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uld scientific realists embrace theoretical conservatism?"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새 문서: Finnur Dellsén, "Should Scientific Realists Embrace Theoretical Conservatism?", SHPS 76 (2019), 30-38. 스탠포드(Staford 2015)는 과학적 실재론이 이론적 보수성을...)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스탠포드의 새로운 귀납과 이론적 보수성 ===
=== 스탠포드의 새로운 귀납과 이론적 보수성 ===


스탠포드의 '과학사의 새로운 귀납'은 이론이 아닌 과학자에 초점을 맞춘 비관적 메타 귀납(PMI)으로, 이에 따르면, 과거의 과학자들은 당시 수용된 급진적으로 다른 대안을 상상하는 데 실패해 왔으며, 현재의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따라서 현재 수용된 이론은 근사적 참일 가능성이 낮으며, 그 이론은 과학자들이 상상할 수 있던 이론들 가운데 최선일 뿐이다.  
스탠포드의 '과학사의 새로운 귀납'은 이론이 아닌 과학자에 초점을 맞춘 비관적 메타 귀납(PMI)으로, 이에 따르면, 과거의 과학자들은 당시 수용된 이론과 급진적으로 다른 대안을 상상하는 데 실패해 왔으며, 현재의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따라서 현재 수용된 이론은 근사적 참일 가능성이 낮으며, 그 이론은 과학자들이 상상할 수 있던 이론들 가운데 최선일 뿐이다.  


그런데 스탠포드에 따르면, 실재론자는 현재 수용된 이론이 근사적 참이라고 믿기에, 새로운 대안적 이론에 대한 탐색 시도가 성공할 가능성이 낮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은 실천적 함의를 가지게 되는데, 왜냐하면 실재론자는 성공에 대한 낮은 믿음으로 인해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기보다는 기존 이론의 틀 내에서 작업하려는 경향을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즉 실재론자는 반실재론자에 비해 이론적 보수성을 띠게 된다.  
그런데 스탠포드에 따르면, 실재론자는 현재 수용된 이론이 근사적 참이라고 믿기에, 새로운 대안적 이론에 대한 탐색 시도가 성공할 가능성이 낮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은 실천적 함의를 가지게 되는데, 왜냐하면 실재론자는 성공에 대한 낮은 믿음으로 인해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기보다는 기존 이론의 틀 내에서 작업하려는 경향을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즉 실재론자는 반실재론자에 비해 이론적 보수성을 띠게 된다.


=== 델센의 분석 ===
=== 델센의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