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Understanding Without Explanatio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75번째 줄: 75번째 줄:


칼리파는 립턴의 설명 없는 이해 견해에 대해 세 가지 반론의 조합으로 대응했고, 립턴의 사례들이 이해가 설명에 대한 지식이라는 생각에 위협이 되지 않음을 보였다. 이제 립턴의 가정을 재검토함으로써 화해의 길을 모색한다. 립턴의 가정(L1)에 따르면, "p에 대한 설명이 p에 대한 모종의 지식을 제공하는 경우, 그러한 종류의 지식이 왜 p인지에 대한 이해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 가정에서 설명은 이해에서 특권적인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왜 그래야 하는가? 바로 EKS 모델에 따르면, 현상의 전체 설명적 넥서스에 대한 풍부한 과학적 지식을 가지는 것이 이상적 종류의 이해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이상적인 이해이므로, 그에 못미치는 비설명적 원시적 이해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립턴의 가정이 EKS의 귀결이므로, 립턴의 비설명적 이해 사례들의 개선 방향도 따라나온다. 바로 설명을 통한 개선이다.
칼리파는 립턴의 설명 없는 이해 견해에 대해 세 가지 반론의 조합으로 대응했고, 립턴의 사례들이 이해가 설명에 대한 지식이라는 생각에 위협이 되지 않음을 보였다. 이제 립턴의 가정을 재검토함으로써 화해의 길을 모색한다. 립턴의 가정(L1)에 따르면, "p에 대한 설명이 p에 대한 모종의 지식을 제공하는 경우, 그러한 종류의 지식이 왜 p인지에 대한 이해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 가정에서 설명은 이해에서 특권적인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왜 그래야 하는가? 바로 EKS 모델에 따르면, 현상의 전체 설명적 넥서스에 대한 풍부한 과학적 지식을 가지는 것이 이상적 종류의 이해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이상적인 이해이므로, 그에 못미치는 비설명적 원시적 이해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립턴의 가정이 EKS의 귀결이므로, 립턴의 비설명적 이해 사례들의 개선 방향도 따라나온다. 바로 설명을 통한 개선이다.
[[분류:과학적 설명]]
[[분류:과학적 이해]]
[[분류:과학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