무계하다는 천문학자들이 가진 애초의 확신을 점차 완화해 주기도 했다.
그러나 스스로 코페르니쿠스주의자라고 밝힌 사람들의 수는 코페르니쿠스의 혁신이 성공했음을 보여 주는 적절한 지표가 아니다. 많은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운동을 부인하거나 그에 대해 말을 삼가면서도 코페르니쿠스의 수학적 체계를 탐구하고 새로운 천문학의 성공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헬레니즘 천문학자들은 선례를 제공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행성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책|알마게스트}}에서 사용된 모든 원이 물리적으로 실재한다고 내세운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그 원들은 유용한 수학적 장치일 뿐, 그 이상일 필요는 없었다. 비슷하게, 르네상스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궤도를 나타내는 원을 계산만을 위한 수학적 허구로 자유로이 간주할 수 있었다. 그들은 지구의 운동에 대한 물리적 실재성을 스스로 믿지 않으면서도 지구가 도는 것처럼 행성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고 때로는 정말로 그런 계산을 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원고를 인쇄 중에 본 루터주의 신학자 안드레아스 오시안더(Andreas Osiander)는 {{책|회전에 관하여}} 앞에 코페르니쿠스의 허락 없이 익명의 서문을 덧붙이면서 실제로 이러한 입장을 독자들에게 권고했다. 이 가짜 서문이 아마도 많은 천문학자들을 속이지는 못했을 테지만, 그럼에도 그들 중 상당수는 그가 제안한 입장을 잘 활용했다. 지구의 물리적 운동을 지지하지 않은 채 코페르니쿠스의 수학적 체계를 사용하는 것은 {{책|회전에 관하여}} 속에서 뚜렷하게 대비되는 천상의 조화와 지상의 부조화로 인한 딜레마에서 빠져나오는 간편한 방법을 제공했다. 이는 또한 지구의 운동이 황당무계하다는 천문학자들이 가진 애초의 확신을 점차 완화해 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