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Understanding and True Belief"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Kareem Khalifa, 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Ch. 6. 칼리파는 "왜 p인지에 대한 이해가 p에 대한 근사적으...)
 
20번째 줄: 20번째 줄:


== 이상화 논증 ==
== 이상화 논증 ==
== 관련 항목 ==
* [[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Understanding Without Explanation?]]


[[분류:과학철학]][[분류:과학적 설명]][[분류:과학적 이해]]
[[분류:과학철학]][[분류:과학적 설명]][[분류:과학적 이해]]

2023년 12월 27일 (수) 12:53 판

Kareem Khalifa, 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Ch. 6.

칼리파는 "왜 p인지에 대한 이해가 p에 대한 근사적으로 참된 설명에 대한 믿음을 요구하지 않는다"라는 비-사실주의(Non-Factivism)을 논박하며, 준-사실주의(Quasi-Factivism, 단순히 비-사실주의의 부정)를 주장한다.

칼리파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일단 다음의 세 가지 명료화를 통해 논의를 세팅. 첫째, 비-사실주의자들은 이해가 거짓된 설명에 기반함을 가정하다고 가정할 것이다. 둘째, 이런 정식화는 너무 쉬운 반례들(예 : 동일한 현상에 대한. 참된 설명과 거짓된 설명을 모두 믿지만 이해는 후자에만 기초하는 사람)에 직면하는데, 이는 일단 무시할 것이다. 셋째, 준-사실주의와 비-사실주의의 논쟁에서 관건이 되는 근사적 참의 대상은 "q가 왜 p인지 설명한다"는 형태의 문장들이다(과학적 실재론 논쟁에사 중립성 유지 위함).[1]

역사적 논증

칼리파의 핵심 타켓은 데 레흐트(De Regt 2015). 데 헤르트의 논변은 아래와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

역사적 논증
H1. 일부 과거의 과학자들은 현상에 대한 거짓된 설명을 믿고 있었다.
H2. 그럼에도 이 과학자들은 왜 현상이 그러한 성질을 가졌는지에 대한 모종의 이해를 가졌다.
NF. 따라서 왜 p인지에 대한 이해는 p에 대한 근사적으로 참된 설명에 대한 믿음을 요구하지 않는다. [159쪽 오타 있음]

데 레흐트의 핵심 사례는 플로지스톤 이론가들이 거짓된 설명을 믿었지만, 금속이 녹슬거나 물체가 타는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이해를 가졌다는 것이다. 칼리파는 이를 아래와 같이 공략한다. 칼리파에 따르면, 플로지스톤 이론가들은

  1. 왜 금속이 녹스는지에 대한 [반실재론적 '이해가능한'/실재론적이든 '진정으로 지칭적인'] 참된 설명을 믿고 있었거나(설명적 반론)
  2. 현상에 대한 왜-이해(understanding-why)가 아닌 어떻게-이해(understanding-how)만을 가졌거나(잘못된 이익 반론)
  3. 왜 금속이 녹스는지에 대한 최소 이해에 미달하는 원시적 이해(proto-understanding)만을 가졌다(올바른 방향 반론).

코멘트 : 그래서 칼리파는 세 가지 반론 중 어느 쪽을 지지하는가? 이런 식의 "1 아니면 2 아니면 3" 식의 반론은 반대를 위한 반대처럼만 보임.

이상화 논증

관련 항목

  1. 칼리파에 따르면, 자신의 틀에서, 실재론적 존재론적 기준을 택하든, 반실재론적 존재론적 기준을 택하든, 프톨레마이오스식 설명들은 거짓이고, 전기저항에 기초한 설명들은 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