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anatory Coherence and the Impossibility of Confirmation by Coherenc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8번째 줄: 28번째 줄:
== 정합성 최대화와 목격 일치 모형 ==
== 정합성 최대화와 목격 일치 모형 ==
[[파일:태거드의 단일 목격 모형.jpg|섬네일|그림 2. 태거드의 단일 목격 모형. 최대 정합성을 산출하는 분할은 P1과 P2 두 가지이다.]]
[[파일:태거드의 단일 목격 모형.jpg|섬네일|그림 2. 태거드의 단일 목격 모형. 최대 정합성을 산출하는 분할은 P1과 P2 두 가지이다.]]
태거드의 정합성 최대화 모형을 목격 일치 상황에 적용해보자. 단일 목격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그림 2 참고)
태거드의 정합성 최대화 모형을 목격 일치 상황에 적용해보자.  
 
=== 단일 목격 모형 ===
단일 목격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그림 2 참고)


* 증거  
* 증거  
47번째 줄: 50번째 줄:


[[파일:태거드의 복수 목격 모형.jpg|섬네일|그림 3. 태거드의 복수 목격 모형]]
[[파일:태거드의 복수 목격 모형.jpg|섬네일|그림 3. 태거드의 복수 목격 모형]]
=== 복수 목격 모형 ===
반면 복수 목격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그림 3 참고).  
반면 복수 목격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그림 3 참고).  


* 증거
* 증거
** W1이 A라고 증언한다.
** E1 : W1이 A라고 증언한다.
** W2가 A라고 증언한다.
** E2 : W2가 A라고 증언한다.
** W1과 W2가 동일한 사건을 증언한다.
** E3 : W1과 W2가 동일한 사건을 증언한다.
** W1과 W2 사이에 관찰된 접촉이 없다.
** E4 : W1과 W2 사이에 관찰된 접촉이 없다.
* 가설  
* 가설  
** W1은 진실되었다.
** H1 : W1은 진실되었다.
** W1은 오도하고 있다.
** H2 : W1은 오도하고 있다.
** W2는 진실되었다.
** H3 : W2는 진실되었다.
** W2는 오도하고 있다.
** H4: W2는 오도하고 있다.
** W1과 W2는 독립적이다.
** H5 : W1과 W2는 독립적이다.
** W1과 W2는 공모하고 있다.
** H6 : W1과 W2는 공모하고 있다.
* 설명
* 설명
** H1은 E1을 설명한다.
** X1 : H1은 E1을 설명한다.
** H2는 E1을 설명한다.
** X2 : H2는 E1을 설명한다.
** H3은 E2를 설명한다.
** X3 : H3은 E2를 설명한다.
** H4는 E2를 설명한다.
** X4 : H4는 E2를 설명한다.
** H1, H3, H5는 함께 E3를 설명한다.
** X5 : H1, H3, H5는 함께 E3를 설명한다.
** H2, H4, H6는 함께 E3를 설명한다.
** X6 : H2, H4, H6는 함께 E3를 설명한다.
** H5는 E4를 설명한다.
** X7 : H5는 E4를 설명한다.
* 경쟁(모순)
* 경쟁(모순)
** H1은 H2와 충돌한다.
** C1 : H1은 H2와 충돌한다.
** H3는 H4와 충돌한다.
** C2 : H3는 H4와 충돌한다.
** H5는 H6와 충돌한다.
** C3 : H5는 H6와 충돌한다.


이 모형에서 최대 정합성을 산출하는 분할은 아래와 같다.
이 모형에서 최대 정합성을 산출하는 분할은 아래와 같다.


* P* : A = {e1, e2, e3, e4, h1, h3, h5}; R = {h2, h4, h6}
* P* : A = {e1, e2, e3, e4, h1, h3, h5}; R = {h2, h4, h6}
즉, 태거드의 정합성 최대화 모형은 단일 목격 상황에서는 산출되지 않던 증언의 정당성이 복수 목격 상황에서는 산출된다. 이는 봉주어의 아이디어를 잘 반영하고 있다.


=== 복수의 동전 던지기 모형 ===
저자는 복수 목격 상황을 복수의 동전 던지기 상황과 비교하고 있다. 팀(Tim)과 탬(Tam)이 '''각자''' 동전을 던진 후 자신의 결과를 보고했는데 똑같이 앞면이라고 보고했다. 이이것이 그들의 목격담의 신뢰성을 높여줄까? 그렇지 않다. 두 목격담의 일치는 전혀 그들의 신뢰성을 높여주지 않는다. 그리고 이 부정적 결과는 베이즈주의 모형으로도 태거드의 ECHO 모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교훈은?


 
* 호이머의 정리가 재현하는 상황은 복수 목격 상황이라기보다 복수의 동전 던지기 상황이다.
* 동전 던지기 상황에서 일치가 목격담의 신뢰도를 높이지 않는 이유는? 복수 목격 모형에서는 H5가 E4를 설명하지만, 복수의 동전 던지기 모형에서는 그러한 설명 관계가 도입될 수 없기 때문.
* 베이즈주의 모형화의 문제 : 복수의 동전 던지기의 사례와 달리, 복수 목격 상황에서는 복수의 목격의 일치(정합성)이 관련된 조건부 확률(예 : <math>P(A|W_{i,A})</math>에 변화를 줄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임.


[[분류:논문]]
[[분류: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