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 2020년 1학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hiLoSci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imported>Zolaist
 
92번째 줄: 92번째 줄:
{{코멘트}}
{{코멘트}}


[[분류:과학철학]]
[[분류:과학철학 강의]]
[[분류:과학적 실재론]]
[[분류:과학적 실재론]]
[[분류:강의]]
[[분류:2020년 1학기의 강의]]

2021년 8월 10일 (화) 20:02 판

수업 개괄

이 수업은 과학적 실재론을 둘러싼 논쟁을 살펴본다. 학생들은 매주 읽을거리로 제시된 1편의 논문을 읽고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 1-2주차 논문에 대해서는 모두 비평문을 작성하고, 그 이후에는 총 3번의 발제문과 2번의 논평문을 제출해야 한다(분량은 A4 2페이지 이내). 발제는 논문의 논변을 온전하게 소화하여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논평은 논문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목표로 한다. 논평문에는 논문에 대한 요약을 최소한으로만 포함시켜야 한다.

주별 수업 계획과 읽을거리

1주. 도입

  • 사미르 오카샤, “실재론과 반실재론”, 『과학철학』 (교유서가, 2017), 4장.
  • 강의 슬라이드 : 세미나01_실재론과 반실재론.pdf
  • 과제 : 1주차 강의 슬라이드와 읽을거리(오카샤, 실재론과 반실재론)를 읽고 아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A4 1~2페이지로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1. 오카샤의 방식에 따라 실재론과 반실재론을 정의하라.
    2. 실재론을 옹호하는 기적 불가 논증을 한 문단짜리 논증의 형태로 재구성하라.
    3. 기적 불가 논증에 대한 래리 라우든(Larry Laudan, 책에서는 래리 로던)의 반박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실재론자의 가능한 두 가지 대응에 대해 소개하라. 오카샤는 그 대응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
    4. 반실재론을 옹호하는 과소결정 논증을 한 문단짜리 논증의 형태로 재구성하라.
    5. 과소결정 논증에 대해 오카샤는 어떤 회피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가?
    6. 오카샤의 글에 대해 자유롭게 논평하시오.

2주. 구성적 경험주의 1

3주. 오리엔테이션

  • 기존 읽을거리에 대한 토론 및 전체 수업 일정에 대한 조율

4주. 구성적 경험주의 2

  • Alan Musgrave, “Realism versus Constructive Empiricism”

5주. 비관적 메타 귀납 1

  • Larry Laudan, “A Confutation of Convergent Realism” (김광영 발제)

6주. 비관적 메타 귀납 2

  • Juha T. Saatsi, “On the Pessimistic Induction and Two Fallacies”

7주. 실험적 실재론 1

Ian Hacking, “Experimentation and Scientific Realism” (문성균 발제)

8주. 중간고사 기간

  • 전반부의 논문들 중에 하나를 골라 논평문 1편을 제출할 것 (마감 : 5월 11일)

참고할 만한 논문들

  • Fine, A. (2012), “The Natural Ontological Attitude”, in CC&P (eds.).
  • Musgrave A. (2012), “NOA’s Ark - Fine for Realism”, in CC&P (eds.).

9주. 실험적 실재론 2

10주. 기적 불가 논증

  • Martin Carrier, “What Is Right with the Miracle Argument” (김광영 발제)
  • [참고] Carrier, M. (1991), "What Is Wrong with the Miracle Argument?",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Part A, 22(1).
  • [참고] Greg Frost-Arnold, “The No-Miracle Argument for Realism: Inference to an Unacceptable Explanation” (서미숙 발제)

11주. 구조적 실재론 1

  • John Worrall, “Structural Realism: The Best of Both of Worlds?” (번역 있음) (서미숙 발제)
  • [참고] Chang, H. (2016), "Scientific Realism and Chemistry", in Eric Scerri and Grant Fisher (eds.), Essays in the Philosophy of Chemistry, Oxford University Press.
  • [참고] James Ladyman, “Structural Realism Versus Standard Scientific Realism: The Case of Phlogiston and Dephlogisticated Air”

12주. 구조적 실재론 2

  • Stathis Psillos, “Is Structural Realism Possible?” (김광영 발제)

13주. 존재론적 원리

  • Hasok Chang, “How to Take Realism Beyond Foot-Stamping” (문성균 발제)

14주. 이론미결정성

  • Kyle Stanford, “Underdetermination of Scientific Theories” (SEP 항목) (서미숙 발제)
  • [참고] Okasha S. (2002), “Underdetermination, Holism and the Theory/Data Distinction”, Philosophical Quarterly 52, 302–319.

15주. 기말고사 기간

몇몇 흥미로운 논문 목록

  • Fahrbach, L. (2011), "How the Growth of Science Ends Theory Change", Synthese 180(2): pp 139-155.
  • Vickers, P. (2017), "Understanding the Selective Realist Defence Against the PMI", Synthese 194, 3221-3232.
  • Wray, K. B. (2019), “Discarded Theories: The Role of Changing Interests”, Synthese 196, 553-569.

주요 참고문헌

  • Chakravartty, Aljan (2017), “Scientific Realism”, in Edward N. Zalta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17 Edition), <https://plato.stanford.edu/entries/scientific-realism/>.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가장 표준적인 레퍼런스]
  • Churchland, Paul M. & Clifford A. Hooker, (eds.) (1985), Images of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van Fraassen (1980)에 대한 비판서]
  • Curd, Martin, J. A. Cover & Christopher Pincock (eds.) (2012), Philosophy of Science: The Central Issues, Second Edition, W. W. Norton & Company, Inc.. [수업의 대다수 읽을거리 수록]
  • Leplin, Jarrett. (ed.) (1984), Scientific Realism, Univerity of California Press.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고전적인 레퍼런스]
  • Psillos, Stathis (1999), Scientific Realism: How Science Tracks Truth, Routledge.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1권 분량의 옹호 논변]
  • van Fraassen, Bas C. (1980), The Scientific Image, Oxford University Press. [실재론 논쟁을 촉발시킨 핵심 저서로서, 구성적 경험주의의 핵심 주장을 담고 있음]
  • Wray, K. B. (2018), Resisting Scientific Re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다양한 쟁점을 담고 있은 최신 저서]
  • 오카샤, 사미르 (2017), 『과학철학』, 교유서가. (과학적 실재론은 4장)
  • 래디먼, 제임스 (2003), 『과학철학의 이해』, 이학사. (과학적 실재론은 5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