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anatory Coherence and the Impossibility of Confirmation by Coherenc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코멘트 추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호이머(Huemer 1997)의 반정합성 정리는 봉주어식 정합론이 불가능함을 보이기 위한 정리이다. 다음의 두 가정은 봉주어의 모형을 베이즈주의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호이머(Huemer 1997)의 반정합성 정리는 봉주어식 정합론이 불가능함을 보이기 위한 정리이다. 다음의 두 가정은 봉주어의 모형을 베이즈주의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 단독 목격의 무입증력 가정 : <math>P(A|W_{i, A} ) = P(A)</math>, <math>P(A|W_{j, A} ) = P(A)</math>
# 단독 목격의 무입증력 가정 : <math>P(A|W_{i, A} ) = P(A)</math>
# 두 목격(i,j)의 조건부 독립성 가정 :  
# 두 목격(i,j)의 조건부 독립성 가정(j가 i에 대해 독립적) :  
#* <math>P(W_{j,A} | W_{i,A} \land A) = P(W_{j,A} | A)</math>
#* <math>P(W_{j,A} | W_{i,A} \land A) = P(W_{j,A} | A)</math>
#* <math>P(W_{j,A} | W_{i,A} \land \neg A) = P(W_{j,A} | \neg A)</math>
#* <math>P(W_{j,A} | W_{i,A} \land \neg A) = P(W_{j,A} | \neg A)</math>
99번째 줄: 99번째 줄:
* 복수 목격 모형에서 증거로 채택한 E3(W1과 W2가 동일한 사건을 증언한다.)를 E1, E2와 별도로 고려해도 되는가?
* 복수 목격 모형에서 증거로 채택한 E3(W1과 W2가 동일한 사건을 증언한다.)를 E1, E2와 별도로 고려해도 되는가?
* 정합성을 설명적 관계에 의존하는 부담은?
* 정합성을 설명적 관계에 의존하는 부담은?
* 동일한 상황을 서로 다른 개수의 증거, 가설로 묘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평가의 애매함은 없을까?
* 태거드의 ECHO 모형이 동일한 상황을 서로 다른 개수의 증거, 가설로 묘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평가의 애매함은 없을까?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