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적, 인지적, 사회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915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2일 (월) 11:33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본문)
1번째 줄: 1번째 줄:
래리 라우든 지음, 정동욱 옮김, [[인식적, 인지적, 사회적]]. 원문 : Larry Laudan, "[[The Epistemic, the Cognitive, and the Social]]", in ''Science, Values, and Objectivity'', eds. Peter Machamer and Gereon Wolters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4), pp. 14-23.
래리 라우든 지음, 정동욱 옮김, [[인식적, 인지적, 사회적]]. 원문 : Larry Laudan, "The Epistemic, the Cognitive, and the Social", in ''Science, Values, and Objectivity'', eds. Peter Machamer and Gereon Wolters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4), pp. 14-23.


과학의 중요한 판단 기준들은 참/거짓을 판단하는 인식적 기준들을 넘어섬. 라우든은 이를 “인지적(cognitive)”이라고 칭하고자 하며, 이것이 사회적 가치와는 구별된다고 주장함.
과학의 중요한 판단 기준들은 참/거짓을 판단하는 인식적 기준들을 넘어섬. 라우든은 이를 “인지적(cognitive)”이라고 칭하고자 하며, 이것이 사회적 가치와는 구별된다고 주장함.
38번째 줄: 38번째 줄:
바스 반 프라센(Bas van Fraassen)은 좋은 이론이 되기 위해 참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는 이 격언을 다음과 같이 뒤틀 수도 있다. 나쁜 이론이 되기 위해 거짓일 필요가 없다. 어떤 이론은 유관한 비인식적 덕목들을 가지지 못해 나쁜 이론이 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해, 우리는 대다수의 단지 참이기만 한 진술들이 해주지 못하는 그런 종류의 일을 우리의 이론이 우리에게 해주길 기대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 추가적인 일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낼 수도 있으며, 그리고 우리가 그것들을 알아낼 때, 우리는 인식적 영역 너머 내가 인지적-비인식적 가치들이라고 부르는 영역으로 진입할 것이다.
바스 반 프라센(Bas van Fraassen)은 좋은 이론이 되기 위해 참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우리는 이 격언을 다음과 같이 뒤틀 수도 있다. 나쁜 이론이 되기 위해 거짓일 필요가 없다. 어떤 이론은 유관한 비인식적 덕목들을 가지지 못해 나쁜 이론이 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해, 우리는 대다수의 단지 참이기만 한 진술들이 해주지 못하는 그런 종류의 일을 우리의 이론이 우리에게 해주길 기대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 추가적인 일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낼 수도 있으며, 그리고 우리가 그것들을 알아낼 때, 우리는 인식적 영역 너머 내가 인지적-비인식적 가치들이라고 부르는 영역으로 진입할 것이다.


그러한 가치들은 고전적인 지식 이론으로는 이해될 수 없다 하더라도 과학의 구성 요소이다. 그것들 없이 과학이 기능하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말이다. 이 가치들은 흔히 이해되는 방식의 철학적 의미론이나 정당화 조건들과 아무 관련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그들을 인지적 덕목들 또는 가치들이라고 부르며, 인식적 덕목들은 그것의 (내가 흥미롭지 않다고 말할 뻔한) 진부분집합을 형성한다. 나는 지금까지 이 인지적 덕목들 중에서 이론의 범위(range or scope)와 관련된 종류에 초점을 맞췄었다. 그러한 고려들 중 다른 것으로는, 필립 키처(Philip Kitcher)의 언어로, 문제가 되는 이론이 "설명적 통합성"을 달성했는지를 들 수 있다.<ref>키처는 많은 곳에서 이러한 논증을 정식화했다. 그중 가장 상세하고 정교한 버전은 Kitcher(1993)을 보라.</ref> 범위와 일반성의 덕목들과 마찬가지로, 설명적 통합성의 덕목은 {{--}} 키처가 때로 그에 대해 주장한 바와 달리 {{--}} 참과 관련된 덕목일 수 없다. 왜냐하면 모든 통합적 이론 ''T''는 ''T''가 참일 경우 반드시 참인 비통합적 이론들 ''T''<sub>1</sub><sup>*</sup>, ''T''<sub>2</sub><sup>*</sup>, ..., ''T''<sub>''n''</sub><sup>*</sup>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만약 과학자들이 ''T''를 그것의 임의의 약한 이론들에 비해 좋다고 간주한다면 {{--}} 사실 그들은 항상 그럴 것이다 {{--}} 이는 ''T''가 비인식적인 덕목들을 보유한 반면 ''T''<sub>''i''</sub>들을 이를 결여했기 때문일 수밖에 없다.  
그러한 가치들은 고전적인 지식 이론으로는 이해될 수 없다 하더라도 과학의 구성 요소이다. 그것들 없이 과학이 기능하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말이다. 이 가치들은 흔히 이해되는 방식의 철학적 의미론이나 정당화 조건들과 아무 관련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그들을 인지적 덕목들 또는 가치들이라고 부르며, 인식적 덕목들은 그것의 (내가 흥미롭지 않다고 말할 뻔한) 진부분집합을 형성한다. 나는 지금까지 이 인지적 덕목들 중에서 이론의 범위(range or scope)와 관련된 종류에 초점을 맞췄었다. 그러한 고려들 중 다른 것으로는, 필립 키처(Philip Kitcher)의 언어로, 문제가 되는 이론이 "설명적 통합성"을 달성했는지를 들 수 있다.<ref>키처는 많은 곳에서 이러한 논증을 정식화했다. 그중 가장 상세하고 정교한 버전은 Kitcher(1993)을 보라.</ref> 범위와 일반성의 덕목들과 마찬가지로, 설명적 통합성의 덕목은 {{--}} 키처가 때로 그에 대해 주장한 바와 달리 {{--}} 참과 관련된 덕목일 수 없다. 왜냐하면 모든 통합적 이론 ''T''는 ''T''가 참일 경우 반드시 참인 비통합적 이론들 ''T''<sub>1</sub><sup>*</sup>, ''T''<sub>2</sub><sup>*</sup>, ..., ''T''<sub>''n''</sub><sup>*</sup>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만약 과학자들이 ''T''를 그것의 임의의 약한 이론들에 비해 좋다고 간주한다면 {{--}} 사실 그들은 항상 그럴 것이다 {{--}} 이는 ''T''가 비인식적인 덕목들을 보유한 반면 ''T''<sub>''i''</sub>들은 이를 결여했기 때문일 수밖에 없다.
 
이 모든 것이 절반만 맞더라도, 합리적 재구성을 마련하기 위한 라이헨바흐식 공식은 치명적인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제한은  인식론 자체의 적용과 관련성의 한계를 보여준다. 최선의 과학에서 일어나는 일은 인식론의 자원을 통해 설명되거나 정당화되지 않는다. 더구나, 라이헨바흐식 공식은 과학에서의 이론 평가에 개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의 상당수를 철학적으로 무관한 것으로, 즉 단지 심리학자, 인류학자, 사회학자의 관심거리일 뿐이라고, 선언한다. 나의 비판을 라이헨바흐 자신의 언어를 사용해 표현하자면, 그는 너무 많은 것을 발견의 맥락에 넘겨 버리고, 앙상한 뼈대에 불과한 것만을 정당화의 맥락에 남겼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합리적 재구성을 인식적 가치들뿐 아니라 과학을 구성하는 인지적 가치들을 이용해 과학을 분석하기 위한 기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두 맥락 사이의 구분선은 대폭 변경될 것이다. 이제 정당화의 맥락은 범위, 일반성, 적용 범위 {{--}} 그리고 어쩌면 설명 범위도 {{--}} 에 관한 고려들을 임의의 사건에 대한 합리적 재구성의 일부로 간주할 것이다. 그러한 요인들이 비인식적이라는 사실은 중요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인지적 가치들을 통한 합리적 재구성은, 내 제안에 따르면, 엄격히 인식적인 요인들에만 제한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임레 라카토슈(Imre Lakatos)는 과학적 사건에 대한 합리적 재구성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적절한 기준에 그 합리적 재구성에 의해 관련된 과학자들의 활동이 얼마나 많이 포착되었는지에 대한 물음이 포함된다고 주장한 적이 있다. 그 기준에 의하면, 인지 기반 재구성은 분명히 인식 기반 재구성보다 선호할 만하다.
 
그러나 우리가 어떤 종류의 합리적 재구성을 지지하는지보다 중요한 것이 아직 남아 있다. 처음에 내가 얘기했듯이, 합리적 재구성이라는 관념은 나의 더 큰 비판 대상을 위한 징검다리일 뿐이다. 당연히 그 비판 대상은 분석적 인식론 자체이다. 나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자 한다. 범위, 일반성, 정합성, 통섭, 설명력이 과학 이론의 평가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생각하는 순간, 과학은 그 본성상 단지 주변적으로만 혹은 부분적으로만 인식적인 활동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인식적 용어로만 환원하고자 하는 성향은 {{--}} 그리고 그저 그렇게 하는 데 충실한 과학철학(예컨대 베이즈주의)도 존재한다 {{--}} 저항을 받을 수밖에 없다.  


(추후 완성 예정)
(추후 완성 예정)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