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784
번
(→1. 서론)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
태그: 모바일 웹 편집 모바일 편집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보아스의 제자들은 20세기 초반 동안 미국 인류학을 지배했으며, 문화들을 구별되는 특성들의 집합으로 계속 생각했다. 다시 말해, 그들의 존재론적 헌신은 역사적 과정의 비환원성에 있었지, 개별 문화를 독립된 실체로 간주하지 않았다. 그 결과, 그들은 문화 경계를 그리는 방식에 대해 비교적 관대할 수 있었다. 더구나, 미국 인류학자들은 종종 문화들 간의 역사적 관계(특히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에 관한 질문에 관심이 있었다. 그 결과, 그들은 신화적 인물, 장식적 모티프, 또는 기술과 같은 특성들이 문화 내에서 변할 수 있으며, 문화들 간에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는 보아스 학파에게 설명력을 가졌다. 그것은 개인들이 성장하는 환경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개인들은 그 문화의 영향 아래에서 신념, 가치, 성격을 형성했다. 따라서 문화는 개인들 간의 차이 패턴을 설명했다. 보아스 학파 내에서,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들의 정확한 역할은 논쟁의 대상이었다. 폴 라딘(Paul Radin)은 이 비판을 가장 날카롭게 표현하면서, 그의 동료들이 문화 내의 변동을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민족지적 설명은 그 변동을 추상화했다고 주장했다. 개인 행위자들은 문화의 수동적 수용자로 묘사되었으며, 문화 내의 행위자로 묘사되지 않았다. 이는 문화 현상의 역사적 차원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Radin [1933] 1987). | 보아스의 제자들은 20세기 초반 동안 미국 인류학을 지배했으며, 문화들을 구별되는 특성들의 집합으로 계속 생각했다. 다시 말해, 그들의 존재론적 헌신은 역사적 과정의 비환원성에 있었지, 개별 문화를 독립된 실체로 간주하지 않았다. 그 결과, 그들은 문화 경계를 그리는 방식에 대해 비교적 관대할 수 있었다. 더구나, 미국 인류학자들은 종종 문화들 간의 역사적 관계(특히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에 관한 질문에 관심이 있었다. 그 결과, 그들은 신화적 인물, 장식적 모티프, 또는 기술과 같은 특성들이 문화 내에서 변할 수 있으며, 문화들 간에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는 보아스 학파에게 설명력을 가졌다. 그것은 개인들이 성장하는 환경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개인들은 그 문화의 영향 아래에서 신념, 가치, 성격을 형성했다. 따라서 문화는 개인들 간의 차이 패턴을 설명했다. 보아스 학파 내에서,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들의 정확한 역할은 논쟁의 대상이었다. 폴 라딘(Paul Radin)은 이 비판을 가장 날카롭게 표현하면서, 그의 동료들이 문화 내의 변동을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민족지적 설명은 그 변동을 추상화했다고 주장했다. 개인 행위자들은 문화의 수동적 수용자로 묘사되었으며, 문화 내의 행위자로 묘사되지 않았다. 이는 문화 현상의 역사적 차원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Radin [1933] 1987). | ||
기능주의적 문화 모형은 주로 영국 인류학자들에 의해 지지되었다. 그것은 문화를 규칙, 법률, 제도의 틀로 취급했다. 기능주의자들이 문화 개념에 부과한 더 강력한 설명적 요구 때문에, 그들은 문화 경계에 대해 더 깊은 걱정을 가졌다. 행동이 규칙을 따르는 것으로 설명될 때, 일탈 사례는 문제가 된다. 순수 문화에서는 일탈이 비교적 드물어야 하며, 아마도 우려나 제재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는 문화 변화, 문화 혼합 또는 겹침, 그리고 문화 내의 변동을 설명하기 어렵게 만든다. 민족지적 모노그래프는 변동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순수 문화를 중심으로 했다. 말리노프스키를 비판하면서, 로위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기능주의적 문화 모형은 주로 영국 인류학자들에 의해 지지되었다. 그것은 문화를 규칙, 법률, 제도의 틀로 취급했다. 기능주의자들이 문화 개념에 부과한 더 강력한 설명적 요구 때문에, 그들은 문화 경계에 대해 더 깊은 걱정을 가졌다. 행동이 규칙을 따르는 것으로 설명될 때, 일탈 사례는 문제가 된다. 순수 문화에서는 일탈이 비교적 드물어야 하며, 아마도 우려나 제재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는 문화 변화, 문화 혼합 또는 겹침, 그리고 문화 내의 변동을 설명하기 어렵게 만든다. 민족지적 모노그래프는 변동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순수 문화를 중심으로 했다. 말리노프스키를 비판하면서, 로위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
{{인용|무엇보다도, 문화의 과학은 단일한 문화들의 통합된 전체들의 연구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중요하지만, 민족학자의 과업의 전부도 아니며, 심지어 주된 부분도 아니다. 문화의 과학은 원칙적으로 모든 사회적 전통의 항목을 기록해야 하며, 그것을 동일한 문화 내의 다른 현실적 측면 또는 그 외부와 유의미하게 연관시켜야 한다. 어떤 하나의 문화가 닫힌 시스템을 형성한다는 교리에 반하여, 우리는 그러한 문화가 항상 편의상 분리된 인위적 단위임을 주장해야 한다. 사회적 전통은 마을마다, 심지어 가족마다 명백히 다르다.(Lowie 1937, 235)}} | |||
문화 경계가 인위적이고 어느 정도 자의적이라면, 기능주의자들이 그들의 설명에서 호소한 규칙과 규범은 근거가 없다. 그들은 행동 패턴에서 규칙을 추상화함으로써 식별되었지만, 그 패턴들은 인류학자에 의해 임시변통된 것이었다. 전체 과정은 순환적으로 보인다. | |||
=== 4. 문화와 의미 === | === 4. 문화와 의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