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통론1 석사 논자시

PhiLoSci Wiki
imported>Zolaist님의 2016년 9월 19일 (월) 12:50 판 (→‎실제문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요

석사 2번째 학기를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중에 실시된다. 종래에는 과학사통론 과목에서 B+ 이상 성적을 맞았을 경우 텀 페이퍼를 제출하는 방식이었다. 2015년 후기 입학생에게 신규 적용되었으며, 2015년 전기 입학생까지 소급하여 적용되었다.

기출 문제

주제별

과학 혁명

  1. David C. Lindberg, "Conception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from Bacon to Butterfield: A Preliminary Sketch," in David C. Lindberg and Robert S. Westman, eds., Reappraisal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pp. 1-26 의 주장을 요약해보고 , Shapin 의 책의 의의를 논의해 보시오. (2016 여름)
  2. 갈릴레오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과학혁명을 정의하고 분석했던 연구들은 큰 변화를 보여왔다. 갈릴레오를 사례로 과학혁명의 특징을 분석했떤 대표적인 연구자로 Edgar Zilsel, Alexandre Koyre, 그리고 Mario Biagioli 를 들 수 있다. 이들이 각각 갈릴레오의 어떠한 측면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는지, 그리고 이에 바탕해서 과학혁명의 특징을 어떻게 정의하고 그 의의를 어떻게 평가했는지 비교하며 서술해보라. 답안에는 각 학자들이 중점적으로 분석한 역학혁명, 천문학, 혹은 실험의 사용에 대한 사례들이 상세히 설명되어야 하며, 위에 언급한 세 학자들 이외에 다른 연구들을 추가할 수는 있지만, 위의 세 학자들의 연구는 반드시 논의되어야 한다. (2016 여름)

르네상스 시기 과학

  1. 르네상스 네오플라톤주의와 같은 신비주의 철학이 근대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의 혁명의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Thomas Kuhn 의 주장,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혁명이 갈렌과 같은 고대 문헌들의 재발견에 기인했다는 주장을 간략히 설명하라. 그리고 이러한 과학사 서술을 Anthony Grafton 의 르네상스기 인문주의와 고전의 역할에 대한 서술과 비교하며 논의해보시오. (2016 여름 문제은행)

과학사 서술과 공간적 메타포

  1. Owen Hannaway, "Laboratory Design and the Aim of Science: Andreas Libavius versus Tycho Brahe," Isis 77 (1986): 585-610 의 논문을 기반으로 과학사 통론 1의 강의계획서에 있는 글들 중에서 공간적 메타포를 사용해서 흥미로운 분석을 시도한 글들을 예로 들고, 이러한 접근이 어떤 측면에서 과학사 서술에서 유용한지에 대해 논의해 보시오. (2016 여름 문제은행)

기계적 세계관

  1. 기계적 세계관의 등장에 대한 Carolyn Merchant 의 주장을 요약해보고, 이를 헤르메씨티즘과 경험적 사실과 조작을 중시하며 실험의 부상을 논의했던 Fransis Yates 의 주장, 그리고 과학혁명기 인공과 자연에 대한 구분에 대해 논의하며 그 경계가 흐려졌다는 점을 지적했던 Wiliam Newman 의 주장을 비교해서 논의해보시오. Merchant 는 기존의 과학사 서술에서 젠더의 관점을 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는데, 이에 대한 Yates, Newman 의 입장을 유추해 논의해보시오. 답안에서는 반드시 각학자들의 베이컨에 대한 입장을 비교, 서술하는 부분이 논의되어야 한다. (2016 여름)
  2. 기계적 철학의 등장에서 진공(void)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물질과 공간, 신에 대한 형이상학적 논의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계적 철학이 어떤 의미에서 반-아리스토텔레스주의(anti-Aristotelianism)였는지를 Daniel Garber, Simon Schaffer 의 논의에 기반해 정리해보시오. 답안에는 데카르트, 가상디, 라이프니츠의 물질의 연장 가능성과 원자에 대한 논의를 포함해야 한다. (2016 여름 문제은행)
  3. Steve Shapin & Simon Schaffer 는 보일의 진공 펌프 실험에 대해 홉스의 비판을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 홉스의 입장을 중심으로 Shapin & Schaffer 의 주장을 상세히 정리해보시오. 답안에는 홉스의 기하학(Geometry)에 대한 입장을 자세히 논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Shapin & Schaffer 의 홉스의 기하학과 과학혁명기 자연철학에 대한 논의에 대한 Dear 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논의해 보시오. 이러한 논의에는 왜 Dear 는 뉴튼의 Physico-mathematics 를 받아들이는 것이 기계적 철학에 대한 수용을 함축하고 있다고 주장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2016 여름)

기출연도별

2016년 여름

시험 전에 7개의 문제 은행이 제시되었다. 시험에는 두문제로 구성된 파트가 두개 출제되어, Part I 에서 한 문제, Part II 에서 한 문제 씩 택하여 풀도록 하였다.

문제은행
  1. David C. Lindberg, “Conception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from Bacon to Butterfield: A Preliminary Sketch,” in David C. Lindberg and Robert S. Westman, eds., Reappraisal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pp. 1-26 의 주장을 요약해보고 , Shapin 의 책의 의의를 논의해 보시오 .
  2. 르네상스 네오플라톤주의와 같은 신비주의 철학이 근대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의 혁명의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Thomas Kuhn 의 주장,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혁명이 갈렌과 같은 고대 문헌들의 재발견에 기인했다는 주장을 간략히 설명하라. 그리고 이러한 과학사 서술을 Anthony Grafton 의 르네상스기 인문주의와 고전의 역할에 대한 서술과 비교하며 논의해보시오.
  3. 갈릴레오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과학혁명을 정의하고 분석했던 연구들은 큰 변화를 보여왔다. 갈릴레오를 사례로 과학혁명의 특징을 분석했떤 대표적인 연구자로 Edgar Zilsel, Alexandre Koyre, 그리고 Mario Biagioli 를 들 수 있다. 이들이 각각 갈릴레오의 어떠한 측면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는지, 그리고 이에 바탕해서 과학혁명의 특징을 어떻게 정의하고 그 의의를 어떻게 평가했는지 비교하며 서술해보라. 답안에는 각 학자들이 중점적으로 분석한 역학혁명, 천문학, 혹은 실험의 사용에 대한 사례들이 상세히 설명되어야 하며, 위에 언급한 세 학자들 이외에 다른 연구들을 추가할 수는 있지만, 위의 세 학자들의 연구는 반드시 논의되어야 한다.
  4. Owen Hannaway, "Laboratory Design and the Aim of Science: Andreas Libavius versus Tycho Brahe," Isis 77 (1986): 585-610 의 논문을 기반으로 과학사 통론 1의 강의계획서에 있는 글들 중에서 공간적 메타포를 사용해서 흥미로운 분석을 시도한 글들을 예로 들고, 이러한 접근이 어떤 측면에서 과학사 서술에서 유용한지에 대해 논의해 보시오.
  5. 기계적 세계관의 등장에 대한 Carolyn Merchant 의 주장을 요약해보고, 이를 헤르메씨티즘과 경험적 사실과 조작을 중시하며 실험의 부상을 논의했던 Fransis Yates 의 주장, 그리고 과학혁명기 인공과 자연에 대한 구분에 대해 논의하며 그 경계가 흐려졌다는 점을 지적했던 Wiliam Newman 의 주장을 비교해서 논의해보시오. Merchant 는 기존의 과학사 서술에서 젠더의 관점을 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는데, 이에 대한 Yates, Newman 의 입장을 유추해 논의해보시오. 답안에서는 반드시 각학자들의 베이컨에 대한 입장을 비교, 서술하는 부분이 논의되어야 한다.
  6. 기계적 철학의 등장에서 진공(void)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물질과 공간, 신에 대한 형이상학적 논의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기계적 철학이 어떤 의미에서 반-아리스토텔레스주의(anti-Aristotelianism)였는지를 Daniel Garber, Simon Schaffer 의 논의에 기반해 정리해보시오. 답안에는 데카르트, 가상디, 라이프니츠의 물질의 연장 가능성과 원자에 대한 논의를 포함해야 한다.
  7. Steve Shapin & Simon Schaffer 는 보일의 진공 펌프 실험에 대해 홉스의 비판을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 홉스의 입장을 중심으로 Shapin & Schaffer 의 주장을 상세히 정리해보시오. 답안에는 홉스의 기하학(Geometry)에 대한 입장을 자세히 논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Shapin & Schaffer 의 홉스의 기하학과 과학혁명기 자연철학에 대한 논의에 대한 Dear 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논의해 보시오. 이러한 논의에는 왜 Dear 는 뉴튼의 Physico-mathematics 를 받아들이는 것이 기계적 철학에 대한 수용을 함축하고 있다고 주장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실제문항

Part I

  1. David C. Lindberg, “Conception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from Bacon to Butterfield: A Preliminary Sketch,” in David C. Lindberg and Robert S. Westman, eds., Reappraisal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pp. 1-26 의 주장을 요약해보고 , Shapin 의 책의 의의를 논의해 보시오 .
  2. 갈릴레오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과학혁명을 정의하고 분석했던 연구들은 큰 변화를 보여왔다. 갈릴레오를 사례로 과학혁명의 특징을 분석했떤 대표적인 연구자로 Edgar Zilsel, Alexandre Koyre, 그리고 Mario Biagioli 를 들 수 있다. 이들이 각각 갈릴레오의 어떠한 측면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는지, 그리고 이에 바탕해서 과학혁명의 특징을 어떻게 정의하고 그 의의를 어떻게 평가했는지 비교하며 서술해보라. 답안에는 각 학자들이 중점적으로 분석한 역학혁명, 천문학, 혹은 실험의 사용에 대한 사례들이 상세히 설명되어야 하며, 위에 언급한 세 학자들 이외에 다른 연구들을 추가할 수는 있지만, 위의 세 학자들의 연구는 반드시 논의되어야 한다.

Part II

  1. 기계적 세계관의 등장에 대한 Carolyn Merchant 의 주장을 요약해보고, 이를 헤르메씨티즘과 경험적 사실과 조작을 중시하며 실험의 부상을 논의했던 Fransis Yates 의 주장, 그리고 과학혁명기 인공과 자연에 대한 구분에 대해 논의하며 그 경계가 흐려졌다는 점을 지적했던 Wiliam Newman 의 주장을 비교해서 논의해보시오. Merchant 는 기존의 과학사 서술에서 젠더의 관점을 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는데, 이에 대한 Yates, Newman 의 입장을 유추해 논의해보시오. 답안에서는 반드시 각 학자들의 베이컨에 대한 입장을 비교, 서술하는 부분이 논의되어야 한다.
  2. Steve Shapin & Simon Schaffer 는 보일의 진공 펌프 실험에 대해 홉스의 비판을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 홉스의 입장을 중심으로 Shapin & Schaffer 의 주장을 상세히 정리해보시오. 답안에는 홉스의 기하학(Geometry)에 대한 입장을 자세히 논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Shapin & Schaffer 의 홉스의 기하학과 과학혁명기 자연철학에 대한 논의에 대한 Dear 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논의해 보시오. 이러한 논의에는 왜 Dear 는 뉴튼의 Physico-mathematics 를 받아들이는 것이 기계적 철학에 대한 수용을 함축하고 있다고 주장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관련 항목

  • 과학사 논자시: 박사 과정의 과학사 논자시. 논자시 개정 이후 석사 논자시를 통과한 뒤 동일 과정 박사 과정에 진학한 사람은 박사 논자시 총 3차 과정 중 제 1차 과정을 면제받는다.
  • STS 석사 논자시‎‎: 석사 논자시의 STS 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