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모형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4년 6월 3일 (월)
13번째 줄: 13번째 줄:


=== 1. 서론 ===
=== 1. 서론 ===
문화 개념은 현대 사상에 대한 인류학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이다. 20세기 중반에는 오늘날 "고전적" 문화 개념이라고 불릴 만한 것이 형성됐는데, 이는 문화를 동질적이고 체계적인 존재로서, 주어진 사회 집단 내의 개인들에 의해 공유된 무언가로 간주했다. 문화에 대한 묘사는 개인의 행위들로부터 추상화된 것이면서, 문화에 대한 호소는 사회 집단 내 [공유된] 행동 패턴과 집단 간 차이 모두에 설명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문화 개념은 언어 공동체가 비교적 명확한 경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에 의존하는 언어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다시, 언어와 의미에 대한 철학적 연구는 고전적 [문화] 개념을 발전시킨 인류학자들과 그 비판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현대 인류학의 문화 모형들은 여전히 언어, 사상,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이해에 깊은 영향을 주고 받는 중이다.
문화 개념은 현대 사상에 대한 인류학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이다. 20세기 중반에는 오늘날 "고전적" 문화 개념이라고 불릴 만한 것이 형성됐는데, 이는 문화를 동질적이고 체계적인 존재로서, 주어진 사회 집단 내의 개인들에 의해 공유된 무언가로 간주했다. 문화에 대한 묘사는 개인의 행위들로부터 추상화된 것이면서, 문화에 대한 호소는 사회 집단 내 [공통된] 행동 패턴과 집단 간 차이 모두에 설명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문화 개념은 언어 공동체가 비교적 명확한 경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에 의존하는 언어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다시, 언어와 의미에 대한 철학적 연구는 고전적 [문화] 개념을 발전시킨 인류학자들과 그 비판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현대 인류학의 문화 모형들은 여전히 언어, 사상,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이해에 깊은 영향을 주고 받는 중이다.


인류학적 문화 개념은 100년 남짓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개념화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했다. 알프레드 크로버와 클라이드 클럭혼(Alfred Kroeber and Clyde Kluckhohn [1952] 1963)은 유명한 조사에서 164개의 문화 정의를 식별했다. 인류학적 사상의 질감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면서, 이 장에서는 이러한 정의들을 더 적은 수의 모형으로 정리할 것이다. 초기 모형들은 문화를 생각, 사물, 습관, 글 등으로 구성된 특성들의 집합으로 취급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지배적인 모형 중 하나는 규범, 가치, 믿음을 문화의 핵심 요소로 강조했으며, 이러한 기호학적 모형은 비인류학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개념일 것이다. 이 모형은 문화의 정합성을 강조하고, 각각의 문화를 다른 문화들과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그리고 개인들의 독특한 믿음과 행동으로부터 추상화되는 것으로 취급했다. 기호학적 문화 모형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날카롭게 비판받았다. 이러한 비판들이 문제 삼은 것은 문화를 정의하는 통일된 규범들의 집합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과 문화가 집단 내 모든 개인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문화라는 개념 자체가 문제가 되었고, 이는 [인류학이란] 학문 내에 일종의 위기를 야기했다. 문화가 없다면, 문화 인류학이 연구 대상을 가지는지가 불분명해진다. 인류학자들은 다양한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여 이러한 우려에 대응했다.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 호응을 얻은 세 가지 모형을 살펴볼 것이다. 20세기 초의 특성 모형에서 영감을 받은 신-보아스주의 모형, 인류학 이론을 인지 심리학의 결과와 결합한 전염병 모형, 규범과 제도를 설명하기 위해 인간 반응의 통합적 패턴을 살펴보는 실천 이론이 그것이다.
인류학적 문화 개념은 100년 남짓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개념화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했다. 알프레드 크로버와 클라이드 클럭혼(Alfred Kroeber and Clyde Kluckhohn [1952] 1963)은 유명한 조사에서 164개의 문화 정의를 식별했다. 인류학적 사상의 질감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면서, 이 장에서는 이러한 정의들을 더 적은 수의 모형으로 정리할 것이다. 초기 모형들은 문화를 생각, 사물, 습관, 글 등으로 구성된 특성들의 집합으로 취급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지배적인 모형 중 하나는 규범, 가치, 믿음을 문화의 핵심 요소로 강조했으며, 이러한 기호학적 모형은 비인류학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개념일 것이다. 이 모형은 문화의 정합성을 강조하고, 각각의 문화를 다른 문화들과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그리고 개인들의 독특한 믿음과 행동으로부터 추상화되는 것으로 취급했다. 기호학적 문화 모형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날카롭게 비판받았다. 이러한 비판들이 문제 삼은 것은 문화를 정의하는 통일된 규범들의 집합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과 문화가 집단 내 모든 개인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문화라는 개념 자체가 문제가 되었고, 이는 [인류학이란] 학문 내에 일종의 위기를 야기했다. 문화가 없다면, 문화 인류학이 연구 대상을 가지는지가 불분명해진다. 인류학자들은 다양한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여 이러한 우려에 대응했다.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 호응을 얻은 세 가지 모형을 살펴볼 것이다. 20세기 초의 특성 모형에서 영감을 받은 신-보아스주의 모형, 인류학 이론을 인지 심리학의 결과와 결합한 전염병 모형, 규범과 제도를 설명하기 위해 인간 반응의 통합적 패턴을 살펴보는 실천 이론이 그것이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