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7년 2학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수업은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을 다룬다. 과학 지식은 다른 지식과 어떻게 구분되는가? 과학적 방법이란 과연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과학 이론은 계속 바뀌어 왔는데, 과연 과학적 지식이 진리를 향해 다가간다고 말할 수 있는가?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다거나 과학적으로 뒷받침되었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과학에서 아름다움과 같은 미적 가치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새로운 이론을 창안하는 과학적 창의성의 원천은 어디에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구체적인 역사적 사례와 함께 검토될 것이며, 학생들은 교과서 속의 과학을 넘어서는 즐거움과 함께 철학적으로 질문하고 답을 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강의 정보
- 강사 : 정동욱 (zolaist@gmail.com / 010-9075-1283 / 25동 417호)
- 강의 시간 : 화/목 11:00~12:15
- 강의 장소 : 7동 102호
교재
- 장하석,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지식플러스, 2014)
평가 방식
평가 비율 : 출석 10% / 비평문 20% / 기말보고서 30% / 기말고사 40%
- 출석(10%) : 지각은 0.5회의 결석으로 간주하며, 결석은 어떠한 이유로도 결석으로 처리된다. 즉 학과 행사에 참여하든 병원에 가든 결석은 결석으로 처리된다. 단, 오리엔테이션과 기말고사를 제외한 24번의 수업 중 4번의 결석까지는 출석 점수에 아무런 감점이 없다.
- 비평문(20%) : 네 개의 수업 주제 "산소와 플로지스톤", "물은 H2O인가", "물은 항상 100도에서 끓는가", "집에서 하는 전기화학" 중에서 하나를 골라 A4 2페이지 분량의 비평문을 제출해야 함. 저자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저자의 주장을 길게 요약하는 것으로는 좋은 비평문이 될 수 없음. 일부 비평문은 발표를 시킬 것임.
- 기말보고서 : 수업에서 다룬 내용 중에서 하나의 주제를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을 근거와 함께 밝히는 보고서를 A4 4~5페이지 분량(표지 금지, 참고문헌 포함)으로 제출해야 함.
- 기말보고서 주제 예시
- 창조과학은 (어떤 의미에서) 사이비과학인가? (참고 : 구획 문제)
- 관측의 이론적재성은 (얼마나) 과학에 위협이 되는가? (참고 : 핸슨, 『과학적 발견의 패턴』, 쿤, 『과학혁명의 구조』, 12장)
- 측정 기준의 선택이 실용주의적 판단에 불과하다는 규약주의적 이해 방식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참고 : 장하석, 『온도계의 철학』, 푸앵카레, 『과학과 가설』)
- 패러다임 사이의 선택은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 (참고 : 조인래 편역, 『쿤의 주제들: 비파과 대응』, 쿤, 『과학혁명의 구조』)
- 과학은 혁명을 통해 진보할 수 있는가?
- 장하석의 다원주의는 정당화될 수 있는가? (참고 : 장하석,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Chang, Is Water H2O)
- 패러다임의 다양성 증가는 진보라고 할 수 있는가?
주별 계획
1주. 오리엔테이션
- 9월 5일. 오리엔테이션
2주. 과학이란 무엇인가
- 9월 7일. 포퍼 : 비판적 태도와 반증주의
- 9월 12일. 쿤 : 패러다임을 따르는 정상과학
- 강의 ppt : 과학철학01_과학이란_무엇인가.pdf
- 참고자료 : 칼 포퍼, 과학 : 추측과 논박
- 참고자료 : 토머스 쿤, 정상과학(발췌)
3주. 지식의 한계
- 9월 14일. 관찰의 이론의존성
- 9월 19일. 귀납의 문제
- 강의 ppt : 과학철학02_지식의 한계.pdf
- 참고자료 : Frederick Suppe, 핸슨
- 참고자료 : 칼 포퍼, 귀납의 문제
- 참고 : Bode's law—truth or consequences?
4주. 자연의 수량화
- 9월 21일. 측정 기준의 창조
- 9월 26일. 인식과정의 반복과 진보
- 참고자료 : Spirit, Air, and Quicksilver#Analysis: Measurement and Theory in the Context of Empiricism (장하석의 『온도계의 철학』 2장의 요약)
- 강의 ppt : 과학철학03_자연의 수량화.pdf
- 9월 28일 : 영화 시청 Naturally Obsessed
5주. 추석 연휴
- 10월 3일 휴강
- 10월 5일 휴강
6주. 과학혁명
- 10월 10일. 공약불가능성
- 10월 12일. 혁명적 진보의 역설
- 참고자료 : 토머스 쿤, 세계관의 변화로서의 혁명 (발췌)
- 강의 ppt : 과학철학04_과학혁명.pdf
7주. 과학적 진리
- 10월 17일. 실재론 대 반실재론
- 10월 19일. 토대주의 대 정합주의
- 장하석이 말하는 이론과 실재의 관계에 대해 궁금한 분은 Nancy Cartwright의 짧은 논문 The Truth Doesn't Explain Much (번역)을 읽어보세요.
- 강의 ppt : 과학철학05_과학적 진리.pdf
8주. 중간고사 기간
- 10월 24일. 자율학습
- 10월 26일. 비평문 및 기말보고서 안내 (읽을거리 : 인문학과 문헌자료의 이용 | 인문학과 논증의 구성)
9주. 코페르니쿠스 혁명
- 10월 31일. 이론의 미적 가치와 증거
- 11월 2일. 가치와 이론 선택, 그리고 공동체
- 읽을거리 : 김봉국, 17세기 과학혁명의 지적, 사회적 의미
- 읽을거리 : 토머스 쿤, 코페르니쿠스 체계의 조화
- 읽을거리 : 토머스 쿤, 혁명의 완결+가치
- 강의 ppt : 과학철학10_코페르니쿠스 혁명.pdf
10주. 산소와 플로지스톤
- 11월 7일. 산소와 플로지스톤
- 11월 9일. 비평 발표 및 토론 (비평문 마감 : 11월 8일 밤 12시)
- 참고 : 18세기 라부아지에와 화학연구의 새로운 방법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7_산소와 플로지스톤.pdf
- 금속의 연소 과정에서 금속의 질량이 증가하는 문제에 대한 플로지스톤 패러다임의 대응으로 '음의 플로지스톤'만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보다 더 그럴듯한 대응도 있었습니다. 상당한 지지를 받았던 아이디어 중 하나는 금속에서 빠져나온 플로지스톤이 공기와 결합하여 고정된 공기(이산화탄소)를 형성한 후 다시 금속과 결합하여 금속회를 만들어낸다는 것이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골린스키의 "실험의 정확성"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1주. 물은 H2O인가?
- 11월 14일. 물은 H2O인가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학철학08_물은 H2O인가(1시간용).pdf
- 11월 16일. 비평 발표 및 토론 (비평문 마감 : 11월 15일 밤 12시)
- 기말보고서 초고 마감 : 11월 19일 밤 12시.
12주. 상보적 과학
- 11월 21일. 물은 항상 100도에서 끓는가?
- 11월 23일. 집에서 하는 전기화학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학철학09_교과서의 과학을 넘어.pdf
- 참고 : 홍성욱, 전지의 기전력에 대한 논쟁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중에서)
- 11월 28일. 비평 발표 및 토론 (비평문 마감 : 11월 26일 밤 12시)
13주. 과학적 창의성
- 10월 30일. 은유와 개념의 창조
- 12월 5일. 수렴적 사고와 발산적 사고
- 강의 ppt : 미디어:과학철학11_과학적 창의성.pdf
- 참고 : 전자기 유도에 대한 맥스웰의 역학적 모형
14주. 다원주의적 과학
- 12월 7일. 과학의 통일성과 비통일성
- 12월 12일. 다원주의의 가능성
- 참고자료 : 캐슬린 오크룰릭, "젠더와 생명과학들"
- 참고자료 : 폴 파이어아벤트 , "갈릴레오와 탑 논증"
- 참고 : 김상욱, 우리와 그들의 대화 가능할까 (김상욱의 물리공부 15)
- 강의 ppt : 미디어:과학철학12_다원주의적 과학.pdf
15주. 기말고사
- 12월 14일 : 기말고사
- 기말보고서 완성본 마감 : 12월 17일 밤 12시
지난 수업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9년 2학기 (001 강좌)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9년 2학기 (002 강좌)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9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8년 2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8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7년 2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7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6년 2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6년 1학기
- 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5년 1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