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Understanding and True Belief"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21번째 줄: 21번째 줄:


=== 이상화 논증 ===
=== 이상화 논증 ===
비-사실주의의 두 번째 옹호 논증은 과학적 실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상화된 설명이 거짓임에도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통계역학은 "입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와 같은 거짓인 가정을 사용하여 왜 이상기체 상태 법칙이 성립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해는 근사적으로 참인 믿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ref>칼리파는 일단 근사적 참의 실재론적 기준인 '지칭적 성공'을 받아들인다.</ref>
칼리파는 이상화 논증을 공략하기 위해 '수용' 개념을 가져온다. 이를 이용한 첫 번째 전략은 분리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수용하는 것은 이상화된 설명이 아니라 이상화뿐이고, 그들이 믿는 것은 근사적으로 참인 설명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확장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이상화된 설명을 수용한다. 다만 칼리파의 EKS 모델이 수용을 포용할 수 있도록 확장되면 되며, 이러한 확장은 그렇게 치명적이지 않다.
'수용'은 '믿음'과 다른 태도로, "어떤 맥락 C에서 명제 p를 수용한다"는 것은 "맥락 C에서 무엇을 하거나 생각할지를 결정하는 목적을 위해 전제 속에 p를 포함시키는 정책을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유효성:수용의 관계는 참:믿음의 관계와 같다(A1). 이러한 수용 개념은 코헨(Cohen 1992)의 수용 개념에 상당 부분 의존한다. (1) 수용은 맥락-특화된 목적에 민감하지만, 믿음은 그렇지 않음. (2) 수용된 명제의 어떤 귀결들이 거짓이라도그 수용의 유효성이 훼손되지 않을 수 있음. 반면 믿음은 그렇지 않음.
칼리파는 코헨의 수용 개념에서 맥락-특화된 목적을 과학적 목적으로 제한한다(A2).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2023년 12월 27일 (수) 14:00 판

Kareem Khalifa, 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Ch. 6.

요약

칼리파는 "왜 p인지에 대한 이해가 p에 대한 근사적으로 참된 설명에 대한 믿음을 요구하지 않는다"라는 비-사실주의(Non-Factivism)을 논박하며, 준-사실주의(Quasi-Factivism, 단순히 비-사실주의의 부정)를 주장한다.

칼리파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일단 다음의 세 가지 명료화를 통해 논의를 세팅. 첫째, 비-사실주의자들은 이해가 거짓된 설명에 기반함을 가정하다고 가정할 것이다. 둘째, 이런 정식화는 너무 쉬운 반례들(예 : 동일한 현상에 대한. 참된 설명과 거짓된 설명을 모두 믿지만 이해는 후자에만 기초하는 사람)에 직면하는데, 이는 일단 무시할 것이다. 셋째, 준-사실주의와 비-사실주의의 논쟁에서 관건이 되는 근사적 참의 대상은 "q가 왜 p인지 설명한다"는 형태의 문장들이다(과학적 실재론 논쟁에사 중립성 유지 위함).[1]

역사적 논증

여기서의 핵심 타켓은 데 레흐트(De Regt 2015). 데 헤르트의 논변은 아래와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

역사적 논증
H1. 일부 과거의 과학자들은 현상에 대한 거짓된 설명을 믿고 있었다.
H2. 그럼에도 이 과학자들은 왜 현상이 그러한 성질을 가졌는지에 대한 모종의 이해를 가졌다.
NF. 따라서 왜 p인지에 대한 이해는 p에 대한 근사적으로 참된 설명에 대한 믿음을 요구하지 않는다. [159쪽 오타 있음]

데 레흐트의 핵심 사례는 플로지스톤 이론가들이 거짓된 설명을 믿었지만, 금속이 녹슬거나 물체가 타는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이해를 가졌다는 것이다. 칼리파는 이를 아래와 같이 공략한다. 칼리파에 따르면, 플로지스톤 이론가들은

  1. 왜 금속이 녹스는지에 대한 [반실재론적 '이해가능한'/실재론적이든 '진정으로 지칭적인'] 참된 설명을 믿고 있었거나(설명적 반론)
  2. 현상에 대한 왜-이해(understanding-why)가 아닌 어떻게-이해(understanding-how)만을 가졌거나(잘못된 이익 반론)
  3. 왜 금속이 녹스는지에 대한 최소 이해에 미달하는 원시적 이해(proto-understanding)만을 가졌다(올바른 방향 반론).

코멘트 : 그래서 칼리파는 세 가지 반론 중 어느 쪽을 지지하는가? 이런 식의 "1 아니면 2 아니면 3" 식의 반론은 반대를 위한 반대처럼만 보임.

이상화 논증

비-사실주의의 두 번째 옹호 논증은 과학적 실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상화된 설명이 거짓임에도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통계역학은 "입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와 같은 거짓인 가정을 사용하여 왜 이상기체 상태 법칙이 성립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해는 근사적으로 참인 믿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2]

칼리파는 이상화 논증을 공략하기 위해 '수용' 개념을 가져온다. 이를 이용한 첫 번째 전략은 분리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수용하는 것은 이상화된 설명이 아니라 이상화뿐이고, 그들이 믿는 것은 근사적으로 참인 설명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확장 전략. 이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이상화된 설명을 수용한다. 다만 칼리파의 EKS 모델이 수용을 포용할 수 있도록 확장되면 되며, 이러한 확장은 그렇게 치명적이지 않다.

'수용'은 '믿음'과 다른 태도로, "어떤 맥락 C에서 명제 p를 수용한다"는 것은 "맥락 C에서 무엇을 하거나 생각할지를 결정하는 목적을 위해 전제 속에 p를 포함시키는 정책을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유효성:수용의 관계는 참:믿음의 관계와 같다(A1). 이러한 수용 개념은 코헨(Cohen 1992)의 수용 개념에 상당 부분 의존한다. (1) 수용은 맥락-특화된 목적에 민감하지만, 믿음은 그렇지 않음. (2) 수용된 명제의 어떤 귀결들이 거짓이라도그 수용의 유효성이 훼손되지 않을 수 있음. 반면 믿음은 그렇지 않음.

칼리파는 코헨의 수용 개념에서 맥락-특화된 목적을 과학적 목적으로 제한한다(A2).

관련 항목

주석

  1. 칼리파에 따르면, 자신의 틀에서, 실재론적 존재론적 기준을 택하든, 반실재론적 존재론적 기준을 택하든, 프톨레마이오스식 설명들은 거짓이고, 전기저항에 기초한 설명들은 참이 된다(???).
  2. 칼리파는 일단 근사적 참의 실재론적 기준인 '지칭적 성공'을 받아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