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과학의 전문화

PhiLoSci Wiki
imported>Zolaist님의 2018년 2월 26일 (월) 11:25 판 (→‎시각적 방법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물리학의 형성

18세기 중엽의 물리학, 더 정확히 말해 자연철학은 특화된 제도(institutions)에 묶여 있지도, 자각한 전문가에 의해 지배받지도 않았다. 런던의 왕립학회나 파리 과학아카데미와 같은 과학 단체는 있었지만, 과학에 대한 논의는 살롱이나 커피하우스에서도 이루어졌다. 더구나 전문가와 아마추어의 경계는 흐릿했으며 사람들은 그 경계에 크게 구애받지 않았다. 자연철학의 세계는 Newtonian effects, electrical wonders, optical illusions, mechanics 등에 대한 공개 시연(public demonstration)과 같은 것들로 구성되었다. rational mechanics는 수학의 일부로 간주되었고, 천문학은 별도의 목표와 방법, 사회적 체계 내에서 이루어졌다. 정량적 정신(quantitative spirit)은 천문학(고대부터)에 이어 역학에도 널리 퍼지게 되었지만, 자연철학에는 아직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또한 자연 철학은 지역마다 현저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론과 실험적 양식은 종종 매우 국소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 사이의 통일성은 희박했다.

19세기를 거치면서 물리학은 (천문학이나 화학과 다른) 독자적인 방법과 수학을 갖춘 전문화되고 통일되고 정량적이며 정밀한 분과가 되었다. 약간의 기간 구분을 하자면, 물리학이 독자적인 방법(정밀, 정량, 실험)을 갖춘 때는 19세기의 1/3선의 말로 볼 수 있다. 2/3을 거치면서, 에너지의 원리나 동역학적 개념과 같은 unifying theme은 그동안 느슨하게만 묶여있던 분야들을 통합시켰다. 이 시기를 거치면서 물리학은 대학이란 자리에 공고하게 제도화되었으며, 대학의 물리학자들은 전신기사, 광학 기구 제작가, 토목공학자를 비롯한 산업계와의 교류를 통해 물리학의 유용성을 보임으로써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장시켰다. 3/2 - 3/3 시기에는, (특히 전자기학 영역에서) 에너지 원리와 동역학 개념에 근거한 연속체 물리학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물리학 실험실과 연구소가 보편화된 것은 이때를 거치면서였다.

더 구체적인 논의는 아래를 참고할 것.

객관성의 도덕화 과정

L. Daston and P. Galison, "The Images of Obejectivity," Representation 37 (1992), pp. 67-106

19세기 중반 이후 출간된 도해서를 중심으로, ‘객관성의 도덕화’ 과정을 그린 글이다. 특정형태 ― 인간의 간섭이 배제된 ― 의 과학적 객관성이 19세 중반에서야 나타났으며, 이 새로운 ‘객관성’이 이전까지의 관념이었던 “자연에 대한 진리(true to nature)”와 방법적(기계적)으로, 도덕적(억제)으로, 형이상학적(개인화)으로 차이가 있음을 논하고 있다.

19세기 미국 과학의 전문화 과정

George H. Daniel,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in American Science: The Emergent Period, 1820-1860," Isis 58 (1967), pp. 151-166

미국에서의 과학의 전문화 과정을 특정한 틀로써 분석하고 있다.

선점권 다툼

  • 한 집단 또는 모두에 의해 수행되어온 일(과학활동)이 특정 집단의 배타적 소유로 전이되는 상태.
  • 과학활동이 이해하기 어려워짐에 따른 자연스런 결과. 이해할 수 있는 인사이더와 이해할 수 없는 아웃사이더 구분.
  • 어려워진 과학(화학, 식물학, 동물학 등등)에 대해 비난하는 아마추어 집단과 그를 변호하는 전문가 집단 사이의 갈등.
  • 대중강연의 기능 변화 - 지식전파에서 과학의 놀라움 전파.
  • 대중화 및 전파 중심의 집단과 발전 중심의 집단 사이의 갈등.
  • 사실모으기 중심의 경험주의 과학자와 이론화 중심의 전문적 과학자 사이의 갈등.

제도화

  • 제도화는 전문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본질적.
  • 전문적 과학자 집단 내의 규범 성립. 서로 입장이 달라도 대중으로부터 과학자 변호.
  • 1840년 지질학 학회 설립. 1847년 확장된 과학 학회 AAAS 설립.
  • AAAS 독점적 권력 행사. 아마추어 배제. 망신시키기.
  • 확산(diffusion)과 발전(advance) 구분하기 시작.

제약

  • 자신의 권리 보장받기 위해 사회적인 정당화 필요.
  • 과학이 실용적인 이익(benefit)을 안겨줄 수 있다는 과장.
  • 과학에 종교적 의미 부여. 신의 섭리 이해로서의 의미.
  • “계몽시기의 공리주의로 회기?”는 아님.
  • 기존 신학과의 경쟁? 갈등 만들지 말아야 한다는 제약 컸음.
  • 신학을 건드리는 과학자들은 오히려 동료과학자들이 더욱 맹공.
  • 다윈의 경우는 매우 조심스러웠던 사례였음.

19세기 말에서야 과학자들의 지위가 안정화되면서, ‘실용’이나 ‘종교’ 등의 외부적 제약을 떼어낼 수 있었음. 스스로의 자율성 확보하게 됨.

프러시아에서의 전문 연구의 성장

Steven R. Turner, "The Growth of Professorial Research in Prussia, 1818-1848: Causes and Context,", HSPS 3 (1971), pp. 137-182

프러시아의 대학이 학문과 연구의 중심으로 서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있는 글이다.

이를 위해 프러시아 대학의 발전과정을 요약하고, 그 원인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 ― 학문 이데올로기와 (대학간, 교수간, 학생간) 경쟁 ― 을 점검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추가적인 원인 ― 국가의 임명권 ― 을 제안하고 있다.

발전과정 요약

  • 19세기 초, 대학개혁 필요성. 정부주도의 개혁. 대학의 재조직화를 비롯한 교육체계 개편. 대학 설립. 중등교육 개혁. 인원 확충. 18세기에는 없었던 인문학(경제학, 지리학) 도입. 강제적인 대학 입학 시험 도입. 교사 자격 시험 도입. 대학의 철학 학부에서 교사 교육 실시.
  • 계몽시기의 공리주의 교육이념 도덕적 비하. 학자에 대한 학문하는 사람으로서의 새로운 이미지 형성. 인문학 (문헌학과 철학) 강조.
  • 1818년, 갑자기 대학개혁 중단. 대학의 자유로운 분위기 정부당국의 불신 자극. 검열, 정치적 박해 시작. 그럼에도 프러시아의 학자정신은 놀라운 성과를 냈고, 이는 계속 진행됐다.
  • 대학의 내부적인 변화도 있었음. 대학의 모든 분과에 교수와 학생 모두 증가. 학생간 교수간 경쟁 심화. 사람간의 경쟁 뿐만 아니라 (좋은 학생에 대한, 좋은 교수에 대한) 대학간 경쟁도 심화.
  • 모든 학문현장에서 연구활동 활발해지고 확장됨. 1810년 문헌학 세미나는 교육(훈련)과 연구의 전형으로써 모든 분과에 전파됨.
  • 애초 교사양성용이었던 세미나는 연구중심으로 변화하고 모든 분과에 확장됨.
  • 과학활동 활발해짐에 따라 community 조직. 공리주의자와의 단절. 실용학문의 하위분과로서의 정체성 버리고, 철학 학부로 이전하면서 전문화됨.
  • 인문학적 학습의 기풍과 조직은 1830년 이후 프러시아 과학을 발전시키는 새 academics의 모델이 되었음.
  • 교수는 교육(지식전달)과 연구(지식발전)의 이중적 역할 맡게 됨.

학문과 경쟁

  • 학문 이데올로기는 공리주의 이념 비난. 순수학문 장려.
  • 그러나 학문 통합 및 종합으로서의 학문 이데올로기는 실제와 완벽히 들어맞지는 않음. 각 분과들은 자기 분과 내에서의 분석적 연구에 전념. 학문은 통합되기보다는 해체됨.
  • 경쟁은 연구활동 증식시킴과 동시에, 학문 분열시킴. 유아기의 academics는 full discipline이 되기 위해 노력.

프러시아에서의 교수 임명

  • 현대의 대학 교수는 교사이면서 연구자. 그러나 대학에서의 강의보다는 자기 분과가 중요. academic world에서의 성공이 중요. teaching은 discipline의 연속성 제공. 교수에 대한 지위는 collegiate criteria보다 disciplinary criteria 중요.
  • 18세기 대학교수 결원 보충에 대한 기준 없었음. 대학개혁 시기, 교수 선발권을 정부가 독점. 이것이 발전을 만들어낸 원리는 법적인 강제가 아니다. 오히려 실질적으로 정책을 수행하는 인원과 효율성이었다.

새로운 교수와 옛교수

  • 임명권에 대한 강조는 세 번째 이유일 뿐임. 이데올로기와 경쟁의 압력이 만들어낸 새로운 학문적인 가치가 대학에 빨리 퍼지게 만든 제도적 메커니즘일 뿐이다. 새로운 학문적 가치는 교수의 이중적 역할을 만들어내고 지탱해주었으며, 프러시아 대학이 연구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해주었다.

시각적 방법의 발전

Soraya de Chdarevian, "Graphical Method and Discipline: Slef-Recording Instruments in Nineteenth-Century Physiology,"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24 (1993), pp. 267-292

저자는 세가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첫째, 자동기록기가 생리학을 넘어 문화적 맥락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고, 둘째, graphical method를 통한 정확성에 대한 논의. 생리학과 약학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음, 셋째, graphucal method의 규약적인 특징과 규범적인 힘을 가졌음을 논하고 있다.

Marey의 주장 : graphical method는 보편, 정확. 자연 그대로의 언어. graphical method는 다양한 문화적인 현상 ― 어떠한 것을 다른 것을 변환시키고 번역하는 ― 을 이끌어냄. 예: 무언가를 자동으로 기록한다. -> 축음기 발명에 영향 미침.

정확성, 분과적 맥락

  • 다루기 어려운 것을 측정. 신경전달 속도 측정 가능.
  • visual의 매력.
  • 정확성보다는 자동성과 확실성()authenticity)에 의한 객관성이 매력!
  • 정확성에 대한 논쟁이 있긴 했지만, 내부논쟁에 그쳤음.
  • 의사 교육 과정에 수학이나 역학 생리학 포함됨.
  • 의학과 분리(?) 과학 교육 성장.

표준화

  • 머레이 : 표준화 시도, 벤치마킹 시작.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