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ategy of Model-Based Science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요약

도입

Levins(1966)가 모형 제작(model-building) 활동 “내”에서의 여러 전략들(strategies)에 관심을 가졌다면, 갓프리-스미스(2006)는 모형(models)과 모형 제작(model-buildings)을 이론화를 위한 (일부) 특정한 접근의 특성으로 간주하고자 한다.(즉 이론화를 하는 데 모형을 쓰지 않는 접근도 가능하다는 뜻) 이 글의 목적은 모형-기반 과학에 대한 대략적인 그림을 제시하는 데 있지만, 특히 다른 이들의 그림과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모형”이라는 용어는 과학철학에서 가장 논쟁적인 용어 중 하나이다. 갓프리-스미스는 기어리(Giere 1988)의 견해에서 출발한다. 기어리에게, 모형은 세계를 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상화된 구조로, 모형과 대상 실제-세계는 유사성 관계를 가진다. 갓프리-스미스는 이러한 모형의 사용을 세계를 재현하고 이해하기 위한 (보편적인 접근이 아닌) “하나의 특정한” 접근으로 간주하고자 한다. 그가 보기에 모형-기반 과학의 가장 독특한 점은 세계에 대한 간접적 재현 전략에 있다(indirect representation of the world. 이 점에서 Weisberg에 동의). 모형 제작자는 복잡한 실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그 계와 닮았지만 더 단순하고 가설적인 체계를 만들고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은 모형-기반 과학의 강점이자 약점이 된다.

갓프리-스미스는 모형-기반 과학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생물학에서 사례를 끌어올 것이다. 그러나 생물학 사례를 통해 그린 갓프리-스미스의 그림은 물리학에서의 그림과 다를 것이다. 물론 갓프리-스미스의 모형 논의는 물리학의 사례를 통해 개발된 기어리의 그림에서 출발했지만, 그 그림의 단순한 외삽 시도를 끊고자 한다.

모형-기반 과학, 의미론적 관점, 머릿속 모형작업

과학철학에서 모형에 관해 얘기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이론에 대한 의미론적 관점”일 것이며, 두 번째로 떠오르는 것은 개념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머릿속 모형” 개념을 사용하는 과학에 대한 인지과학 프로젝트(Nersessian 1999)일 것이다. 갓프리-스미스는 자신의 관점이 전자보다는 후자에 가깝다고 하면서도, 둘 모두와 다르다는 점을 중요하게 부각시키고자 한다.(예컨대 너세시안의 프로젝트는 갓프리-스미스에 비해 좁은 현상을 다루며 또한 심리학적이다.)

“이론에 대한 의미론적 견해”는 모형 개념을 이용해 이론의 구조를 재현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갓프리-스미스는 “이론에 대한 의미론적 견해”의 핵심적인 두 가지 생각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하는데, 그는 아래의 둘 모두를 부정하고자 한다.

  1. 이 분석은 모든 과학 이론들에 적용가능하다.
  2. 여기서 적용된 “모형”의 뜻(sense)은 논리학자들이 사용하는 뜻과 같거나 유사하다.

논리학에서 모형은 기본적으로 문장 집합에 대한 해석(구조)로서 기능하는 대상(또는 대상 사이의 관계)들의 집합이다. 모형은 어떤 문장 집합에 대해 그 문장 집합이 참이 될 수 있는 무언가로 사용된다. 이러한 모형 개념을 통해 우리가 얻게 되는 것은 의미를 생각하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이다. 즉 우리는 한 재현(표상)의 의미를 생각하는 데 그 재현이 참으로 보일 수 있는 구조의 형식적 특성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