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Understanding and True Belief"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비-사실주의의 두 번째 옹호 논증은 과학적 실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상화된 설명이 거짓임에도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통계역학은 "입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와 같은 거짓인 가정을 사용하여 왜 이상기체 상태 법칙이 성립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해는 근사적으로 참인 믿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ref>칼리파는 일단 근사적 참의 실재론적 기준인 '지칭적 성공'을 받아들인다.</ref>
비-사실주의의 두 번째 옹호 논증은 과학적 실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상화된 설명이 거짓임에도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통계역학은 "입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와 같은 거짓인 가정을 사용하여 왜 이상기체 상태 법칙이 성립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해는 근사적으로 참인 믿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ref>칼리파는 일단 근사적 참의 실재론적 기준인 '지칭적 성공'을 받아들인다.</ref>


칼리파는 이상화 논증을 공략하기 위해 '수용' 개념을 가져온다. 이를 이용한 첫 번째 전략은 분리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수용하는 것은 이상화된 설명이 아니라 이상화뿐이고, 그들이 믿는 것은 근사적으로 참인 설명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확장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이상화된 설명을 수용한다. 다만 칼리파의 EKS 모델이 수용을 포용할 수 있도록 확장되면 되며, 이러한 확장은 그렇게 치명적이지 않다.
칼리파는 이상화 논증을 공략하기 위해 '수용' 개념을 가져온다. 이를 이용한 첫 번째 전략은 분리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이상화를 수용하지만, 여전히 근사적으로 참인 설명을 믿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확장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이상화된 설명을 수용한다. 다만 칼리파의 EKS 모델이 수용을 포용할 수 있도록 확장되면 되며, 이러한 확장은 그렇게 치명적이지 않다.


'수용'은 '믿음'과 다른 태도로, "어떤 맥락 C에서 명제 p를 수용한다"는 것은 "맥락 C에서 무엇을 하거나 생각할지를 결정하는 목적을 위해 전제 속에 p를 포함시키는 정책을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유효성:수용의 관계는 참:믿음의 관계와 같다(A1). 이러한 수용 개념은 코헨(Cohen 1992)의 수용 개념에 상당 부분 의존한다. (1) 수용은 맥락-특화된 목적에 민감하지만, 믿음은 그렇지 않음. (2) 수용된 명제의 어떤 귀결들이 거짓이라도그 수용의 유효성이 훼손되지 않을 수 있음. 반면 믿음은 그렇지 않음.  
'수용'은 '믿음'과 다른 태도로, "어떤 맥락 C에서 명제 p를 수용한다"는 것은 "맥락 C에서 무엇을 하거나 생각할지를 결정하는 목적을 위해 전제 속에 p를 포함시키는 정책을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유효성:수용의 관계는 참:믿음의 관계와 같다(A1). 이러한 수용 개념은 코헨(Cohen 1992)의 수용 개념에 상당 부분 의존한다. (1) 수용은 맥락-특화된 목적에 민감하지만, 믿음은 그렇지 않음. (2) 수용된 명제의 어떤 귀결들이 거짓이라도그 수용의 유효성이 훼손되지 않을 수 있음. 반면 믿음은 그렇지 않음.  


칼리파는 코헨의 수용 개념에서 맥락-특화된 목적을 과학적 목적으로 제한한다(A2).
칼리파는 코헨의 수용 개념에서 맥락-특화된 목적을 과학적 목적으로 제한한다(A2). 설명의 맥락에서 과학적 목적을 구성하는 것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특정 질문자의 왜-질문에 답하기 (2) 예측하기 (3) 통제하기. 물론 과학적 목적은 더 다양할 수 있음. 칼리파 생각에, 이해는 다양한 과학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설명적 정보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을수록 증가.
 
==== 분리 전략 ====
과학자들은 입자들의 상호작용이 없다는 이상화를 수용하지만, 통계역학적 설명 자체는 근사적으로 참이다. 이 설명에서 차이-제조자는 에너지와 온도일 뿐이고, 입자간 상호작용이 차이-위조자이다. 이상화는 입자간 상호작용이 (중요한) 차이-제조자가 아님을 드러내는 징표(flag)일 뿐이다. 이렇게 해석된 설명은 근사적으로 참인 설명이며, 과학자들은 설명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이상화를 수용하면서도 근사적으로 참인 설명을 믿고 있는 것이다.
 
덜 이상화된 설명을 완성했을 때 잘 드러나는데, 입자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도출 결과에서 입자간 상호작용은 (큰 부피에서) 무시할만한 항임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 확장 전략 ====
 
여전히 두 가지 우려가 남는다. (1) 이해가 믿음 그 자체에 의존하지 않는 경우 (2) 이상화된 설명이 단지 차이-위조자의 징표를 넘어 훨씬 더 거짓스러운 경우, 확장 전략을 채택할 수 있다. 확장 전략은 두 가지 우려를 함께 공략한다. 그 방법은 EKS 모델이 믿음 외에도 수용을 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이:
 
:(EKS2*) S는 왜 p인지에 대한 최소 이해를 갖는다. iff 어던 q에 대해
:(A) S는 q가 왜 p인지를 설명한다고 믿고, q가 왜 p인지 설명한다는 것은 근사적으로 참이다. '''또는'''
:(B) S는 q가 왜 p인지를 설명한다는 것을 수용하고, q가 왜 p인지 설명한다는 것은 효과적이다.
 
이러한 변경이 칼리파의 전체 기획과 충돌하는 것은 아닌가? 이러한 우려에 대응해, 칼리파는 이러한 변경이 자신의 전체 기획의 자연스러운 확장임을 보이고자 한다. 칼리파의 EKS1에 따르면, 이해는 "넥서스 원리"와 "과학적 지식 원리"를 더 잘 만족할수록 증진되는데, 여기서 과학적 지식에 믿음뿐 아니라 수용이 포함되기만 하면, EKS2*가 따라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과학적 지식에 수용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첫째, 수용도 (믿음처럼) 안전한 수용과 그렇지 않은 수용을 구분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바로 그러한 쉽게 폐기되기 어려움이라는 속성에 있다. 좋은 수용은 쉽게 폐기되지 않으며, 과학적 지식에 포함될 자격을 갖추고 있다.
 
둘째, 수용도 과학적 설명 평가(SEEing)의 결과가 될 수 있다. 게다가 여러 설명에 대한 평가 결과가 확정적이지 않거나, 상호보완적이거나,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성립할 때, 우리는 때로 수용이란 태도를 취하곤 한다.<ref>이러면 도구적으로 수용된 모든 이론들이 다 설명적일 수 있게 될텐데... 정말로 이런 길을 가려는 것일까?</ref>
 
이를 옹호하기 위해 칼리파는 세 가지 근거를 더 든다. (1) 수용과 믿음이 유사한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이, 둘의 비슷한 심적 상태 및 과학적 지식에서 비슷한 역할 담당하는 근거 제공, (2) 수용 포용하지 않는 "과학적 지식" 개념은 과학적 실천 설명 어려움, (3) 수용은 과학적 탐구의 가장 흔한 (초기/중간) 결과. 칼리파는 어쩌면 "과학적 지식"이 "지식"의 한 종류라기보다, "과학적 지식"과 "상식적 지식"이 가족유사성만을 가진 서로 다른 종류일 가능성도 언급한다.
 
결국 이상화에 근거한 비-사실주의에 대응하는 가장 건강한 전략은 과학적 지식에 수용을 포함시키도록 우리의 과학적 지식 개념을 확장하는 것이다.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