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and Definite Descriptions
imported>Zolaist님의 2008년 7월 21일 (월) 13:46 판
- Donnellan, Keith S. 1966. "Reference and Definite Descriptions", The Philosophical Review 75 (3): 281–304.
- 원문 : http://links.jstor.org/sici?sici=0031-8108%28196607%2975%3A3%3C281%3ARADD%3E2.0.CO%3B2-B
한정기술구의 한정적 사용과 지칭적 사용
한정기술구는 문법적으로는 똑같이 보이더라도 사용에 따라 한정적 용법으로도 지칭적 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한정적 용법: "스미스의 살해범은 미쳤다."
- 누군지는 모르지만, 그 살인을 저지른 자가 미쳤다는 것을 말하려고 할 때
- 지칭적 용법: "스미스의 살해범은 미쳤다."
- 스미스의 살해범일 것이 확실시되는 용의자에 대한 재판이 벌어지는 곳에서, 피고를 가리키며 미쳤다고 말하려고 할 때
- (즉, 한정기술구의 내용이 참이 아니어도 지시에 성공할 수 있음)
러셀에 대한 비판
- 러셀은 한정기술구의 지칭적 용법을 고려하지 못했다.
- 러셀은 맥락에 상관없이 한정기술구가 언제나 고정적으로 한정적 용법의 의미를 지닌다고 착각했다.
스트로슨에 대한 비판
- 스트로슨은 한정기술구의 지칭적 용법을 잘 포착했으나, 한정적 용법은 간과했다. 동일한 문장의 한정기술구는 지칭적 용법으로도 한정적 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 스트로슨은 지칭적 용법으로 사용된 한정기술구에 관해, 그 한정기술구에 들어맞는 대상이 없을 경우 그 한정기술구를 포함한 진술이 참도 거짓도 될 수 없다고 보았으나, 이는 잘못된 주장이다. 왜냐하면 한정기술구를 이용해 지칭된 대상이 한정기술구의 내용에 들어맞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 한정기술구를 사용한 사람은 여전히 그 지칭 대상을 성공적으로 지칭할 것이고, 그 지칭 대상에 관하여 참이거나 거짓인 진술을 할 수 있다.
- 예: A가 바에서 술을 마시다가 건너편에 있는 사람을 바라보면서, "마티니를 마시고 있는 그 사람은 행복하다"라고 말했을 때, 비록 그 건너편에 있는 사람이 마티니를 마시고 있지 않는다 하더라도, A는 여전히 그 사람을 성공적으로 지칭할 것이고, 그 사람이 실제로 행복하다면, A의 진술은 참이 될 것이다.
결론
한정기술구는 "어떤 대상이 그 기술구에 들어맞는다"라는 함의를 가지고 있지만, 그 함의가 작동하는 방식은 한정적 용법이냐 지칭적 용법이냐에 따라 다르다. 한정적 용법의 경우, 그 진술이 갖는 정확한 함의는 "(어떤 대상이든 상관없이) 오직 하나의 대상이 그 한정기술구의 내용에 들어맞는다"라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진술이 참이기 위해서는 그 함의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한다. 반면 지칭적 용법의 경우, 그 한정기술구가 갖는 정확한 함의는 "내가 지칭하려는 바로 그 대상이 그 기술구의 내용에 들어맞는다"라고 볼 수 있는데, 이 함의는 충족되지 않더라도 그 기술구가 포함된 문장은 참/거짓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함의란 논리적 함축과는 다르다.
더 읽을거리
- Frege, On Sense and Reference
- Russell, On Denoting
- Strawson, On Referring
- Kripke, Naming and Necessity
- Putnam, Meaning and Reference
- Kripke, A Puzzle about Belief
- Quine, Quantifiers and Propositional Attitu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