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철학적 이해 : 2018년 2학기
imported>Zolaist님의 2019년 4월 29일 (월) 20:30 판 (→기말보고서 주제 예시)
- 웹사이트 : http://zolaist.org/wiki/index.php/Philsci_2018-2
- 시간장소 : 화목 11:00~12:15 / 43-1동 402호
- 강사 : 정동욱 (zolaist@gmail.com / 010-9075-1283)
수업 목표
이 수업은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을 다룬다. 과학 지식은 다른 지식과 어떻게 구분되는가? 과학적 방법이란 과연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과학적 설명이란 무엇인가? 과학은 진보하는가? 과학적 지식은 어떻게 시험되고 평가될 수 있는가? 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방법이 있을까? 과학에서도 아름다움과 같은 미적 가치나 사회적 이해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만약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그것은 바람직한가? 과연 과학적 지식이 진리를 향해 다가간다고 말할 수 있는가? 한편 이 수업에서는 공간이란 무엇이며, 생물 종이란 무엇인가와 같이 물리학이나 생물학 등의 개별 과학 분야에서 탐구되는 특수한 철학적 질문들도 다룬다.
이러한 질문들은 철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흥미로운 논변들을 기초로 구체적인 역사적 사례와 함께 비판적으로 검토될 것이며, 학생들은 교과서 속의 과학을 넘어서는 즐거움과 함께 철학적으로 질문하고 답을 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수업 교재와 평가 방법
- 읽을거리 : 교재[사미르 오카샤, 『과학철학』 (교유서가, 2017)] + 강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읽을거리
- 평가비율 : 웹사이트 참여(10%) | 기말보고서(30%) | 시험(60%) | 출석(0%)
- 웹사이트 참여 : 강의 웹사이트 내에서 학생들은 읽을거리 또는 강의(또는 다른 학생의 질문이나 코멘트)에 대해 200자 이상의 질문 또는 코멘트를 최소 4회(중간고사 이전/이후 2회씩) 이상 남겨야 한다. 오직 횟수로만 평가한다.
- 중간고사 이전의 웹사이트 참여는 10월 24일 자정까지의 참여만 인정
- 기말고사 이전의 웹사이트 참여는 12월 12일 자정까지의 참여만 인정
- 기말보고서 : 수업에서 다룬 주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A4 4~5페이지 분량(공백 포함 6000~9000자)의 기말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미리 초고를 제출하면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다.
- 시험 : 중간고사(30%)와 기말고사(30%)를 보며, 주로 강의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한다.
- 출석 : 수업일수의 1/3을 초과하여 결석하면 F를 받지만, 그 기준만 만족하면 출석은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
- 웹사이트 참여 : 강의 웹사이트 내에서 학생들은 읽을거리 또는 강의(또는 다른 학생의 질문이나 코멘트)에 대해 200자 이상의 질문 또는 코멘트를 최소 4회(중간고사 이전/이후 2회씩) 이상 남겨야 한다. 오직 횟수로만 평가한다.
기말보고서
수업에서 다룬 주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A4 4~5페이지 분량(공백 포함 6000~9000자)의 논설문을 작성해야 한다. 미리 초고를 제출하면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다.
- 초고 제출 마감 : 11월 25일 (일) 밤 12시
- 완성본 제출 마감 : 12월 16일 (일) 밤 12시
기말보고서 주제 예시
- 과학과 사이비과학의 구분은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 기준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창조과학은 사이비과학인가? 만약 그것이 사이비과학이라면 어떤 의미에서 사이비과학인가? (참고 : 구획 문제)
- 예측의 성공은 사후 포섭보다 좋은 증거를 제공하는가? (참고 : 피터 립턴, 가설의 시험 : 예측과 편견; David Harker, On the Predilections for Predictions)
- 단순한 이론이 더 좋은 이론이라 할 수 있는가? (참고 : Simplicity; Myrvold, A Bayesian Account of the Virtue of Unification)
- 이론간 혹은 분과간 환원은 가능한가? (참고 : 환원과 창발(수업))
- 과학의 목표는 무엇인가? 만약 그것이 '진리 추구'라면 그러한 목표가 적절한 이유는? 만약 '진리 추구'가 아니라면 다른 어떤 것이 과학의 목표가 될 수 있는가? (참고 : 반 프라센,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논증들; 이언 해킹, 『표상하기와 개입하기』; 래리 라우든, 『과학과 가치』)
- 관찰 가능한 대상과 관찰 불가능한 대상에 대한 반 프라센의 구분은 과연 적절한가? (참고 : 반 프라센,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논증들; 이언 해킹, 현미경)
- 측정 기준의 선택이 실용적인 근거에 의한 판단일 뿐이라는 규약주의적 해명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장하석, 『온도계의 철학』, 푸앵카레, 『과학과 가설』)
- 르뇨의 비교동등성 시험은 법칙에 의거한 측정의 문제를 해결했는가? (참고 : 장하석, 『온도계의 철학』, 2장)
- 패러다임 선택은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 (참고 : 쿤, 『과학혁명의 구조』, 9~12장 & 후기; “객관성, 가치 판단, 그리고 이론 선택”)
- 정상과학과 과학혁명은 구분될 수 있는가? (참고 : 쿤, 『과학혁명의 구조』, 2~8장; 파이어아벤트, 전문가를 위한 위안; 조인래, 『토머스 쿤의 과학철학』, 2장; 장하석, 다원주의: 융합된 과학사-과학철학의 새로운 틀)
- 과학은 혁명을 통해 진보할 수 있는가? (참고 : 쿤, 『과학혁명의 구조』, 13장)
- 다원주의는 정당화될 수 있는가? (참고 : 파이어아벤트, 『방법을 거부하며』; 파이어아벤트, "전문가를 위한 위안", 오크룰릭, "젠더와 생명과학들"; 장하석,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6장, 12장; 장하석, 다원주의: 융합된 과학사-과학철학의 새로운 틀, Hasok Chang, Is Water H2O)
수업 일정
1주. 강의 소개
- 9월 4일 : 강의 소개
- 읽을거리 : 교재 1장
1-2주. 과학이란 무엇인가 : 포퍼 대 쿤
- 9월 6일 : 포퍼의 반증주의
- 9월 11일 : 쿤의 정상과학
- 읽을거리 : 교재 1장 & 쿤, 발견의 논리인가 탐구의 심리학인가?
- 참고자료 : 포퍼, 과학 : 추측과 논박 | 쿤, 정상과학 | 퍼트넘, 이론의 승인 | 뒤엠-콰인 논제 | 구획 문제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학철학01_과학이란 무엇인가.pdf
2-3주. 과학적 방법이란 존재하는가 : 라카토슈 대 파이어아벤트
- 9월 13일 : 라카토슈의 연구프로그램 방법론
- 9월 18일 : 파이어아벤트의 무정부주의
- 읽을거리 1 : 임레 라카토슈, “과학과 사이비과학”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 방법론』의 서문) & “반증과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방법론”
- 읽을거리 2 : 폴 파이어아벤트, 『방법을 거부하며』
- 참고자료 : 태거드, 왜 점성술은 사이비과학인가 | 파이어아벤트, 전문가를 위한 위안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학철학02_과학적 방법이란 존재하는가.pdf
3-4주. 과학적 추론 : 정성적 접근
- 9월 20일 : 연역과 귀납
- 9월 25일 : 휴강 (추석 연휴)
- 9월 27일 : 예측 vs. 사후 포섭
- 읽을거리 1 : 교재 2장 & 헴펠, "입증과 수용 수준의 기준들"
- 읽을거리 2 : 피터 립턴, “가설의 시험 : 예측과 편견” (Science 2005)
- 참고자료 : 포퍼, 귀납의 문제
- 참고자료 : Simplicity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학철학03_과학적 추론 - 정성적 접근.pdf
5주. 과학적 추론 : 정량적 접근 1
- 10월 2일 : 통계적 가설의 시험
- 10월 4일 : 인과적 가설의 시험
- 읽을거리 : 교재 2장 & 미정
- 참고자료 : Philosophy of Statist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4_과학적 추론 - 정량적 접근 1.pdf
- 오류 수정용 슬라이드 : 미디어:선택적 중단 문제.pdf
6주. 과학적 추론 : 정량적 접근 2
- 10월 9일 : 휴강 (한글날)
- 10월 11일 : 베이즈주의 입증 이론
- 읽을거리 : 교재 2장 & 미정
- 참고자료 1 : Michael Strevens, The Bayesian Treatment of Auxiliary Hypotheses,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52 (2001), 515–537.
- 참고자료 2 : Wayne C. Myrvold, A Bayesian Account of the Virtue of Unification, Philosophy of Science 70 (April 2003), 399–423.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학철학05_과학적 추론 - 정량적 접근 2 (베이즈주의).pdf
7주. 과학적 설명
- 10월 16일 : 과학적 설명이란 무엇인가
- 10월 18일 : 설명할 수 없는 것 / 설명과 환원 / 설명과 진리
- 읽을거리 : 교재 3장
- 참고자료 : 낸시 카트라이트, “진리는 많은 것을 설명하지 않는다”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학철학06_과학적 설명.pdf
8주. 과학적 진리
- 10월 23일 : 실재론과 반실재론
- 읽을거리 : 교재 4장
- 참고자료 : 반 프라센,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논증들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7_과학적 진리.pdf
8-9주. 중간고사
- 10월 25일 : 종합토론 또는 자율학습
- 10월 30일 : 중간고사 (20분 이상 늦을 경우 응시 불가)
- 중간고사 성적 확인
9-10주. 인식 과정의 반복
- 11월 1일 : 온도계의 고정점은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을까?
- 11월 6일 : 인식 과정의 반복을 통한 측정의 진보 & 기말보고서 작성법
- 읽을거리 : 장하석, “고정성의 의미와 성취” & “단일값의 존재론적 원리와 최소주의” (『온도계의 철학』, 1~2장)
- 참고자료 : Spirit, Air, and Quicksilver (『온도계의 철학』 2장의 요약 및 코멘트)
- 강의 슬라이드 : 미디어:과철이05_인식 과정의 반복.pdf
10-11주. 과학혁명
- 11월 8일 : 과학혁명이란 무엇인가?
- 11월 13일 : 공약불가능성과 패러다임 선택
- 읽을거리 : 교재 5장 & 쿤, “세계관의 변화로서의 혁명 (발췌)” (『과학혁명의 구조』, 10장)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09_과학혁명.pdf
- 중간고사 채점 기준을 변경하여 성적을 수정하였습니다. 중간고사 성적 확인
11-12주. 코페르니쿠스 혁명
- 11월 15일 : 이론의 단순성 또는 통합성의 가치
- 11월 20일 : 가치 판단과 이론 선택
- 읽을거리 1 : 토머스 쿤, “코페르니쿠스 체계의 조화” (『코페르니쿠스 혁명』, 5장에서 발췌)
- 읽을거리 2 : 토머스 쿤, “객관성, 가치 판단, 그리고 이론 선택” (『쿤의 주제들: 비판과 대응』 중에서)
-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에 대한 시뮬레이션 : http://astro.unl.edu/naap/ssm/animations/ptolemaic.swf
-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와 코페르니쿠스 체계의 경험적 동등성 : https://youtu.be/huxp4kWQnB8
- 강의 슬라이드 : 과학철학10_코페르니쿠스 혁명.pdf
12-13주. 물리학과 생물학의 철학
- 11월 22일 : 절대공간이란 존재하는가?
- 11월 27일 : 생물 종이란 무엇인가?
- 읽을거리 : 교재 6장
- 참고자료 : Absolute and Relational Theories of Space and Motion
- 참고자료 : Species
- 강의 슬라이드 : 물리학과 생물학의 철학
13-14주. 인지과학의 철학
- 11월 29일 : 마음은 모듈로 이루어져 있는가?
- 12월 4일 : 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가?
- 읽을거리 : 교재 6장 & The Computational Theory of Mind
- 강의 슬라이드 1 : 인지과학의 철학.pdf
- 강의 슬라이드 2 : 인공지능의 철학.pdf
14-15주. 사회적 가치와 객관성
- 12월 6일 : 사회구성주의
- 12월 11일 : 젠더와 생명과학들
- 읽을거리 : 교재 7장 & 케이틀린 오크룰릭, “젠더와 생명과학들”
- 참고자료 : 전중환, 남녀 갈등과 진화심리학
- 참고자료 : 읽을거리 : 버지니아 모렐, "트리메이트, "젠더의 렌즈를 통해 자연을 보다
- 강의 슬라이드 : 사회적 가치와 객관성.pdf
- 기말고사 이전의 웹사이트 참여는 12월 12일 자정까지의 참여만 인정
15-16주. 기말고사
- 12월 13일 : 종합토론
- 12월 18일 : 기말고사
- 강의 슬라이드 : 종합토론
- 기말보고서 완성본 제출 (12월 16일 밤 12시까지)