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과학혁명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자연철학에서 과학으로”라는 말은 19세기 과학의 중대한 변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표현. 그 의미는 아래와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

  1. 과학이 철학으로부터 또는 신학으로부터 벗어나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잡음. 이와 함께 물리학, 생물학, 화학 등의 실질적인 과학의 분과 체계 형성.
  2. 과학의 전문직업화. 즉, 자연을 탐구하는 사람으로서의 ‘과학자’라는 직업 탄생. 전문직업으로서의 기준은 첫째,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체계를 갖춘 학문적 지식(혹은 전문 지식)의 습득을 전제로 하는 직업(진입 장벽), 둘째, 그 직업의 구성원이 그 직업에 종사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입에 의해 생계를 꾸릴 수 있는 직업(안정적 수입), 셋째, 그 직업에 자격, 윤리, 규범 등을 직업 내에서 배타적으로 정할 수 있는 권한(직업에 대한 배타적 권한)을 들 수 있을 텐데, 19세기를 지나면서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는 ‘과학자’라는 직업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

분과별

  • 물리학: 쿤에 따르면, 그동안 분리되어 있던 고전물리과학(수학적 전통)과 베이컨 과학(실험적 전통)이 베이컨 과학의 수학화 및 에너지 개념의 형성으로 인해 19세기에 통합되어, 드디어 현대물리학이라는 분과 탄생.
  • 생물학: 자연사는 사실 수집의 전통에서 이론적 체계화. 생리학은 실험적 연구 전통 확립. 19세기 초 만들어진 생물학이란 단어. 생물학이라는 분과 형성.
  • 화학: 18세기 슈탈... 라부아지에를 겪으며 다른 실험철학과 분리되어 화학이란 정체성 획득. 중요한 원리들 공유하면서 화학적 지식 탐구.

전문직업화

프랑스에서 시작된 전문직업화. 체계적 고등 교육을 통한 과학자 양성 시작. 정부에 의한 과학자 기용. 즉 안정적 수입 확보. but 이용된 것은 과학지식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과 태도. 즉 과학자로서 기용된 것이 아님. 여전히 과학은 직업 활동 외의 시간에 하는 것. 그럼에도 이 과정에서 과학과 과학자의 ‘힘’ 점점 증대.

독일에서는 대학 내에서 전문직업화 시작. wissenschaft 강조. 순수학문 강조하는 대학 개혁. 실용성, 국가 경제 발전과 같은 의도보다는 교육개혁의 맥락. 대학의 분권화와 일자리(교수/강사 자리) 경쟁. 임용에는 개인의 과학연구가 중요하게 반영. 대부분의 중요한 과학적 발견, 연구들은 임용을 앞둔 개인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짐. 그 결과, 자연에 대한 탐구라는 것 자체를 위한 전문직업(대학 교수/연구소의 연구원)이 형성되고, 그 직업 활동을 통해 생계까지 유지할 수 있게 됨. 완전한 형태의 ‘전문직업화’

미국의 경우도 과학이 esoteric한 지식을 추구함으로써 아마추어 배제, 단체 구성에서도 엄격한 기준 적용, 과학의 실용적, 신학적 정당화 이후 자신들의 안정적인 지위가 확보되자 실용성과 신학 버리고 독립.

제2의 과학혁명이라 부를 만한가?

첫째, 세계관의 변화라는 틀로 본다면? 16,7세기의 과학혁명은 이런 틀로 과학혁명이 되던가? 16,7세기의 과학혁명을 cosmos에서 universe로 식으로 평가한다면, 19세기의 과학혁명에서 그렇게 부를 만한 것이 있는가? 열역학적 세계관? 진화적 세계관? 무신론적, 이신론적 세계관?

둘째, 이론적, 개념적 단절과 혁신 또는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틀로 본다면? 이 틀은 원래부터 과학 전체에 대한 혁명을 부를 때 쓰는 틀이 아님. 이는 역학 혁명, 천문학 혁명, 화학 혁명, 상대성 혁명, 양자 혁명처럼 어떤 분과에서 벌어지는 혁명을 지칭할 때 쓰는 틀임. 그렇다 하더라도, 그러한 혁명‘들’이 19세기에 많이 일어났다면 19세기를 제2의 과학 혁명이라고 부를 만도 하지 않을까? 예컨대 다윈 혁명?, 화학 혁명, 전자기학 혁명? 열역학 혁명? 글쎄.. 애매하다.

셋째, 방법상의 전환이라는 틀로 본다면? 귀납 -> 가설연역?

셋째, 과학 ‘활동’ 양식의 전환이라는 틀로 본다면? 상당부분 적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